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많다, 사람이 많아서 각자 하는 연구에 대해 접할 수 있다, 맞는 사람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
사람이 많다는 건 무리가 형성 될 가능성이 높다 사람이 많다고 다 잘하는 건 아니다 그안에서 나뉜다 사람이 많다면 지도교수의 지도를 못 받을 가능성이 높다
사람이 많으면 많은대로 적으면 적은대로 문제가 있다
대댓글 1개
2024.07.13
감사합니다
2024.07.13
사람이 60~70명정도면 인건비는 기대안하시는게...
대댓글 1개
2024.07.13
인원이 많을수록 인건비가 낮을 가능성이 크군요..
2024.07.13
소형랩은 어떤지 모르지만 대형랩 경험해보니 1. 사람이 많아서 주재가 좀 다양한편 (장점이자 단점인데 이거 했다 저거 했다한다는게..) 2. 사람이 많으니 가끔 잡무에 필요한 노동이 충분함 3. 보통 대형랩은 교수가 산업계에 권위있는 경우가 많아서 취업 할 때 유리하기도 함(이건 개인적인 의견이라 아닐수도) 4. 단점은 대형이다보니 오히려 개인주의가 강함(너 이거 알아? 할때 해본적 없는 주제라서 아예 도움 안줌?못줌) 5. 조직적인 경우가 많아서 군대식으로 운영되는 경우 많음(군대보단 덜하지만 짬질이 좀 심함)
2024.07.13
일반화는 어렵습니다. 소형랩이라고 모두가 교수케어를 잘받는것도 아니고, 반대로 대형랩이라고 다 방치랩은 아니니까요. 하지만 우려되는 사항은 당연히, 교수가 한 학생에게 투자할수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적다는것이겠죠. 그러다보니 높은확률로 사수/부사수로 나누어져서 케어를 받을텐데, 연구실 내에서 시스템이 잘 갖춰져있으면 괜찮고, 반대로 시스템이 잘 안갖춰져있으면 문제가 될수도있겠죠. 또한 본인이 걸리는 사수의 능력도 편차가 분명 크겠고요. 생각될때 장점은.. 졸업후 네트워킹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관계가 얼마나 끈끈할지는 모르겠습니다.
2024.07.13
거의 회사 아닌가요;; 거기다가 박사 비율이 훨씬 높네요. 실험실에 연구비는 충분한 것 같습니다. (장점) 단점은 실험실마다 다르겠지만, 군대식으로 될 수도 있겠네요. 그리고 지도교수님이 바쁘셔서 만나기는 힘드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사수를 배정 받을 것 같은데, 사수분이 좋은 분이시기를 바래야겠네요.
2024.07.13
대체로 인원이 많을수록 대학원생은 피아이와 다이렉트로 소통하기 어렵고, 포닥 등 중간관리자와 많이 일하게 되죠. 공장에 부품처럼 정해진 역할을 해야 하는경우도 많고요. 대신 성과는 보장되는 경우가 많죠.
2024.07.12
대댓글 1개
2024.07.13
2024.07.13
대댓글 1개
2024.07.13
2024.07.13
2024.07.13
2024.07.13
2024.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