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카이스트 이미지 메이킹 좀 웃기네요

2024.06.22

55

8986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5개

2024.06.22

2024.06.22

카이스트 떨어졌다고 너무 상심하지 마세요. 좋은 대학교는 많이 있습니다.

대댓글 5개

2024.06.24

전 snu 다녀요 ㅋㅋㅋㅋ

2024.06.24

snu같은 소리 쳐하고 자빠졌네 ㅋㅋㅋ

2024.06.24

ㅋㅋㅋ 현실부정 하시기는.. 여기도 자대 출신분들은 적나보네요~~

2024.06.24

겨우 서울대 다니는걸로 익명 커뮤니티에 이런 글이나 쓰는걸 보니 참 안타깝기도 하고 어이없기도 하고 그러네요. 미국 탑 스쿨에서 학위 받은 사람이 대한민국 대학교 다 별것도 아니라고, 서울대 다니는 애들 자꾸 으스대는데 자기가 볼 때는 SKP 다 고만고만한 학교로 보인다고 글 쓰면 그 앞에서는 넙죽 업드리기라도 하시나요? 당연히 서울대학교는 좋은 학교라고 성을 내시겠죠? 사람이 자기 위만 바라보면 열등감에 파묻히고, 자기 아래만 보면 교만함에 정체됩니다. 남들 볼 시간에 자기 자신을 보고 발전하시기 바랍니다.

2024.06.24

진짜 snu면 카이스트에 관심도 없어.. 이걸 믿다니

2024.06.22

카떨

2024.06.22

Us news rank 기준 engineering 서울대보다 높은데 무슨 문제라도..?

2024.06.23

전 실제로 카이스트 가고싶어서 과고에서 대학 한군데만 써서 카이스트 갔는데ㅎㅎ

대댓글 1개

2024.06.25

조졸고사 떨어지고 편법으로 영재선발지원했겠지

2024.06.23

글쓴이분이 어느자리에 있는지 공개하고 이런말을 쓰면 조금이라도 이해가 될듯해요.
그게아닌이상 그냥 현실에서 인정못받는것에 대한 화풀이로 인터넷에서 관심받고싶어하는 사람에 불과하죠. 그런 사람이 아니길 기원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6.24

전 snu 입니다

2024.06.23

SKP 학생 중 누구도 그렇게 생각 안함.
서울대나 포스텍이 우리가 최고라 말하면 카이스트생이 보기엔 S나 P는 우리나라 최고 맞지 하고 납득하지 ㅋㅋㅋ
마치 연고전에서 자기들끼리 재밌게 노는데 YK 근처도 못간 사람이 Y가 K보다 낫네, K가 Y보다 낫네 하는걸 보는 느낌이네요.

대댓글 6개

2024.06.23

학부만 보면 서울대와 카이스트 간 갭이 크긴 크죠..

2024.06.24

SKP도 전형적인 kp가 만든 용어 ㅋㅋㅋ.. 마치 연고대생이 sky 만든것처럼...

물론 제 주변 카이 친구들 다 그런분위기 입니다만, 방송만 탓다 하면 저런식으로 인터뷰 하시니까

2024.06.24

일단 님이 SKP 아닌건 알겠음

2024.06.24

님이 아닌걸 알면 제 학교가 바뀌나요 ㅋㅋㅋ 본문 내용에 틀린말이 없으니 어떻게는 메신저 공격하려고 애쓰시네요..

2024.06.25

팩트는 카포 간 조졸애들이 서울대 못가겠냐?
그리고 일반고 교과버프로 온 애들이랑 의대 1,2년이면 노베여도 정시로 갈 영과고애들이랑 동급으로 봄?
카이 30퍼가 2년안에 의대가는데
평균은 카포>서울임.
영과고서울대메이저>>카포

2024.06.25

뭔가 착각하신 모양인데
제가 그 영과고 조졸인데요;;
낙천적인 막스 플랑크*

2024.06.23

자의식 과잉이죠

2024.06.23

카이스트 근처도 못 와보시고 방송 컨셉이나 이런걸로만 접하시니까 이상한 생각을 하죠...
영재고, 과고에서 내신 높으면 일반적으로 서울대가 카이스트보다 먼저인 건 카이스트 학생들도 알고
그거 부정하는 사람은 학교 다니면서 본 적 없음. 오히려 서울대 보고 형님대학 ㅇㅈㄹ하는건 봤어도

고딩 입결 말고 학부 교육이나 연구, 창업 뭐 각종 장학금이나 지원금 같은건 국내 최고 수준이 맞다고 생각함.
수도권 사는 사람들 입장에서 대전에 있는 건 좀 그렇지만

대댓글 3개

2024.06.23

그리고 뭐 학부 1학년이면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것보다 나이 많으면 님 진짜 정신 차리고 살아야 함.
애초에 입결이라는게 온갖 정시, 수시, 특기자 전형 같은게 있어서 딱 나눠지는 것도 아니고.
카이 운으로 온 애들보다 수능 완전 말려서 한양대 간 애들이 더 머리 좋고 똑똑할 수도 있음.

또 뭣보다 중요한 건 입결은 어차피 20살 이후로는 아무 의미가 없다는거.
대학 졸업할 땐 어차피 대학에서 얼마나 성취가 좋았는지를 보고, 또 대학원 졸업하면 대학원 과정 중 잘했는지를 봄.
각 과정에서 필요한 노력의 방식과 필요한 재능이 다름.

어차피 다들 학문적으로든 금전적으로든 그 최종 목표에 도달하려고 공부하고 있는 건데 과정 중에 누가 내신 몇 문제 더 맞췄느냐
수능 몇 문제 더 맞췄느냐 따지는게 얼마나 부족해보이는 일인지 깨달아야 함..

2024.06.23

정신차리세요 과정타령하지말고 먼 ㅂㅅ같은 과저미니 노력이니 낭만찾고있음 이 바쁜세상에 ㅋㅋㅋ 빤딱빤딱정신차리고 할일하십쇼 정글에서 나 열심히 노력해서 나룻배만들었다고 자랑하고 다닐사람이네 아무도안알아줌ㅋㅋㅋ

2024.06.25

조졸 카이갈애들 3학년가면 서울대 쉽게 감

2024.06.23

팩트를 놓고 왜 왈가왈부를 함?ㅋㅋㅋ

2024.06.23

카이스트가 이미지 메이킹을 할 필요가 있는 학교인가요?

2024.06.23

신포도 타령 그만하고 본업이나 좀 열심히 해.

2024.06.23

특목고 출신은 의대 서울대 가기 힘들어. 내신으로 뽑으니까.
카이스트는 특목고 학생들만 경쟁해서 70%를 뽑거든.

2024.06.23

성적떨어지는애들 데리고 교육시켜서 서울대보다 성과잘뽑아낸거면 진짜 더대단한거아니냐?

2024.06.23

그런거 비교할 시간에 스스로의 발전에 힘씁시다.

2024.06.23

Kpf가 뭐야?

대댓글 2개

2024.06.24

교수과정까지 밀어주는거라 지원 팍팍해준데

2024.06.24

kpf는 학부 재학중에 해외연수같은거 몇번 보내주는 장학생 제도. 위 댓글에서 교수과정은 또 뭐냐. 일개 학부생을 그 정도의 파격적인 조건으로 밀어주는 경우는 없다. 댓글 다는걸 보니 딱 학부 저학년생 견적이 나오네.

2024.06.24

국제 올림피아드 출신들이 서울대 더 많이 진학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런 소수의 특출난 학생들 몇명 제외하면 상위 1~2% 내 고등학생들의 수준차는 거의 없어서, 실제로 서울대나 카이스트나 포스텍이나 입학생들 평균 수준은 또이또이하다.

영과고 기준으로 상위권은 서울대가고 중위권부터 카이스트 포스텍가니, 당장 이것을 체감한지 얼마 되지 않은 학부 저학년생 입장에서는 그 차이가 커보일수 있는데, 학부졸업하고 유학가는거나 대학원가서 연구실적 내는거 보면 평균적으로 큰 차이없다.
고등학생때, 학부생때의 차이는 절대 뒤집을수 없을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이 간극은 그렇게 크지 않아서 학계에서 오래 있다보면 더 낮은 학부출신 대학원생이 연구를 잘하는 경우는 꽤 흔하게 보게 된다.

특히 김박사넷에서는 대학원 원서접수하는 학부생 고학년들이 많다보니 대학간판을 유난히 따지는 글들이 많은데, 학계에서 좀더 연륜이 쌓여서 위와 같이 더 낮은 학부출신들이 좋은 퍼포먼스를 내는 사례들을 많이 경험하다보면, 누가 어느 학부 나왔고 이런건 정말로 그 사람의 실력을 평가하는데 불필요한 노이즈라서 신경쓰지 않게된다.
물론 내가 이런걸 백날 말해봤자 학부 저학년생 글쓴이 귀에는 잘 들어오지 않을것이고, 시간이 알아서 해결해주게 될거다.

대댓글 5개

2024.06.24

이런식으로 눈가리고 아웅하지 마세요.. ㅋㅋㅋㅋ 제 친구들 실력 제가 제일 잘 아는데

2024.06.24

솔직히 일반고 갔으면 입시로는 연대도 버거운 애들 고등학교 수시빨로 많이 가요ㅋㅋ

2024.06.24

걔네들이 입학할때 어떤 퍼포먼스를 냈든말든간에, 어쨌든 졸업생의 평균 아웃풋으로 따지면 대단한 차이는 없다는 것임.
고등학교때 좀 더 공부해서 얼만큼 앞섰다, 이런 간극은 시간이 흐르면 뒤치락 엎치락 하면서 나보다 고등학교때 못했던 애들이 나를 앞서기도 하고 나보다 고등학교때 잘했던 애들을 앞서기도 함. 아직도 고등학교때 누가 잘했느니 이런것에 매몰되어 있으니 학부 저학년생 티를 못벗어났다는 거지. 정작 학계에서 오래 있다보면, 공동연구하는 사람이 학부 어디나왔느냐에 대해서 신경도 안쓰게 됨. 그냥 연구실력이 있냐 없냐만 따지게 되지.

2024.06.24

네 물론 실력 위주 맞습니다.. 저도 최대한 제 실력 키우려 노력하고 있고요.
전 순전히 입시와 인풋 이야기를 하고 싶었을 뿐입니다.

2024.06.25

그러니까 그 입시와 인풋.. 학계에서 좀 있다보면 그것들에 대해서 별로 관심이 없게 됩니다. 당신이 초등학생때 봤던 쪽지시험 결과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지 않는것처럼 말입니다. 고등학교 졸업한지 얼마 안된 학부 저학년생들이나 아직 고등학생 티를 못벗어서 관심을 갖죠.

2024.06.24

실제로 서울대보다 카이스트 아웃풋이 압살함.. 박사비율도 그렇고 대기업 임원들 다 카이스트
신임교원 비중도 카이스트가 서울대 추월했죠
서울대는 종합명문 1위인거고 카이스트는 연구중점대학 원탑임 연구직에서 카이스트가 힘 발휘하는건 당연

대댓글 3개

2024.06.24

아웃풋 압살..ㅋㅋㅋ 정작 서울대에서는
거들떠도 안보고

설대 카이 붙으면
농대라도 서울대 못가서 안달입니다 ㅋㅋ..

2024.06.25

과고 떨어지고 일반고 사배자로 설대 잡과 간 놈이 뭔 말이 많아.

2024.06.25

선생님 저 서울에 있는 과고에요..

2024.06.24

05년도쯤 **과고 졸업하고 KKK 하고 현직교수임.

1. 당시 우리 과고에서 조기졸업하고 K 학부 가기는 꽤 쉬웠지만(조기졸업자 내신 상위 30% 정도까지) S 공대는 조기졸업으로 가긴 거의 불가능하고 (조기졸업자 전교1등 한명 감) 고3 1년 더 다니고 수능봐서 가야됨. 당시 우리 입장에서는 SKP SKP 거리는데 조기졸업으로 K 합격했는데 그거 포기하고 수능봐서 S공대 간다? 너무 가성비 떨어짐. (공대갈사람은 K가고 의대갈사람들과 K못간 사람들은 남아서 수능준비... 결국 S공대 간 사람은 아무도 없었던듯)

2. 20년이 흘러서 학계에 나와보니 확실히 S학부에 대한 프리미엄은 있음. 나도 S대 학부졸업장으로 바꿔준다고 하면 바꿀 생각은 있음ㅎ 시니어 교수들 중에는 S학부 카르텔이 엄청남. 그런데 최근 임용되는 사람들중 S학부는 거의 씨가 말랐음. K는 대학원 진학률이 어마무시하지만, S공대는 대학원을 잘 안가서 그러는듯? 가더라도 유학 많이가고, 유학가면 안돌아옴. 그렇다보니 학계 임용될때는 S학부 프리미엄이 있음. 임용된후에는 어차피 본인 능력 싸움이고 출신학교가 밥먹여주는것도 아님.

3. 그런데 왜 SKP SKP 거리느냐? 아마 대학원까지 포함한 output은 비슷하기 때문인듯. 일단 K나 P는 학부4년동안 지방 기숙사에 쳐박혀서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고... 대학원도 지방에 쳐박혀서... 그리고 SKP 중에서 S대가 학교에서 교수에 대한 push가 가장 약함.

대댓글 1개

2024.06.24

오.. 요즘은 조기졸업으로도 많이 가서 1번 내용은 잘 몰랐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선배님

2024.06.24

여러분들 진정좀 하시고요..
05년도 졸업하신 분까지 등장하시는걸 보니까 상당히
연식있으신 분들이 많아보이네요

근데 요새는요, 메디컬 많이들 가서
카포라인까지 내려가는 순간 애들 질이 많이 떨어집니다
옛날 이야기 까지는 잘 모르고요

그냥 요즘 지디 들여오고 딴따라짓 많이 하길래
써봤습니다

대댓글 5개

2024.06.24

여기는 대학원생, 포닥들, 그리고 가끔 교수들이 보이는 커뮤니티니까 대학입학 입결이 어떻고 이런건 별로 관심없고, 그런 주제 끌고올거면 여기다 똥글싸지 말고 좀 오르비 이런데서 놀면 됩니다. 오르비 같은데서 초등학생 받아쓰기 성적 언급하는것과 같아요. 에휴...

2024.06.24

그 부분은 제가 좀 경솔했던 것 같습니다

2024.06.25

웃기네요. 질이 떨어진다는건 평가기준이 뭐죠? 과고 내신성적이요?
본인이 뭐 교수직에 있으면서 학생들 수준이 많이 떨어져서 강의가 어렵다고 말하는것도 아니고, 보아하니 학부생 혹은 석사저년차 정도이실분이 뭔, 학생수준을 운운하시나요.
입학할때 수준보다 훨씬중요한게 졸업할때 수준이 아닐까요? 그게 학부생도 그렇고, 대학원생이면 더더욱 그렇고요.
저도 크사-카이스트 학석박 인데, 솔직히 좋은 과고와서 편하게 좋은대학 갔던 사람들이 과연 수준높은 사람들일까요? 저때만해도 설곽이나 부산영재고 조차도 어차피 올림피아드 대치동이나 압구정에서 암기시험마냥 누가누가 잘보나 싸움 이엿습니다. 저도 부모덕에 선행학습하면서 영재학교-물올/KMO 수상 코스로 과고 편하게왔지만, 주변에 같은학원/영재학교 다니던 친구들은 솔직히 똑똑한 친구 극소수에 대체로 유복하게 잘살고 학부모 치마바람 센분들이 대다수였습니다. 저도 절대 똑똑하기보다는, 부모님께서 좀 잘살고 또 교육에 관심많으셨을뿐이고요.
그렇게 과고오고, 또 거기서 적당히 내신받아서 서울대든 카이스트 포공이든 간다음에 잘난척, 똑똑한척, 그리고 지금애들 수준 떨어졌내 뭐내 하는게 정말 코미디 같습니다. ㅎㅎ
정신차리고 애들 질떨어진다는 헛소리하지말고 본인이나 잘하십쇼.
출신 학교나 출신과고, 내신점수가 본인의 수준을 대변하는게 아닙니다.

2024.06.25

그럼 입시가 아무 상관이 없나요..
옛날에 서울대 카이스트 가던 학생들이
의치한약수 설카 이렇게 나눠져서 진학하면
당연히 수준 감소가 있을 수 밖에는 없죠

그리고 제가 이야기하는건 같은 과고 나와서 대학진학한 친구들 이야기입니다. 그 친구들이 카이 과탑에 4점대 학점 받아요.

자꾸 무용론을 펼치시는데, 그럼 누군가 작성자분이 지방사립대 학석박과 큰 차이가 없다고 하면 받아들이시나요? 그땐 또 실력차이가 있다고 하시겠죠

2024.06.26

학부 저학년생 아니랄까봐 과탑, 4점대 이런 단순한 수치에 집착하는데, 학부성적은 적당한 수준만 넘으면 됨. 냉정하게 말해서 적당히 성실해서 학부때 공부에 손놓지 않았다는걸 말해주는 지표일 뿐임. 대학원생을 선발하는 교수입장에서도 학부성적이 적당한 수준, 예를 들어서 적당히 3.7, 3.8 정도의 3점대 후반만 된다면 그걸로 충분하고, 이 학생이 대학원에서 연구를 잘할지 아닐지 더 보기 위해서 다른 요소를 보려고함.

참고로 학부때 성적 잘나왔다고 연구를 잘하지는 않는다. 내 지인들 중에서는 3점대 간신히 넘겨서 자대 대학원 문닫고 들어왔는데 동년배 동기들 중에서 가장 먼저 주요대학 교수 임용된 사례도 있다. 이게 극단적인 사례라고 느껴진다면, 대학원 진학하면 알겠지만 학부때 적당히 3점 중후반대 성적받고 연구 잘하는 사례들은 흔함. 반대로 학부때 과탑급 성적받고 연구는 의외로 잘 못하는 경우도 있고.. 텍스트북 열심히 공부해서 남들이 만들어놓은 지식을 따라가는건 잘하는데, 본인이 새로운걸 창조해내는건 어려워하는것이지.
그래서 대학원 진학해놓고 학부때 성적 얼마나 받았고 이런것에 대해서 집착하는게 웃기는일이 되는거야.

2024.06.25

나이 쳐먹고 서열질 하는거 보니 수준 알만하네 ㅋㅋ

2024.06.25

이런글 쓰는 거보면 의대 때문에 서울대 입결 많이 떨어졌나 싶네 나때는 그래도 지방대의대는 버리고 온 서울대 친구들 꽤 있었는데

대댓글 1개

2024.06.26

그럼요
그러니 다른 대학교는 어련하겠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