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심심한데 질문받을래요

IF : 5

2020.07.26

45

7026

제곧내

간단 신상: 사기업 R&D현직자, 30대초반

8to8 근무라 밤에 쌓인 질문 내일 출근하면서 답하겠읍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5개

2020.07.26

현재 직무가 대학원 과정에서 연구하던 분야랑 거의 비슷한가요? 아니면 대학원때의 경험이(연구하고 기기 직접 써보고 그런거) 연구하는 분야에 도움을 많이 주는 편이지만 연구분야와는 관련이 없는 편인가요?

IF : 5

2020.07.26

ㄴ후자입니다

2020.07.26

박사까지 다 하신 건가요 아니면 석사만 하셨나요? 그리고 그 대학원 진학이 더 좋은 일을 구하는데 도움이 됐다고 생각하십니까

IF : 5

2020.07.26

ㄴ박사입니다. 아무래도 그렇긴 하죠.
Avicenna*

2020.07.26

박사 취득 후 취직하면 연봉은 대략 얼마인가요

IF : 5

2020.07.26

ㄴ읍읍.... (공개하면 징계받아요 ㅎㅎ)

2020.07.26

결혼함? 어떤 과정을 거쳐서 결혼함? 배우자 스펙은? 일과 가정의 균형은 어떻게 되어가고있음? 아직 미혼이라면 계획은? 자식은 몇명 낳을계획? 본인 직업 및 학력이 결혼에 어떤 영향을 주었음?
Avicenna*

2020.07.26

러프하게도 안되나요 ㅎㅎ

2020.07.26

왜 대학원 진학을 결정하셨습니까? 본인 적성에 맞고 더 좋은 공부와 연구 때문입니까 아니면 취업 때문입니까

IF : 5

2020.07.26

ㄴㄴㄴ미혼. 직업이 미친 영향: 워라밸 최악이라 혼자 살기도 버거워서 계획 못함+결혼하고 애낳고 사시는 선배들 고생하시는 것 보면서 원래 없던 결혼생각 아예 없어짐
ㄴㄴㅎㅎ 다른 사이트나 커뮤니티 검색해보세용
ㄴ분위기따라 흘러흘러 간 감도 있고 취업때문도 있습니다.
Antonin Artaud*

2020.07.26

박사과정 후 창업이 목표입니다. 분야 막론하고 R&D군 종사자 입장에서,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지켜본 경험에서 볼 때 요즘 스타트업 상황이 어떤가요?
Conrad Gessner*

2020.07.26

삼전 프레시박사 기준 계약연봉 7000 조금 안됨
인센티브는 부서마다 다르지만 최대 50퍼에서 작년은 29퍼정도 그리고 기타 수당 등등 다 합치면 1억 전후로 받음
Conrad Gessner*

2020.07.26

하닉은 재작년에 삼성보다 더 준다고 학생들 많이 꼬셔가서 삼성에서 이갈고 그 담해에 대대적으로 리쿠르팅하는걸 보니 하닉도 삼전에 비해 모자라게 주는건 아닌듯
Conrad Gessner*

2020.07.26

엘지는 시발 가지마

2020.07.26

학벌 질문하면 받아주십니까
학부 대학원 다 궁금합니다

IF : 5

2020.07.26

아 ㄴ으로 표시하니까 꼬이기 시작한다
Artaud: 주변에 스타트업 하시는 분들 쉬워보이진 않긴 한데, 그래도 제 주변에선 인생 제일 즐겁게 사시는 분들 아닐까 생각합니다. 스타트업은 자아실현 느낌이 강해서 좋아보이긴 해요.
Gessner: 그건 세전이고 거기서 세금 어마어마하게 뗀다는 것도 언급하셔야죠!ㅋㅋㅋ 1억 전후는 진짜 성과급 맥스 다 땡기고 야근도 주52시간 풀로 하고 했을 때 얘기일듯? 그렇게까지 많진 않아요

IF : 5

2020.07.26

Casslrer: SPK 자대요
Conrad Gessner*

2020.07.26

ㅇㅇ 특히 인센은 한번에 받으니까 세율이 쎔
근데 암암리에 52시간 넘기지 않음?
헬지전자 창원 얘기 들어보니 야근하고 테그찍지말고 담 넘어서 퇴근하라던데
52시간 맞춰야된다고

2020.07.26

얼마를 주는진 모르지만 학부 졸업 후 바로 취업한 거랑 비교해서 박사를 하신 게 더 이익이 큰 것 같나요? 얼마라고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IF : 5

2020.07.26

Gessner: 회사바이회사 부서바이부서일텐데
저희는 위에서 넘기지 말라고 빡세게 관리를 시킬뿐 실제로 넘기진 않아요;
Cassirer: 언제 계산해봤는데 장기적으로 봤을 때 총 소득은 학사나 박사나 사실 별 차이 없었어요. 대학원에서 연구해보고 나니 회사 R&D에 적응하기 좀 쉽다는거랑 제가 대학원에서 사회 경험 씨게 한 편이라 회사 적응하는 데 나쁘지 않았던거? 후자는 이게 이익인가 싶긴 한데...
Stéphane Mallarmé*

2020.07.26

만약 정말 아끼는 지거국 공대 동생이 석사를 가려한다.
1. 말린다 or 추천한다
2. 어느 네임벨류의 대학원까지는 가라.
Joseph Henry*

2020.07.26

석사 취업하는거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IF : 5

2020.07.26

Mallarmé: 석사 고민중이시군요 ㅋㅋ
1. 도피성이면 비추
2. 본교와 같은 지역에 괜찮은 회사가 있고 거기 취직각이 나오면 본교도 나쁘지 않음.
전 개인적으로 최상위 아니면 학사취직 추천
Henry: 학사취업과 별 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2020.07.26

사회생활이라는 것이 랩바랩이지만 어떻게 돌아가나요? 회사랑 비교해서 랩이 더 빡셌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이건 개인적인 질문이지만 군대는 전문연 하셨나요
Stéphane Mallarmé*

2020.07.26

주변에서 석사가 R n D 분야에서 일하는사람이 얼마나보이나요?

IF : 5

2020.07.26

Cassirer: 비슷비슷했던 것 같아요. 같은 R&D를 해서 그런가 회사가 학교의 연장선 느낌. 군대는 해당 없었어요.
Mallarmé: 제 주변의 석사들은 거의 R&D 일해요.
Stéphane Mallarmé*

2020.07.26

질문을 너무 많이 해서 죄송한데 주변이라면 spk인가요? ist나 지거국 출신들의 비중은 어떻게 되나요? ㅋㅋㅋ쓸대없는질문이긴한데 그냥 궁금.....회사에서 ist 지거국 출신 석사들에 대한 인식이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IF : 5

2020.07.26

Stéphane Mallarmé: 괜찮아요 ㅎㅎ 네 주변 석사는 SPK고 ist나 지거국 출신 석사는 사실 만나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어요.

IF : 5

2020.07.26

Mallarmé 추가: 저 개인적으로는 석사는 학교 관계없이 아 석사구나 생각하긴 해요. 석사 학위 자체에 크게 의미를 두진 않아서, 어디서 했든 크게 달라지지는 않는 것 같네요. 취업시장에선 어떨지 모르겠지만요. (저 개인적인 의견임을 다시 한 번 밝힙니다)

2020.07.27

yk 진학예정인데, 대기업은 어느 연구실인지에 따라 직원 뽑는 경향이 크죠?
석사취업할 예정인데, 비인기랩에다가 분야도 좀 산업이랑 떨어져서.. 고민이네요

2020.07.27

학부 성적이 그리 좋지는 않은데 박사 취업때도 학부 성적을 어느정도 보나요? 대기업이 볼때 뽑고싶은 박사는 어떤 박사인가요?

IF : 5

2020.07.27

ㄴㄴ석사취업은 박사취업보단 연구실 덜 타는듯요
ㄴ학부성적 안좋으면 (서류 통과했다는 전제 하에) 보통 면접때 물어봐요. 뒷 질문은 제가 인사쪽이 아니라서 ㅎㅎ... 저도 제가 왜 뽑혔는지 잘...

2020.07.27

외국에서 석사졸하고 현지 모 연구기관에서 R&D쪽 일하고 있습니다. 한국대기업으로 이직하려는데 요즘 상황이 상황인지라 그냥 외국에서 경력 쌓으면서 기회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에서 채용공고가 올라오면 아무래도 한국에 있으면서 지원하는게 더 나을것 같습니다. 그래서 경력을 꺾이는 햇수만큼 채우고 귀국하려는데 3년, 5년, 7년 중에 어떤것이 좋을까요? 박사진학은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석사졸업학점이 워낙 안좋은데 경력직 이직때도 이게 발목을 잡을까요?

2020.07.27

SPK 학사출신 석박 기준으로 3.1대 학점이면 S전자 문제 없나요?

IF : 5

2020.07.27

ㄴㄴ음... 일단 주변에 이런 케이스가 없어 확실히 모르겠다는 전제를 깔고요, 이직하실 경우 신입채용 대우를 받으실지 경력채용 대우를 받으실 수 있을지가 제일 큰 변수일 것 같아요. 1~2년차이신 것 같은데 비슷한 연차에 한국에서 석사하고 한국에서 취직했다가 다른 기업으로 이직하는 경우엔 보통 신입채용으로 석사/학사 졸예자들이랑 같이 경쟁하거든요. 어디서 일하시고 계신가, 얼마나 오래 일했는가에 따라 경력채용으로 넘어갈지가 갈리지 않을까 싶네요. 경력채용이면 해외체류자는 면접일정 좀 편의 봐줄 수도 있어요.(신입공채면 얄짤없음) 요샌 못하겠지만 보통 (미국 특히)주요 해외대 주변으로 채용설명회를 나가는데 이때 물어보시는게 제일 낫지 않을까 해요. 그리고 나이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IF : 5

2020.07.27

ㄴㄴ주변에 석박학점 3 초중반인데 삼전 뚫으신 분 있어요. 단 그땐 반도체 극성수기였음.
면학점 왜이렇게 안좋은지 면접때 집요하게 묻긴 했다더라고요. 면접 가시더라도 타당한 이유는 있으셔야 할듯요.

IF : 5

2020.07.27

Chargaff 추가: 개인적으로는 빠를수록 나을 것 같아요.

2020.07.27

박사들 결혼은어떻게하나요? 되는사람들은 박사과정중에 결혼도하고 얘도낳고 그러는데.. 외모도 집안도 별로인 박사과정학생들은 취업전까진 불가능하죠?

IF : 5

2020.07.27

ㄴ둘다 대학원생이면 주거를 학교 기혼자기숙사로 해결 가능해서 오히려 박사때가 나을 수도 있어요. 학부 동기들 대학원생때 그렇게 많이 했어요.

2020.07.27

ㄴ참 아까 학점 물어본 학생인데 석박 과정 학점 말구, 학사 학부학점 3.1 여쭤본거였슴다! 대학원학점은 높은편이에요 ㅠㅠ

IF : 5

2020.07.27

ㄴ학사 학점도 낮으면 면접때 물어보긴 하는거 같아요

2020.07.27

ㄴ서류통과는 무난하겠죠..? 교수님이 삼전 산학장학도 실적요건되면 붙는대서, 그거 붙으면 그냥 합격했다고봐도되는지..

IF : 5

2020.07.27

ㄴ그건 알수없어요. 산학 쓰고계신가요? 산학은 어디든 박사채용보다 훨씬 탄력적이라 예전에 이랬으면 지금도 이렇다는 보장이 거의 없다고 보셔도 무리없어요.

2020.09.12

바쁘신데 질문 드려도될지요.. 혹시 30대 후반에 박사졸 할 경우 대기업 가기 힘들까요??

IF : 5

2020.09.12

ㄴ30 중후반에 박사로 취직하신 경우가 제 주변에도 없진 않아요. 다만 대기업 채용 경향이란게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데, 나이가 변수를 키울 수는 있을 것 같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