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도 하나의 재능 중 하난 거 같아요

2023.02.18

12

5568

열심히 하면 된다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결국 피지컬 차이가 있달까요? 그걸 내내 느껴요

운동선수 윤성빈님이 서전트점프 하듯이
어떤 사람들은 그 모든 장애물을 상대적으로 수월히 넘어내고
어떤 사람들은 간신히간신히… 이게 나쁜 건 아니고
간신히 해내더라도 어떻게든 해내는 끈기도 재능이겠구요.


같은 노력 대비 얻어내는 게 훨씬 많은 사람들이 있더라구요.
죽어라 파도 잘 안 되는 사람도 있고..!

악기도 사람마다 자기가 좋아하는 거 따로있고
자기한테 잘 맞는 게 따로 있는 것처럼,
연구에 맞는 성향과 성격도 따로 있고
분야마다 요구되는 특질도 다른 것도 느껴지고…

이런 것도 하나의 운에 속하는 것도 느껴요.

처음에 어느 분야를 어떻게 접하는 지,
어떤 동료와 지도교수를 만나는 지에 따라서도
계발이 되냐 마냐가 결정되기도 하니까요.

연구가 나랑 참 안 맞는구나
연구가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일들 중 가장 못하는 일이구나 느낍니다.

박사학위를 꼭 받고 싶었는데 말이죠 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징징대는 척척박사*

2023.02.18

사실 인생의 거의 모든건 재능빨이 아닌가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2.18

맞아요. 내가 뭘 가지고 태어났는지 분명히 아는 게 중요할 것 같은데… 연습도 없이 한 생에 모든 걸 알아내기는 참 어려운 것 같아요 ㅎㅎ
조용한 알베르 카뮈*

2023.02.18

당연히 재능이지 재능 안 필요한 영역은 없음

2023.02.1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 선택이 가장 중요
시끄러운 윌리엄 켈빈*

2023.02.18

질문 1. 재능이 없는데 왜 하고 싶은 거죠?
질문2. 1에 대한 대답이 연구가 재밌어서면.... 하세요.

2023.02.18

글쓴이 분이 그렇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가끔 대학원생들 보면 열심히 하는 것 자체에 취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그러다가 열심히 한만큼 보상이 안오니 상처를 받고요. 근데 열심히 하는 것은 수단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각자 이유는 다르겠지만 가끔 "잘해야 한다"라는 목적이 명확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 사람들은 그 목적에 부합하는 모든 수단을, 윤리적으로 문제만 없다면, 다 사용하겠죠. 열심히 하는 것은 그 수단 중의 하나일 뿐이고 상황에 관계없이 할 수 있는 접근성 좋은 도구입니다. 글쓴이가 생각하는 재능충이라는 사람들, 자세히 살펴보세요. 실제로는 재능의 차이가 아니라 근본적인 동력의 차이일 수 있습니다. 물론 그 동력이야말로 재능일지도 모르겠지만요.

2023.02.18

대학원도 가고. 다들 공부에 뜻있고 머리 있는분들인데요.

제가 살면서 느끼는것은 열심히 노력도 중요하지만, 방향에 대해서 진짜 시간을 많이 보내야 한다고 생걱합니다. 의미 있는 방향 설정이 핵심이네요

대댓글 1개

2023.02.18

저한테 순풍이 없다 느꼈던 게
딱 이 부분인 거 같아요.

방향을 못 정해서 무슨 바람에든 치이는 느낌.

열심히 안 하는 게 문제 아닐까? 하면서
그저 열심히하면 될 것처럼 주변에서 이야기 하지만,
자칫 잘못하면 언젠가 돌아올 길만 길어지기도 한다는 걸 느끼는 하루하루였어요.

관통하는 말씀 감사함니다.

IF : 2

2023.02.19

재능이 하나는 아니고 다양하다는것ㄷㅎ 잊지 말아야되는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는 한랩에서는 완전 개망하고 옮기고 나서 잘됐습니다. 둘다 지도교수탓도 아니고 사수탓도 아니고 그저 제탓인듯 합니다. 연구의 성격이 바뀌면서 저의 장점과 잘맞다보니 풀리더라고요.
놀란 척척박사*

2023.02.19

공감하는데 제가 좀더 구체적으로 첨언을 하자면 재능도 노력으로 발달시킬 수 있어요. 저도 신이 내린 똥손중 하나였어요. 남들은 2번 3번만 실험 연습하면 결과값이 안정적인데 저는 아니였거든요. 그래서 저는 남들보다 2배는 더 연슺했던것 같아요. 지금은 제가 저희실험실에서 제일 잘해요. 그리고 연구자로써의 재능이 단일요인이 아닌 다양한 요인들의 집합적인 요인으로 구성되있다라고 생각해요. 모든 사람들은 각자의 장점인 요인이 있구요. 그리고 제일 중요한게 실험실 분위기와 사수, 지도교수 역량도 무지 중요해요. 아무리 재능있는 학생이 있어도 분위기가 걍 헛짓거리 하지말고 시키는 것만해 이러면서 학생 뭔가 시도하거나 공부할려하면 막는 실험실가면 아무래도 힘들겟죠??

2023.02.20

공감합니다.

2023.10.11

그놈의 재능 타령... 분야의 리더와 팔로우 하는 연구자 정도의 차이면 재능 어쩌구 해볼 수 있겠지만... 박사과정 중에 닥치는 어려움을 재능 하나로 도피하는건 옳지 않아 보여요. 대게 나는 정말 열심히 하는데 왜 이렇지? 하는 사람들은 자기 객관화가 부족한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위에 분이 말한대로 노력이라 부르는 일의 양보다 방향을 설정하는게 매우 중요해요. 어려움 잘 헤쳐나가시길 빕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