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든지 일반화는 어렵죠. 연구를 잘하는사람중 사회생활"도" 잘하는사람들도 분명 꽤있고, 이사람들이 학계내에서 좋은소리를 많이 듣게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연구를 좋아하고, 성실한 사람들은 어떻게든 연구를 잘하게되는것 같습니다.
2024.07.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유튜브에서 정승제가 서울대 교수님한테 들은 공감가는 말이었다면서 얘기한바로는
"연구/프로젝트를 잘하는 학생들의 공통점은 학벌이나 소득이 아니고 아주 어려운 수학 문제를 남의 도움 없이 혼자 힘으로 며칠이 걸려서라도 풀어본 경험"
이라고 하더군요. 나도 공감이 갔음
대댓글 1개
2024.07.15
뭘 하고다니길래 누적신고 20이상??
2024.07.13
노력이 힘들지 않다
2024.07.13
self motivation, 즉 내적 동기가 충만한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2024.07.13
그건 좀 아닌듯 연구를 "좋아하는" 애들은 뭐 감수성이 높으면 그럴수있는데 "연구잘하는: 애들은 감수성 오리려 낮음
잘하는 애들보면 쓸데없는 필기도 잘 안함 그냥 연구 자체가 엄청 효율적이고 시간분배 잘하고 결과도 나오는 각봐서 멈출때 멈추고 판단력이 매우뛰어남 감수성 많고 쓸데 없는 호기심 많은 애들이 일 왕창 벌이고 수습도 못하고 남하는거에 괜히 관심이나 갖음 그리고 쓸데 없는 연구욕심 있어서 정리하고 다른거 해야 이득인데 계속 하던거 붙잡고 시간 낭비함
내 경험으로는 연구잘하는 사람은 대체로 매우 냉정하고 이성적임
대댓글 7개
2024.07.13
여기서 말씀하신 연구 잘하는 사람 = 논문 빨리, 높은 저널에 내는 사람 인가요
2024.07.13
저언혀 동의 안함 쓸모없는 실적용 논문이나 양산하지
2024.07.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 분이 말하는건 한국형 연구인재인 듯
2024.07.14
관찰력 ㅆㅅㅌㅊ 논문 공장형 인재. 닮고 싶은 롤모델임
2024.07.14
연구 하는데 단정지어 놓은 결과 외에 호기심이 없으면 어떡함....
2024.07.14
다들 박사 초년차들이라서 댓글이 이모냥인가보네 좋은 논문 잘찍어내는게 실적용 쓸모없는 연구를 만드는거랑 어떻게 연결 되는거임? 탑저널로 논문이 나왔다는거면 연구주제가 참신하고 가치가 크다는건데 논문 내보긴 한건가. 연구 잘하는 사람을 도대체 뭘로 평가를할수있음? 그저 그런 저널에 논문 내놓고 자기 혼자서 내꺼 최고 이런게 맞는거임? 님들이 기업 인사 담당자고 면접보러온 사람둘이 있는데 둘다 비슷한 수준은 논문 냈는데 한사람은 10개가 있고 다른사람은 2개가있으면 누굴 더 뽑고 싶음? 나도 학위 초년차였을땐 글쓴이 비슷한 생각을 많이했는데 박사 포닥 지나고 나니 본인포함 주변 잘하는 교수나 박사들 보면 대부분 냉정하고 이성적임 그리고 난 호기심이 없어야 한다고 한게 아님 쓸데없는 호기심이 연구에 불필요하다는거 주제는 A인데 관련이 낮은 B C에도 호기심을 부리니 문제라는거 이런게 냉정함이 부족할때 생겨나는거임 그리고 이런게 한국형 연구인재라고 하는데 본인이 경험한 외국도 크게 다른거 없는듯 빅페이퍼 잘내는걸 논문 공장으로 깍아내리는건 좀 억지임 참고로 이론쪽 랩은 내가 몰라서 위의 상황과 맞지 않을수 있지만 합성이나 분석하고 습식으로 실험하는 곳은 맞음
2024.07.16
구구절절 맞는 말.
2024.07.14
약간 지 하기 싫은건 때려죽어도 안 하는 하고싶은 것만 하는 애들 중에 맞는 연구분야 찾은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요?
2024.07.13
2024.07.13
2024.07.13
대댓글 1개
2024.07.15
2024.07.13
2024.07.13
2024.07.13
대댓글 7개
2024.07.13
2024.07.13
2024.07.14
2024.07.14
2024.07.14
2024.07.14
2024.07.16
2024.07.14
2024.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