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으로 핵물리, 천체물리 분야로 석,박사 과정 중이시거나 졸업하신 분들이 계시다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2024.01.25

8

2747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로 물리학과 4학년 학부생입니다.
간단하게 본론만 말씀드리면
저는 단순하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우주 공간의 근본적인 이유와 원리에 대해 탐구하고 싶어서
핵물리, 천체물리 분야로 대학원 진학이 너무너무 하고 싶은 학생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취업을 생각하면 또 응집물질물리(고체 물리) 분야로 가는 게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응집물질물리학 분야가 취업이 가장 잘 된다는 교수님의 말씀이 있으셨기 때문입니다.
사실 제가 알고 싶고 배우고 싶고 연구하고 싶은 우주의 비밀과 근본적인 원리는
일반적인 취업시장에서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걸 알고 있지만
혹시나 실제로는 꼭 그렇지만은 않지 않을까 하는 조금의 희망에 이곳 김박사넷 선배님들께 글을 올려봅니다.
혹시 핵물리, 천체물리 분야에 계신 분이 계시다면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01.25

핵물리는 조금 특이하네요 보통 그런 사람들이 HEP-th쪽 희망하는데...

대댓글 1개

2024.01.26

그쵸 보통 string 이나 다른 quantum gravity를 하려고하는데, 물론 핵물리에서 아직 할게 많겠지만 프론티어 느낌은 없죠...

2024.01.25

그런 모티베이션이라면 지망해야 할 대상이 틀린 것 같습니다. 핵물리학(nuclear physics) -> 입자물리학(particle physics), 천체물리학(astrophysics) -> 우주론(cosmology) 이 더 적절해 보입니다. 핵은 기본입자들의 합성입자이기 때문에 (쿼크->핵자->핵->원자->...) 핵물리학은 "근본적"인 단위보다 더 크고, 천체물리학은 천체를 물리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이지 "우주의 비밀"을 탐구하는 분야는 아닙니다. 물론 둘 다 근본적인 원리나 우주의 비밀에 간접적인 연관은 있지만, 입자물리학이나 우주론만큼 직접적이진 않죠.

2024.01.25

그리고 현실적인 조언이라면, 취업은 모르겠지만 핵물리학이나 천체물리학 둘 다 적어도 자연과학적으로는 좋은 분야입니다. 하지만 입자물리학이나 우주론은 둘 다 순수하게 자연과학적으로 그렇게 좋은 분야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아마도 저 외에도 많은 물리학자들이 그렇게 생각할 겁니다.

대댓글 1개

2024.01.25

여기서 제가 말한 "자연과학적으로 좋은" 학문이라는 표현은 현시대 혹은 예상되는 근미래의 기술수준에서 실험과 관측 등의 자연과학적 입증수단을 통해서 통해 반증가능한 학문이라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2024.01.26

1. 해당 분야의 교수님께 상담 요청해서 물어보세요.
그분야는 일자리 실태가 어떤지, 유학은 갔다와야 하는지 등등.. 그게 가장 정확합니다.
2. 해당 분야의 정출연이나 연구소 일자리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to가 몇명이 나고 경쟁률은 몇대 몇인지 꼭 알아보세요. 그런 순수과학 쪽은 사기업 취직으로 빠지기 어려워 중요합니다.
to 적은데 사람도 적다? -> 도전해볼만하다
to 적은데 사람은 많다? -> 뒤도 돌아보지말고 무조건 취직잘되는분야 가세요

2024.01.26

집에 돈 많으시면 원하시는거 하셔도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1.26

이런 말 자주 나오는데 전 다르게 생각합니다. 교수한테 HEP-th 학계에 갈만한 능력 인정받은 사람이라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실패하고 취업으로 틀어도 먹고사는데 전혀 지장 없다고 보거든요. 그쪽분야 교수 밑으로 들어갈 수 있냐 없냐가 중요하지 집에 돈 많냐 적냐는 상관 없다고 봐요. 요즘 뭐 대학원생 생계유지 안될정도로 인건비 주는 곳도 없고, 있다고 해도 이론물리 연구실이랑은 상관 없는 이야기니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