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 인턴 후 불합격

2024.10.24

23

5058

서울대 랩에서 인턴생활 4달정도 했습니다.

그런데 면접을 너무 망했습니다…

자기소개서 관련 질문은 안하고 면접내내 전공지식들로만 엄청 빡세게 여쭤보셨습니다

그래서그런지 탈탈 털렸습니다 틀린 답도 많이 말하고 ..

티오랑 면접 본 학생 수 보면 경쟁률은 낮습니다

혹시 떨어질 가능성이 있을까요 ..

면접때 너무 떨어서 계속 곱씹게되고 자책하게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4.10.24

2024.10.24

혹시 붙으시면 꼭 댓글 달아주세요.
어느 학과일까요?

서울대의 그 학과는 다른 학과와 다르게 정말 사전 컨텍 및 학부연구생 경험이 중요한 것으로 기억해 두겠습니다.

대댓글 19개

2024.10.24

이건 좀 의도가 못됐다

2024.10.24

김박사넷에 왜 저런 싸패가 기어들어온거지?

2024.10.24

이분 인턴하고 면접떨 되신 듯 ㅋㅋㅋㅋ

2024.10.24

오히려 스펙없어서 컨택도 못하고 심술났을 가능성이 농후

2024.10.24

재밌네요. 좀 못 되게 쓴 건 사과하죠.
하도 서울대는 컨텍이 다다, 인턴하면 끝이다, 이런 식으로 잘못된 정보를 믿고 후학들을 호도하는 정보가 지겹다 보니 과하게 쓴 거 인정합니다.

S대 자연계열 현직인데, 이제 S에서 컨텍됐는데 면떨 되냐는 질문은 그만 보고 싶네요.

제발 잘못된 잘못된 정보는 그만 퍼트립시다.

2024.10.25

서울대도 과마다 입시전형 아예 다르고 컨택과 서류가 훨씬 중요한 과들도 많습니다. 김박사넷에서 생산적인 글이 얼마나 있다고 그만보고싶니 마니 하시는지ㅋㅋ; 불편하면 안보면 되잖아요?

2024.10.25

불편함의 문제에서 그치는게 아니라 잘못된 정보가 사실인 것처럼 인지되어 피해를 보는 학생들이 생가는 문제를 지적하는 것이죠.

입시철만 되면 서울대는 ‘컨텍’이 됐으면 괜찮다는데 사실이냐는 질문들이 몇개 싹 올라오죠.

서울대 학과마다 상황이 다르다고 하시는데 묻겠습니다. 어느 과가 컨텍이 되거나 학부 연구생의 퍼포먼스를 근거로 1, 2차 서류 및 구술 전공 면접에 영향을 줄 수 있나요?

일단 듣기로 입시 경쟁율이 낮은 사범대는 그렇다고 들었습니다.

전기정보, 컴공은 현재 절대 불가능하다고 학과 교수에게 들었고 물리천문 역시 확인했습니다. 조만간 수리, 통계, 대사, 화학 및 생명 계열도 ‘영향 못 즐 텐데..’ 수준의 전언 말고 확인을 해졸까 합니다.

혹시 학과 교수에게 직접 들은 영향을 줄 수 있는 학과가 있나요?

2024.10.25

그럼 전 학과 직접 확인하시고 레퍼런스 써서 올리시든가 하시죠.
이것저것 썼지만 결국 표본도 3개고 그마저도 2개과는 자명하게 경쟁률 탑 찍는 분야네요; 해당 학과들 면접 빡세게 본다는건 대학원 준비만 해봤어도 한두번 본적 있을 내용들이구요.
애초에 다 안다고 해도 굳이 걱정하는 게시글에서 저딴 워딩 하면 불쾌하겠구나 하는건 정상인이라면 알법한데

2024.10.25

뭐 사실 컨택 영향이 있고 말고는 중요한게 아닙니다. 어차피 여기서 떠들어봤자 글쓴이분이든 누구든 결과 나오면 확인할 일이잖아요?
단지 워딩이 굉장히 불쾌해요
저 비추표시 10개 넘게 박힌걸 보세요

2024.10.25

사람들에게 거슬리는 과한 표현한 것은 인정합니다. 그건 인정하고 사과합니다.

그러니 제발 지나가는 말로라도 서울대는 컨텍이 다라느니 학부 인턴을 하면 뚫는다느니 그런 잘못된 정보를 믿는 학생들이 없으면 좋겠습니다.

표본이 세개 뿐이라는데 경쟁율 낮은 사범대 말고 여기 들어오는 학생들이 제일 관심 있어 하는 5-6개 전공 중 2개라고 생각하는데 아닌가요?

2024.10.25

그럼 됐습니다.저도 워딩 세게 한거 사과드리구요
해당 정보가 잘못되었든 잘못되지 않았든 굳이 이 게시글에서 언급할 필요는 없고, 잘못된 정보를 믿는다 해서 해당자가 피해볼 것도 사실 희망 가졌는데 떨어졌다 하나밖에 없지 않나요? 왜 그렇게 과격히 반응하시는진 이해가 안되긴 하네요

2024.10.25

뭐, 지나가는 글로 ‘네’만 남겼으면 비추야 안 박혔겠죠.

박경리님은 어차피 이제 생산적인 글이 없다고 하시는데 맞는 말이긴 합니다

그런데 한줄평과 오각형도 없어진 마당에 온갖 루머만 오가는 것보단 팩폭이 낫다는 생각이었습니다. 이도 좀 돌려서 할 걸 그랬네요.

2024.10.25

한줄평 오각형이랑 남들 눈에 거슬리는 워딩을 하는게 무슨 연관이 있을까요?
팩트로 조언하는거랑 인성이 꼬인거랑은 좀 다른 의미입니다.
본인이 저런 워딩을 해서 누가 이득보는게 있나요? 보는 사람은 되게 눈살찌푸려지는데

2024.10.25

원글 학생에게는 미안하고 잔인할 지 모르지만 이 학생에게는 이미 일어난 일이고 이후 이 글을 볼 학생들에게는 올자른 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그랬습니다.

정보는 많은 사람이 정확하게 알 때 그 값어치를 하거든요. 이런 불특정 다수가 보는 게시판에서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원글자 학생에게는 이번 입시 결과와 상관 없이 앞으로 좋은 연구 하길 바랍니다.

2024.10.25

알 권리를 주장하며 개인에게 피해끼치는 데 한점 부끄럼 없는 기레기와 같은 마인드네요

2024.10.25

S대 전기정보 현직입니다. 컨택 됐는데 면접 떨어지는 사람 본 적 없습니다.

2024.10.25

우장춘님, ‘컨택’이 된 학생은 1, 2차에서 변수가 있더라도 통과가 된다는 뜻인가요?

제가 다른 현직분께 들은 얘기와는 달라서 여쭈는 것입니다. 본인 연구실에서 인턴을 진행한 자대 학생의 경우에도 1, 2차의 결과는 본인은 모른다고 하더군요.

어떤 일이 있어도 1, 2차를 통과할 학생만 교수님들이 잘 판단해서 고른다 하기에는 인턴을 진행한 것으로 그 셀렉션 과정을 통과했다고 생각할 수 있는 상황이 맞나요?


2024.10.26

S대 공대 대학원생인데,저같은 경우 컨택하고 인턴하면서 면접을 봤는데, 진짜 컨택이 다구나 라고 느꼈습니다

2024.10.26

존 내시 님 혹시 실례가 안 된다면 어디 공대쪽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2024.10.24

걱정마세야

2024.10.25

네 있어요. 인턴을 하면 그 과정에서 단점도 약점도 잘 보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