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을 가도되나 싶습니다

2025.06.02

8

2992

저는 지금 인서울 중위권(건동홍)에서 물리학과 전공하고있는 1학년 학생입니다. 대학을 들어올때 천체물리학 및 입자물리학을 하고싶어서왔는데... 학부 공부부터 막혔습니다. 사실 막혔다고 하는것보다 흥미가없다고 해야할거같아요. 지금 학부 단계에서도 이렇게 힘든데 대학원을 가도 되나 싶습니다.. 학점도 영 별로구요. 일본 대학원을 가고싶은데 고민이 많습니다. 제가 물리학에대한 재능이없는것같아서 슬프네요. 담당교수님께서도 대학원의 공부와 학부 공부는 다르다고 하셨지만 그 교수님도 해외유학을 다녀오시고 학부 성적도 좋으신 분이라 딱히 위로가안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6.02

학부 1학년 때 배우는 건 기초가 되기는 하는데 실제 전공에서 배우는 것과는 거리가 좀 있습니다. 저도 물리학과 나왔는데 1 2학년 공부는 너무 재미가 없었던 것 같네요 (저는 무학과라서 더 기초적인 것을 했습니다)

나중에 인턴을 하면서 하고 싶은 연구 주제를 찾고 그걸 위해서 학부 책을 다시 보고 전공을 들으니 훨씬 재밌던게 있습니다. 목적성 없이 공부하기에는 물리학 공부도 사람따라 좀 재미없던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컴공이나 전자과 같은 타 전공 수업을 같이 들으면서 취업에 발을 담궈 둔채로 조금 더 공부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제가 학부일 때도 천체물리와 입자물리 하겠다고 들어온 학생이 대부분인데 실제로 그걸 하는 학생은 15% 정도 밖에 안되는 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은 취업을 하거나 광학 혹은 전자 계산, 물질과학 등을 다루는 연구실로 많이 갔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물리학 연구실이 그런 연구를 합니다) 저도 그런 상황에 괴리감을 느꼈는데 하다보니 다른 재미가 있었습니다.

아직 물리에 흥미가 있다면 물리를 같이 공부하면서 다른 연구에 써먹을 궁리를 해보세요. 저는 ai로 대학원 진학해서 물리 연구에 접목하고 있는데 이런게 꽤 괜찮은 것 같습니다.

대댓글 2개

2025.06.02

참고로 저는 학부 성적이 많이 낮습니다. skp 출신은 아닙니다. 김박사넷에서 인권 취급 못 받는 3.6 정도이고 석차도 30% 정도 되었던 것 같은데, 제 배경지식과 학제간의 융합등이 생각보다 수요가 있었던 것 같네요. 학부 공부 및 시험과 연구는 확실히 많이 다르다는 이야기도 동의 합니다.

2025.06.02

댓글 감사합니다.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학을 해야겠어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5.06.02

대학원을 왜 가고싶은지부터 명확히 고민해보면 좋을 듯 싶네요

2025.06.02

무슨 연구를 왜 하고 싶냐부터 고민을 좀 해보세요.
학부 때 공부랑 대학원에서 하는 연구가 꽤 가른 것은 맞는데 그렇다고 학부 때 기초 전필 과목을 못해도 연구를 잘 할 수 있다는 것은 좀 환상에 가까운 것이니까요.

물리과 1학년이면 이제 미적분이랑 기본 물리 첫학기를 하고 있을 텐데 여기까지는 약간 고등학교 때 공부렁 지슷할 수 있습니다.

진정한 시작은 고전역학, 전자기, 양자를 들으면서 판가름이 나는데 수학이 딸려서 이 새 과목이 재미가 없다면 좀 곤란한 건 맞습니다. 학점이 별로여도 재미는 맀어야죠.

공부가 막히고 재미가 없는데 일본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것도 살짝 물음표가 뜨는 대목입니다. 왜죠?

대댓글 1개

2025.06.03

일반물리 일반화학은 재미가없어요. 지금 선형대수학도 배우는데 이게 양자역학에 응용되는게 좋아서 재밌어요. 뭔가 시험을 위한 공부를하는거같아 흥미가없네요..

2025.06.02

너무 이른 고민인 듯합니다. 2년 있는 힘껏 부딪혀보고 본인의 길인지 한번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1-2학년 학부과정은 기초입니다. 기초 없이는 학문의 접근 조차 힘들거기에 조언드립니다. 재능은 노력으로 초월할수 있습니다만, 그 길을 굳이 가야하는가? 재미있는가? 는 다른 문제입니다.

2025.07.06

참고로 일본 대학원의 경우 건동홍 라인에서 불이익 있는 경우가 드물거나 없다고 생각이 들어요. 실제 구제국도 가보면 지방대 출신이 더 많은 것 같다고 체감 되거든요. 저희도 일본에서 진짜 유명한 대학만 알고 있듯이 일본 교수님들도 그런 상황이라 괜찮은 느낌이랄까요. 와서 석사시켜보고 적응 잘 하면 그대로 박사하는 그런 루트가 많은 것 같아요. 예를 들자면, 건동홍보다 아랫라인(학부기준)에서 도쿄대도 잘만 진학하시드라구요! 다만 학점은 3.5는 넘게 유지하시는게 좋을 것 같긴 하네요. 아직 시간 있으시니 충분히 생각하시고 좋은 선택 하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