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full paper가 아닌 letter라지만 분석도 너무 빈약하고 성능도 애매한고 피규어 2개 정도 넣고 출판되는건 좀.... express 였나 빠르게 제출하는 루트가 있던걸로 아는데 이거 기준이 뭔가요? 나름 IF 20넘어가는 메이저 저널로 알고 있었는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4.09.15
제가 에너지 분야는 아니여서 모르며 무슨 논문을 보신지는 모르겠다만... ACS라면 Supporting Info가 있을텐데 그것도 보시고 말씀하시는거죠...?
대댓글 1개
2024.09.15
네 혹시나 해서 봤는데 supporting에도 크게 뭐 없더라고요~~
2024.09.15
Letter면 피규어 2개 있는 논문들이 원래 목적에 부합한 것임. Prl 보셈 원래는 피규어 5개 넣고 하는 논문들이 사실은 레터가 아니지 피규어 2개로 출판될 정도면 글쓴이가 내공이 부족하여 캐치하지 못한 엄청나게 novel한 포인트가 있을 것임
대댓글 8개
2024.09.15
Nove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nove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타도 참 ㅋㅋㅋㅋ
2024.09.15
졸린 리처드 파인만 novel이 왜 웃긴거지? 도랏?
2024.09.15
파인만님.. 유일하게 짐작할만한게 혹시 noble로만 아신것같은데.. novelty처럼 novel이라는단어도 충분히 많이쓰입니다..
2024.09.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리처드 파인만 진짜 이불킥 몇년짜리인가요ㅋㅋ논문에서 noble은 noble gas같이 특정분야 아니면 거의 보지도 못했고 novel은 진짜 많이 쓰이는데.. 아는만큼 보인다고 하잖아ㅎㅎ 항상 자신이 모르고 부족하다는걸 생각하고 언행하시길
사실 energy letters 와 별개의 문제지만 저널에 중국에서 발간된 논문이 많은 경우 좀 아쉬운 경우가 있게되는거 같습니다. (사견)
2024.09.15
그거 요즘 중국화되어서 경쟁력 없소. 전통저널이나 네컴까지가 좋은 저널입니디 요즘은.
대댓글 3개
2024.09.16
어느시대 사람임...? 시대가 얼마나 바꼈는데...
2024.09.17
2022년 SPK 박사받고 해외 에너지 재료 빅랩에 있는데 뭔 시대 타령이십니까? 지금 교수님께서 선호하시는 전통저널인 JACS나 Nat. Commun.이 ACS Energy Letters 보다 좋은 저널 아니면 그럼 뭐 임팩트 팩터로 따져야함? 지금 보니 내가 쫌 꼰대같이 말하긴 했는데 그럼에도 기준은 변하지 않음
2024.09.17
당연히 잭스나 냇컴이 더 좋긴 한데 acs energy lett. 정도면 아주 좋은 저널임 경쟁력 없는 정도까지는 전혀 아님 미국 유럽 사람들 기준으로도 좋은 저널임
2024.09.16
여러분들이 최근엔 그렇게 느낄 순 있지만 원래부터 그런 저널이고, 그렇게 해서 성공한 저널입니다. 딱 그정도까지 성공하는 것이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같이 더 꼼꼼한 저널들이 더 좋게 평가 되는 것은 당연하고, 그 위로 올라갈 순 없는 겁니다.
2024.09.16
피겨의 개수가 논문의 완전성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역사상 가장 유명한 논문 중 하나인 왓슨과 크릭의 DNA 이중나선 논문도 Nature 의 Letter 형식에 맞추어 1장 피겨 2개로 이루어져 있죠. 글쓴이 기준이면 이 논문도 대강 억셉된 논문이겠죠?
2024.09.16
애초에 에너지 분야 논문 많아서 if높은 것 일뿐, 타 분야 탑저널보다 if 높아도 엄밀함이나 중요도가 비슷할 수가 없죠…
2024.09.15
대댓글 1개
2024.09.15
2024.09.15
대댓글 8개
2024.09.15
2024.09.15
2024.09.15
2024.09.15
2024.09.15
2024.09.16
2024.09.16
2024.09.17
2024.09.15
2024.09.15
2024.09.15
대댓글 3개
2024.09.16
2024.09.17
2024.09.17
2024.09.16
2024.09.16
2024.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