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상황을 설명드리면 저희 교수님은 석사 첫 학기 땐, 석사 학생들에게 거의 아무것도 시키시지 않습니다.
실험실 비품 구매, bk 작성 등을 제외하면 웬만한 잡일도 대부분 본인이 처리하십니다.
”이번 학기엔 실험 간단히 배우고 기초 공부만 하라“ 라고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제 동기도 저와 같이 교수님의 학부수업까지 참관하며 기초공부만 하고 있구요. 그래서 하루 하루 독서실에 출근하는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첨엔 내가 석사 후 취업이 목표다라고 말해서 교수님이 맘에 안 드셨나? 버림받은 걸까? 정년이 얼마 안 남으셔서 열정이 식으셨나? 참 많은 걱정이 오가더군요.. 심지어 두 번째, 세 번째 학기 마저도 기초 공부만 하다 졸업하면 어쩌지 라는 걱정도 듭니다.
그래서 저희 연구실이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여쭤보고 싶어 글 작성을 하게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찌질한 블레즈 파스칼*
2024.09.08
석사 첫 학기는 다 그렇죠. 더더욱 석졸 후 취업할 거면 그렇게 공부하는 게 더 중요하죠. 연구 좀 해 봐야 석사과정 중에는 어차피 맛보기고.
2024.09.08
기초 공부를 안하셔도 연구에 방해가 되지 않으신 정도라면 교수님께 한번 여쭤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2024.09.08
좋은 랩실인데 뭔 불평이 많눙..
2024.09.08
첫학기면 기초공부만 하는게 맞다. 어정쩡하게 알아서 시간 지날수록 밑천보이는 사람이 한둘이 아님. 감사합니다 생각하고 충실히 하셈
2024.09.08
선배들은 뭐함?
2024.09.08
선배들이 석사 첫학기때 공부하고 그 후 연구를 진행했다면, 본인도 그에 따라가겠죠. 근거없는 불안과 것정음 어디서 오는건지 모르겠네요
2024.09.08
설마 학부 배운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하시는 건지
대댓글 1개
2024.09.09
ㅇㄱㄹㅇ... 현업은 2나노 1나노하는데 학교에서 배운 28나노 이상 공정으로 뭘 할수있다고 저리 자신감이 넘치는지
2024.09.09
분야마다는 다르겠습니다만,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상상하는 대학원생활은 실험하고 데이터정리해서 멋지게 본인이름으로 논문내는걸텐데…그거 하기에 2년이란 시간은 굉장히 짧습니다. 시간 지날수록 느끼실겁니다. 더군다나 타대진학하신경우엔 더더욱 그럴거고요. 랩실 적응기도 있고 인수인계도 있고 할테니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교수님들은 석사만 끝내고 나갈 학생들한테 그닥 많은걸 바라지 않으십니다. 정말 연구인으로서 이루자는게 있으시다면 선배들이나 교수님이랑 면담해보시는게 가장 빠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댓글 2개
2024.09.09
혹시 박사과정이라면 첫 학기 보통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 수 있을까요??
2024.09.10
오히려 박사과정이면 초반에 공부 더 빡세게 시킵니다... 당연히 랩바랩이겠지만 제 주변의 경우에는 그랬어요
88년도에 과학원 입학했는데 1학년은 수업만 듣고 학점 받아서 2학년에 랩실 배정받았습니다
2024.09.09
그 시간에 최대한 많은 논문을 보세요
2024.09.09
엄청 좋은 연구실임ㅋㅋㅋ
2024.09.09
정상 : 와! 우리 교수님, 날 엄청 배려해주시는구나. 시간 있을 때 부족한 이론들 보충하면서 연구분야 탐색해봐야지! 비정상 : 와 ㅋㅋ 널널하노 워라벨 개꿀 ~
2024.09.09
교수님이 아주 좋으시네!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열심히 공부하세요. 미국 석사들은 많아야 3과목이지만 수업 따라가기 바빠서 일을 거의 못합니다. 프로젝트 대부분 박사들이 합니다. 대신 돈은 확실히 받지요. 교수 포함 2명이 수행하는 작은 프로젝트도 학과마다 다르겠지만 약 10만 달러 정도 됩니다. 너무 오래된 애긴가?...... ㅋㅋㅋ 서울 S대의 모 연구실은 석사- 박사 2년차까지 프로젝트만 하다가 3년차부터 논문 쓰는 곳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우리나라가 이상한 겁니다.
2024.09.09
참 복에 겨운 소리입니다. 좋은 랩에 들어갔는데 만족을 못하나 보군요.
2024.09.09
다들 감사합니다. 처음 가입한지라, 비밀번호를 까먹어서 일일이 답글을 못 남겼네요 ㅠㅠ 기초 공부 학부 때와 다르게 하나하나 이해해가며 정말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2024.09.09
정말 좋은 교수님이세요..날 선 반응들도 많지만 한국 대학원생은 공부만 할 수 있지 않기에..조교일, 랩실 잡무, 연구보조, 교수님 개인잡무 보조, 행정 등 너무 많은 일을 떠안게되는데 기본공부할 시간을 준다는게 행복한 환경인거죠ㅜㅠ
씩씩한 마키아벨리*
2024.09.09
기초공부 진짜 중요합니다.. 저는 자연대 학생인데, 학부 심화코스도 제대로 못듣고 바로 연구기법 공부하느라 석사 끝나가는 시점에도 밑바닥 다 날아간 느낌을 못 지우겠어요. 물론 당장 연구에는 도움이 안될 수 있지만 졸업하려고 논문 쓰면서 한숨만 여러번 나오네요...
2024.09.10
박사까지 갈때 빛 보는 랩실이 아닌가 싶네요. 석사로 마치려면 아무래도 현실적으로 바로 실험에 투입 해야 하지 않나 싶어요.
2024.09.10
엄청 좋은 연구실이긴 함. 근데 석사 시간 짧다보니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이네요
힘좀 쓰셔서 빠르게 치고 올라오고 교수님한테 어필좀 해보시는게 어떨지
2024.09.11
교수님의 학생 지도 스타일이 그런 방향인가보네요. 엄청 좋은 연구실 맞음.. 진짜 학생 지도에 손놓은 괴수들은 할줄 아는거 없으니 잡일이나 주구장창 하라고 시켜요
2024.09.08
2024.09.08
2024.09.08
2024.09.08
2024.09.08
2024.09.08
2024.09.08
대댓글 1개
2024.09.09
2024.09.09
대댓글 2개
2024.09.09
2024.09.10
2024.09.09
대댓글 3개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09
2024.09.10
2024.09.10
2024.09.11
2024.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