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첫 문장부터 맞춤법 틀린 거 보면 챗지피티 아닌 건 맞나 본데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12 - 진짜 하등 헷갈릴만한 일도 없는 단어에다 냅다 한자박아두는거 개웃기네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43 - 3가지 부류임. 1) 교수의 낮은 연봉 때문에 부수입이 필요해서 교원창업을 하는 경우, 2) 은퇴 이후 작은 일거리를 만들기 위해서 시작하는 경우, 3) 기술이 학교에서 사장되는게 너무 아까워서 스타트하는 경우. 1,2번은 최악인 것이고 3번은 기술을 개발한 대학원생과 교수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인데 문제는 미국처럼 교수가 자문만 해주는 역할로 빠지지 않고 대표를 직접 맡아서 다 이끄려고 하는게 문제임. 교수가 대표를 맡는 순간 대학원생은 어쩔 수 없이 회사의 업무에 개입을 해야하거든요.. VC나 AC의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건 일부 교수님의 잘못이 있기도 합니다. 기술을 설명하는건 전적으로 교수의 책임이고 그걸로 가치를 평가받는데 어렵게 설명을 했거나, 혹은 애시당초 매칭이 되지않을 파트너를 찾아온거겠죠. 어느 집단을 가도 상위 10% 이내만 경쟁력이 있습니다. 의사도 수술못하는 의사들 너무 많듯이요. 본인이 속한 그룹의 리더인 교수가 경쟁력이 있고 분명한 비전과 철학이 있는지를 항상 지켜보고 판단하시길. 한국의 분위기가 어렵긴하나, 그 명문대를 유학해서 교수하고 있던 교수들도 비슷해지는 것을 보면 결국 근본싸움임.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25 - 벌써 탬플릿 생겼네ㅋㅋ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23 - 연대졸설대박>연대졸연대박 but 연대졸지잡박>>>>>지잡졸연대박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24 - 진실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러면 학생들 착취하고 소시오패스짓 하는 성격을 까야지,
왜 방통대 출신이~ 이게 왜 나옴?
님은 서울대 출신이 님보고 SKP 이하가 같은 대학원생이랍시고 나중에 같은 석사/박사라고 불릴꺼 생각하면 치욕스럽다 라는 식의 학부출신으로 까면 기분 좋겠음?
여튼 님 보니까 님 교수도 고생 많겠네.. 교수님 화이팅!!
방통대 학사 출신이 테뉴어 교수
10 - 방송대 출신인게 문제가 아닌데
방송대 출신가지고 까니까 공감을 못받지
방통대 학사 출신이 테뉴어 교수
8 - 그 분들도 대학원 오가는 시간 외에 평생을 기타 커뮤니티 하면서 살아온 분들이기 때문에 그걸 모르지 않습니다.
디씨 인사이드 개설을 직접 지켜보며 대학생 시절을 보낸 분들이 지금 이미 40대 후반 ~ 50대 초반임
(즉 이 분들이 대학원생 수준이 아니라 이미 현직 박사 내지 교수들 세대임)
아무리 대학원 석박사 과정 거치며 공부하고 있다 해도 그들이 중고교 시절이나 대학생 학부 시절부터 죽어라 공부만 했다고 보긴 어렵죠
국내 석박을 하든 해외 유학을 하든 뭘 하든 커뮤니티 활동은 누구든지 충분히 했습니다.
고등학교 때부터 공부에 환장한 소수 변태들은 제외...
물론 그런 사람도 있겠지만... 그냥 병먹금을 할 줄 모르거나 어그로 내성이 없어서가 아니라 새롭게 떠오르는 떡밥에 대응한 것임
그런 대응도 없으면 실상 이 게시판 자체도 필요없죠. 그냥 석박사 과정 상담 게시판과 채용 게시판 정도만 있으면 됨.
어그로인 줄 몰라서가 아니라 어그로에 먹이 주면서 그 자체를 즐기는 사람들도 많습니다.(디씨 인싸이드가 안 망하고 수십 년을 버티는 이유)
철학자 a 사건 보면서 너무 웃긴 점
8 - 걍 불쌍한 애인 듯. 진짜 광기인 척 하려고 발악하는 가짜 광기를 보는 느낌이랄까. 제 딴에는 뭔가 튀어보이려고 발버둥을 치는데 아무도 관심을 안 가져주니까 관심의 부재와 욕구 결핍 속에 왜곡된 관심에 대한 집착이 시작된듯. 비참한 자신이 할 수 있는 거라고는 gpt같은 ai한테 의존하는 것 외에는 없었겠지. 지금 하는 짓의 경향도 보면 정작 글에서는 대중의 반응에 신경 안 쓰는 고고한 철학자인 척 하지만 추종자들 외엔 차단박고 귀 막는거 보면 딱 애정결핍인 듯.
철학자 A의 이론을 봤는데, FLRW 모델의 각 항목도 제대로 이해 못 하는 것 같음
10 - 과거 제 학부시절의 석사 선배들 보니까 그냥 별 공부도 아니고 교수들 시키는 것만 해도 하루에 논문 세 개 정도는 읽던데요?(심리학) 분야에 따라서 논문 읽는 속도가 다를 수는 있겠습니다만 이공계일수록 논문이 쉬운 건 팩트임 이공계에서 중요한 건 말이 아니므로
보통 연구 잘하시는 분은 논문 읽는데 어느정도 걸리시나요??
9 - 본인 공부할 거 하고, 논문 리뷰하고, 연구 하고 싶은거 해보고 조언 구하고 하십셔.
그 발상이 어려우면 대학원생보단 노예가 적격이고,
랩이 그럴 환경이 안 된다면 탈출하십쇼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12 - 진짜 정신나간 글 ㅋㅋㅋㅋ
학부생한테
"
오직 활동은 매주마다 세미나 1번
그 이후 연구 활동을 정해주시고 피드백해주십니다
"
엄청난 시간 투자를 하고 있네
자율적으로 연구하라고 시간도 주는데 고마운줄도 모르는 ㅋㅋㅋㅋㅋ 에휴 이런애는 우리연구실 안오면 좋겠다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27 - 학부생한테 누가 과제를 줘요?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21
서울대 화학부 합격생분들께 (특별히 타대학교에서 지원하신 여러분들께)
2020.07.16

우선 서울대학교 화학부 대학원에 합격하신걸 축하드립니다.
이 글은, 여러분들께서 보다 현명하게 지도교수님을 선택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석박통합/박사 로 입학하면 교수님에게 짧게는 4-5년 길게는 7-8년동안 지도를 받게될 겁니다. 더군다나 졸업하면 그 꼬리표가 따라다니게 되죠. 따라서 본인을 위해서라도 굉장히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자대 학생들은 선배들 또는 학부 인턴경험으로 연구실 분위기 및 상황을 어느정도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타대학교에서 지원하신 분들은 정보가 너무나 한정되어 있기에 몇가지 가이드 라인을 드리고자 합니다.
1.오각형 평가 참고
오각형 스텟 및 한줄평은 참고할만 합니다.
아마 억울한 교수님들도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참고하라고 말씀 드리는 겁니다.
그래도, 어느정도 참고할만한 수준이되니 그걸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서울대학교 화학부 홈페이지로 들어가면 각 교수님들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 들어가서 최근 연구 성과를 확인할 수 있으니 연구성과를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신임 교수(조교수)인지도 참고해서 보는게 좋습니다.
Q.주작일수도 있지 않느냐?
A. 주작일경우 한줄평에도 그런 흔적이 남게 됩니다. 애당초 교수가 주작하게 되는경우는 교수 본인도 억울하게 당했다도 생각하는 경우와, 본인이 받아들일수 없는 평가때문일 것입니다.
이런 부분은 종합적으로밖에(김박사넷 졸업생수 정보, alumni, publication, 면담시 인건비) 판단할 수 없습니다.
Q.스텟이 없는 교수님은 어쩜?
A.두가지 케이스입니다.
첫째, 무난하기 때문에 그 누구도 김박사넷에 평가하려 생각하지 않음.
둘째, 교수님의 정년이 얼마 안남아 쓰는게 무의미하다는 판단(+첫째 이유가 많이 기여합니다) 어짜피 정년이 임박한 교수님은 학생을 추가로 받지 않습니다.
2.사업하는 교수(서울대학교 모든 대학원 지원시 참고할만함)
화학부에는 사업을 하고 있는 교수가 몇 명 있습니다. 네이버에 해당 교수 이름 or OOO 교수라 이름치면 신문기사에 회사관련 기사를 찾을 수 있을 겁니다. 검색되면 해당 교수는 거릅니다.
참고할 만한 블로그 링크가 있으니 왜 사업하는 교수를 걸러야 되는지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참고링크: http://bakwi.io/faction/lab-apocalypse/greed-3.trinity/
여러분들은 공부하며 연구하는 법을 배우고 연구를 하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한것이지, 교수의 잡일과 교수의 꿈을 이루어주기 위해 진학한게 아닙니다. 비록 잘못된 선택을 하셔서 여러분들이 피해를 입으시더라도 그건 여러분들의 잘못이 아니라는점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얼마든지 탈출 방법은 열려 있으니 한번의 잘못된 선택으로 오랜기간동안 고통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약간이라도 합격생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여러분들이 합리적으로 선택하여 보다 희망찬 대학원 생활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댓글로 추가적인 답변은 어렵다는점 미리 말씀 드리고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31 50 34674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82 43 47954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명예의전당 99 13 1181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잡대생의 열등감
269 -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57 -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45 -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45 - 가짜 철학자를 구분하는 방법
20 - 철학자 A의 이론을 봤는데, FLRW 모델의 각 항목도 제대로 이해 못 하는 것 같음
25 - 철학자 A의 '당신들은 멍청하다'라는 글 반박
9 - 철학자 B입니다
11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9 - 사이비 이론 때문에 게시판이 달궈졌던 이유
11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9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13 - Yk>>>>>>>>>>>>>ist임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지인이 저 철학자A 인거같은데요....
21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42 - 삼십대 후반에 대학원 석사 입학... 내 선택이지만 진짜 힘들다...
20 - 철학자 a 사건 보면서 너무 웃긴 점
7 -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10 - 나이 29살에 대학 들어가기
7 - 보통 연구 잘하시는 분은 논문 읽는데 어느정도 걸리시나요??
17 - 상대성이론에 대한 역설을 만들어봤습니다.
25 - 철학자 A님! 한자 잘해요?
13 - 휴먼테크 초록 떨어지니 기운 빠지네요..
12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1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8 - 일본 공대/이과쪽 석사 경험 있으신 분 있을까요?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잡대생의 열등감
269 -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57 -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45 -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45 - 가짜 철학자를 구분하는 방법
20 - 철학자 A의 이론을 봤는데, FLRW 모델의 각 항목도 제대로 이해 못 하는 것 같음
25 - 철학자 A의 '당신들은 멍청하다'라는 글 반박
9 - 철학자 B입니다
11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9 - 사이비 이론 때문에 게시판이 달궈졌던 이유
11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9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13 - Yk>>>>>>>>>>>>>ist임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21 - 지인이 저 철학자A 인거같은데요....
21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42 - 삼십대 후반에 대학원 석사 입학... 내 선택이지만 진짜 힘들다...
20 -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10 - 나이 29살에 대학 들어가기
7 - 보통 연구 잘하시는 분은 논문 읽는데 어느정도 걸리시나요??
17 - 상대성이론에 대한 역설을 만들어봤습니다.
25 - 철학자 A님! 한자 잘해요?
13 - 휴먼테크 초록 떨어지니 기운 빠지네요..
12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1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8 - 일본 공대/이과쪽 석사 경험 있으신 분 있을까요?
7

2020.07.16
2020.07.16
2020.07.16
2020.07.16
2020.07.16
2020.07.16
2020.07.17
2020.07.17
2020.07.18
2020.07.18
2020.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