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 서치 중 연구실적 확인

2019.02.06

16

13606

안녕하세요. 

연구직을 목표로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두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먼저, 저는 다니고자 하는 분야를 정하여서  어느 연구실을 들어갈지 고민 중에 있습니다.

교수님들의 연구 실적을 확인할 때, 논문을 낸 저널이 중요하다고 들어서 저널위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피인용수라는 것이 있던데, 이것도 고려하는 것이 좋나요?


그리고 두번째로 해외 유학도 고려 중인데, 해외 박사와 국내 박사의 인식이 많이 다른가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19.02.06

그냥 저널이나 컨퍼런스 중 제1저자가 그 랩실 학생인지 꼭 확인하세요. 자기 랩실 학생도 아닌데 자기 이름 들어갔다고 자기 연구실 실적인냥 올린 교수님들이 계신데 그런거에 낚이지 마시길. 그런 경우는 정작 자기 학생 논문 검토는 뒷전으로 미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딥러닝 쪽 많이 하는 연구실은 저널을 안쓰고 컨퍼런스만 많이 쓰니 참고하시구요. 거긴 워낙 변화가 빠른데 저널은 검토가 2년은 걸리니 그 흐름을 못 따라가서 안 쓰는 추세구요.

해외박사야 가면 좋지만 되도록 명성이 있으신 분 밑으로 가시길 ...

2019.02.06

논문이나 연구자를 평가할 때 피인용횟수는 당연히 중요하지만, 토픽이나 연구분야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구글 스칼라는 빠르고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교신저자 논문을 알 수 없고, 본인이 관리를 안하면 동명이인의 논문이 끼어들어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Web of Science는 보수적이고 정확하지만 반영이 느리고 유료입니다. 참고로 김박사넷의 교신저자 논문 숫자나 피인용 횟수 정보는 전혀 신뢰할 수 없는 정보입니다.

홈페이지를 참고해서 최근 논문들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보통 교신저자는 연락처(이메일 주소)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논문만으로는 교신저자가 확인이 안되고 소속 기관이나 저널 측에 확인해야 정확히 알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소속 기관에서는 보통 논문의 이메일 표기나 저널과의 교신 서신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교신저자 여부를 확인합니다.

2019.02.06

정말 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네요.
논문 확인은 홈페이지 확인을 위주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서울대는 홈페이지 없는데도 많아서 김박사넷 참고해서 찾고 있어요. 홈페이지 없는 곳은 제1저자가 랩실 학생인지 아닌지도 확인이 힘들겠군요ㅠㅠ

제가 가려는 분야가 자연 과학쪽이라서 저널 확인을 위주로 하고 있기는 한데
저널확인을 위주로 해야할지 피인용횟수를 위주로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지금 다니는 연구실이 있는데 저널은 꽤 좋은곳에 내는데 피인용횟수가 적어서
대학원은 다른 연구실로 가는게 좋을까 싶어서요ㅠㅠ

2019.02.07

1저자가 랩실 학생이나 졸업생인지 구분하는건 의외로 간단합니다. 논문 페이지 들어가서 1저자랑 교수랑 소속이 같은 곳인지 확인하면 됩니다.
저는 선택에 있어서는 피인용횟수보다는 낸 저널의 퀄리티와 낸 개수 위주로 보고 선택하는 것을 권하고 싶네요. 피인용횟수는 보고 단순 숫자만으로 판단하기는 조금 무리가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2019.02.07

김박사넷 피인용 지수 신뢰도가 많이 올라갔네요. 전혀라는 말에는 비동감.

2019.02.08

김박사넷 논문과 피인용 지수는 거의 가치없는 엉터리 정보가 맞아요. 최근에 테뉴어 받은 SKP 자연대 교수들이 지난 5년간 10번도 인용 안된 논문 1-2개 쓰고 테뉴어를 받았다는 것을 믿으라고? 명예훼손 수준이던데... 기본적으로 교수 개인의 정확한 교신저자 논문 숫자를 김박사넷 같은 근본 없는 사이트에서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음. 요즘 대부분 학자들은 구글 스칼라 프로파일을 갖고 있으니 홈페이지에 게재된 논문 정보와 함께 그걸 참고하는 것이 낫습니다.

2019.02.09

그냥 관찰한 사실대로 정보를 써 줬는데 왜 비추만... 혹시 '근본 없는'이라는 말 때문에 그렇다면 '공신력 부족한'으로 수정합니다. 객관적으로 김박사넷 제공 피인용수 및 교신저자 논문 정보는 현재까지는 신뢰성 없는 정보인 것이 맞습니다. 모 과에서 제일 연구 잘한다는 교수가 논문 한 편에 인용이 5회도 안되게 되어 있고, 이런 식이에요. 혹시 김박사넷이 어떻게 논문 관련 정보를 얻는지 아는 분 계신가요? 소속 기관이나 교수 개개인을 컨택하지는 않을 것 같은데...

2019.02.09

신빙성을 보려면 김박사넷 피인용횟수를 Web of Science랑 비교해보면 되지요. 단순히 피인용수가 적어서 이상하다는건 말이 안되는게 피인용횟수는 분야에 따라서 좋은 학술지에 낸 좋은 논문이라도 굉장히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자연대면 더 잘 알텐데요. 당명확한 근거를 가져와 주면 사람들도 믿습니다.

2019.02.09

예, 조금만 비교해 봐도 엉망입니다. 몇개 찾아보고 너무 황당한 수준이라 이야기하는 겁니다. 방금 무작위로 한 예를 찾아보니... 나노 연구하는 S대 H모 교수. 김박사넷에는 지난 5년간 피인용 3회에 교신저자 논문 1편. 그런데 홈페이지 찾아보니 2018년 한 해만 교신저자 논문이 13편에 지난 5년간 구글 스칼라 인용이 무려 5000번(!)이 넘습니다.

이런 '가짜 뉴스' 수준의 정보를 버젓이 게시하는 것은 해당 교수에게도, 연구실 선택할 학생에게도, 너무 무책임하다고 생각합니다.

2019.02.09

해당 교수 프로필을 확인해봤습니다. 구글 스칼라의 정보와 다른건 문제긴 하네요. 다만 지금 김박사넷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13-17년 출판 논문의 피인용 횟수이지 5년 동안 모든 논문의 피인용 횟수가 아닐 뿐더러 구글 스칼라 페이지에는 교신저자 논문이 아닌것도 실려 있습니다. 5년내 인용이 5000번 이상이라는 것은 자칫하면 오해를 할 수 있는 부분인게 13-17년도 교신저자 논문을 기준으로 하면 피인용 횟수가 그보다는 훨씬 적습니다. 김박사넷에서 집계 방식이나 정보 소스를 명시할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2019.02.09

@Marie 김박사넷 연구실적 2018년 빠져 있어요~

2019.02.09

다시 보니 교신저자 논문 기준 2013-2017 이라고 되어 있네요

2019.02.09

1. 그 정도로 쉴드가 가능한 수준의 오류가 아닙니다. 무려 천배 오더입니다. 교신저자 아닌 논문 제외한다고 피인용수 5000이 3으로 줄겠습니까?
2. 예로 든 분은 2014년 한 해만 해도 교신저자 논문이 9편이 세어지네요. 그런데 달랑 1편이라니... 홈페이지에 정보가 공개된 경우도 이런데, 공개되지 않은 경우는 말할 것도 없겠지요.
3. 기본적으로 교신 혹은 책임 저자 정보는 공신력 있는 기관이나 교수 본인 등이 제공하지 않으면 정확히 알 수 없는 정보입니다. Web of Science도 이건 모릅니다. 또 분야마다 의미나 인정 방식도 다릅니다. 이걸 김박사넷 같은 사설 사이트에서 믿을만한 정보인 양 게시하는 것 자체가 오도의 소지가 큽니다. 도대체 어디서 이걸 수집했다는 것인지...
4. 예로 든 분 소속 학과는 특히 엉터리가 많고, 다른데도 별로 다르지 않은 듯 합니다. 무책임한 정보 게시는 학생과 교수 모두를 피해자로 만들 수 있습니다.

2019.02.09

휴... 몇개 좀더 자세히 보니 그냥 총체적 난국이에요. 멀쩡히 연구 잘하고 있는 교수들을 완전히 연구 다 놓은 교수들로 만들어 버리네요. 김박사넷 논문 정보는 게시하지 않느니만 못한 가짜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들이 알 수 없는 것은 그냥 unknown으로 둬야지 이게 뭔지...

2019.02.09

문제가 있는 것은 맞고 어떤 식으로건 개선이 필요한 것도 맞습니다. 오류를 쉴드 치자는게 아니라 확실히 할 건 확실히 하자는 것입니다. 맞는 말이여도 이유에 오류가 있으면 신빙성에 의심이 가기 마련이니까요.
그리고 정확히 알기 어려운 정보이기 때문에 수집 방법을 명시하자는 것입니다. 어디서 따온건지 자체 조사를 했는지 자체 조사를 했다면 어떻게 한 것인지요. 무슨 기준으로 올렸는지 알아야 판단을 할 것 아닙니까. 조사 방법을 알아야 잘못되었다면 피드백을 해서 고쳐 볼 여지라도 있지요.

2019.02.10

사실을 말해줘도 비추 하나씩 누르는 사람이 있네... 이 사이트 관계자이신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어디서 가져왔는지도 알 수 없는 이런 무책임한 가짜 정보 게시는 사이트 측에서 즉시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