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탑 20 vs spk

2020.07.15

15

9957

현재 spk 3학년 재학중인 전자과 학생입니다.

저는 교수가 되고싶은게 꿈인데

교수님과 면담해보니 해외박사보다 국내박사가 좋다고 꼬득이는 듯한 내용을 들려주시더군요

물론 국박하고 해외포닥가는 경우도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셨지만, 선배들 말로는 해외포닥이 박사보다 훨씬 뽑는인원도 적으니 가기 어렵다고 해서..

그리고 선배들과 말 나눠보니 탑 20이라도 한국에서 노예생활하는거보다 외노자가 되는게 무조건 낫다고 하시는덕 어떻게 생각들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0.07.15

spk면 top20 미국박사가 자대 국내박사보다 훨씬 좋은게 맞아요. 근데 최근 교수(4년제 전국구 모든대학으로 볼 때) 임용통계만 보면 spk 학석박이 진짜 교수가 많이 되기는 합니다.

2020.07.15

ㄴ혹시 전국구 임용통계 어디서 보셨나요? 출처같은것을 알수있을까요?

2020.07.15

ㄴ진짜 공신력 떨어지는 통계라 미안한데, 저와 제 주변 최근 임용사례를 놓고 말씀드렸어요. 본인이 부지런히 찾아보고 싶다면 본인학과 유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최근 임용자들 학력확인해보세요
Stanisław Kostanecki*

2020.07.15

자대출신이 교수되는 분야는 인공지능처럼 수요는 많은데 인력이 한정된 분야밖에 없어요. 그것도 자대에서만이고, 타학교 좋은곳임용 어려워요
Stanisław Kostanecki*

2020.07.15

애초에 SKP 대학원에 타학교출신들이 많은데 왜 굳이 다운그레이드를 하는지

2020.07.15

ㄴ자대 학석박이 임용시 유리한 학교는 자교뿐이라는 그것도 인력풀이 한정된 분야뿐이시라는 말씀이신지요. 제가 관심있는분야는 회로쪽입니다
Stanisław Kostanecki*

2020.07.15

성과만 잘낸다면 어디든 갈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기껏해야 대학원생들도 구하기 어려운 지방대 임용인데, 그런 페널티를 스스로에게 부여할 만한 동기가 특별히 있나 싶네요. 극단적인 예로 인공지능 전공자는 국박이라도 과기원 임용되는 사례를 보았지만, 산업공학같이 이미 성숙된 분야는 극히드물어요. 회로쪽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선배님들이 더 잘아리라 생각되네요

2020.07.15

인생을 좀 멀리서 보면, 미국으로 가는게 훨씬 좋습니다.
뭐가 좋다고 한곳에서 박사까지 할려고 하는지....

물론 결정은 본인이 하겠지만..

교수가 하는 말은 흘려 들으세요.
Glenn T. Seaborg*

2020.07.15

최근 서카포 학석박+해외 유명대학 포닥출신들이 지거국정도에 임용 많이 되는건 사실인데
SPK에 임용되는 사람들은 거진 다 해박임

2020.07.15

그냥 어디서 정착하느냐의 차이 아닐까요? 쓰니님이 한국 정착하실것이 아닌 이상에야 미국박사가 더 나을수 있죠. 반면, 국내에서 계속 머무실거라면 국내박사가 나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 같네요.

2020.07.15

당연히 미박이죠.

2020.07.16

top50쯤 되는 애매한곳이라면 모를까, top20정도면 학위 자체로만 봤을때 미국박사가 훨씬 낫습니다
다만 spk에도 과에 한두명 있을까 말까하지만 세계적인 대가로 통하는 랩이면 거기서 하는게 나을수도 있죠
그런 인기랩가는게 유학보다 어렵겠지만ㅋㅋㅋ...

2020.07.16

높은곳으로 갈수있으면 무조건 가는게 답
Francis Bacon*

2020.07.16

미국취업할거아니면 Top20갈바에 설포카가세요
Top10은 되야 미박쳐주는데 윗댓글들 알고말하는건가??
William Rowan Hamilton*

2020.07.16

k대 교수들중 절반은 k대 학석박에 메이저대학 포닥일텐데요. 당연히 유학갈수있으면 좋다고 생각되나, 국내에서 한다해도 본인실력만 출중하면 어느곳이든 임용에 문제는 없습니다. 특히나 학부도 spk면 교수임용에 큰문제는 없을거에요.
다만 그럼에도 특정분야의 대가 밑에서 학위를 받는다는건, 지식뿐 아니라 인맥등 상당히 메리트가 있을거에요. 심지어 빅가이들이 corresponding author일경우 커미티들이 쉽게 리젝주기도 어려워서 좋은저널도 '비교적' 수월하게 내는것도 있어요.
그런 대가들이 보통 미국탑대학에 있기때문에, 기회가되면 탑대학를 목표로하는것도 좋아보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