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 실적

2024.11.15

13

1238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11.15

수고많으셨슴더

대댓글 1개

2024.11.15

감사합니다 꾸벅

2024.11.15

Skp 찍어누르기 가능

2024.11.15

어떻게 그렇게 많이 낼수 있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이번에 석방통합으로 들어가는데 저도 작성자분처럼 좋은 연구해 논문 많이 작성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대댓글 2개

2024.11.15

가장 먼저 목표를 설정하고 long term time table을 작성하세요. 저는 박사졸업까지 SCI 10편 쓰는게 목표였습니다. 학기 중, 여름, 겨울 방학( 대학원생에게 방학은 사실 없지만) 계획을 대략적으로 세웠고 현재 저의 위치가 어디까지 왔는지 파악하려고 했습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논문을 많이 읽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익숙한 분야만 읽지 마시고 두루두루 읽어보셔요. 그리고 비판적으로 읽을 줄 알아야합니다. 논문의 내용이 항상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어느 순간 남들이 하지 않은 부분이 눈에 보이실겁니다.

다양한 분석방법을 배우려고 노력하세요. 다른 랩실과 협업을 통해서라도.. 새로운 분석 tool은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가 되며 논문의 퀄리티를 한 층 높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타 랩실과 교류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학회같은데 가시면 같이 술도 한잔씩 하시면서 친해지세요. 연구 인맥 잘쌓으시면 남의 연구실 장비로 필요한 실험 데이터 정말 쉽게 얻으실 수 있습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연구실 동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세요. 너무 성과에만 집착하다보면 인간적인 면모를 상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학위 과정중 반드시 한번은 내가 어렵거나 아쉬운 상황이 닥칩니다. 그게 실험이나 기타 다른 일이던 상관없이 연구실 동료는 든든한 뒷배가 되어줄 것입니다.

논문 작성의 팁은 George M. Whitesides 교수의 letter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DOI: 10.1002/adma.200400767

2024.11.15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시간을 허투루 쓰지 않고 더 알차게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어요.
저도 제 목표를 명확히 세우고, 말씀해주신 내용을 실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커리어에서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2024.11.15

아무리 재료라도 박사과정 주저자 11편은 말이 안되는데

2024.11.15

혹시 학위과정중에 여자친구..는 있으셨나요?

2024.11.15

와 11편 주저자 대단하시네요

2024.11.16

다 단독 1저자 인가요?

2024.11.16

박사과정중에 주저자로 SCI 11편을 썻다고....?
물리적으로 가능한 애기인가?
이를 자랑한다고?
대체 박사과정을 몇 년이나 했기에 이렇게 수행한거란 말인가?
중복제출, 유사제출, 자기표절 이런 것이 없다면.... 가능한가?
정말 궁금하다.

대댓글 1개

2024.11.16

11편이면 작성자가 많이 쓴 편이긴함.. 나도 7년간 sci 12편 썼으나 진짜 너무 힘들었음.. 물론 석사빼면 5년간 11편 출판한거라 열심히 시간 건강 갈아넣으면 걱정하는 부분 없이 쓸수는있음

2024.11.17

전자재료면....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