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잣집도 아닌데 국내파 지거국 하위권 석사 하셨던 분이 일 열심히 해서 외국계 기업 이사 다는 거 보고 느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02.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5060대 분 아니신가요?
대댓글 1개
2024.02.13
30대 후반이시긴 합니다
2024.02.13
대학원생이면 좀더 합리적인 사고를 하셔야된다 생각합니다. 아웃라이어의 함정으로 가장유명한게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지리학과 졸업생 평균연봉 관련 마이클조던 사례가 있죠. 굳이 작성자분이 언급한사람이 아니라해도 학벌은 안좋아도 성공한 케이스는 상당히 많습니다. 그렇다고 그 사람들만 보고 "학벌은 중요하지 않다" 라는 결론을 내리는건 상당히 어리석은 겁니다. 정확하게는 "학벌이 부족해도 본인능력으로 충분히 극복할수 있다" 라는 말을 해야죠. 작성자뿐 아니라 극단적인 사고방식때문에 매번 의미없이 김박사넷에서 논쟁하는 학생들 정말 많은데 참.. 인생 복잡하게 사는것같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2.14
저 글 쓸 능지면 학벌이 안좋을건 뻔해보이네요. 아웃라이어로 일반화를 해버리네.
2024.02.14
메디컬은 학벌만으로 수입 하방을 보장받는데 솔직히 아웃라이어의 존재만으로도 학벌의 효용이 많이 무너진건 사실인듯. 아웃라이어 때문에 누군가는 학벌로 하방을 지키지 못한거니깐
2024.02.15
학벌이 부족하다라...
2024.02.14
100 명중 5 명의 케이스를 일반화 시키면. 어떻게 하라는 건지 ?! 참 그렇네요
2024.02.14
"세간의 인식보다"라는 말이 빠진듯
대댓글 1개
2024.02.15
evidence가 여러개 나와서 분포가 바뀌면 세간의 인식도 바뀌죠
2024.02.14
위의 댓글 쓴 사람들도 한 번 생각해보면 좋은 것. Net effect를 생각해보길. 아웃라이어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실력있고 능력있는 사람들은 잘 됨. 학벌이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net effect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맞음
2024.02.14
학벌은 그냥 수단임. 있으면 좋은데 없다고 성공못한다고 단정 못 지음
2024.02.14
솔직히 석사까지는 의미없고 국내에서 박사할거면 학벌이 중요한거같고
해외나갈거면 서울대아닌이상 대학 이름값보단 연구경험을 보지않을까 싶음
해외 교수가 지방 어디 대학교 나왔다고 이력서에 쓰면 서울대나 진짜 상위 1프로 이내드는 대학아니고서야 알까?
2024.02.13
대댓글 1개
2024.02.13
2024.02.13
대댓글 3개
2024.02.14
2024.02.14
2024.02.15
2024.02.14
2024.02.14
대댓글 1개
2024.02.15
2024.02.14
2024.02.14
2024.02.14
2024.02.14
2024.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