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지금 재료 분야는 거의다 알법한 IF 15정도 되는 저널의 리뷰 페이퍼를 초청으로 쓰고 있습니다.
이 리뷰 페이퍼에 대한 연구적인 실적이나 앞으로 저의 가치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조언을 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4.12.18
영향은 거의없고, 본인 인용수가 상당히많이 올라가는 정도입니다. 간혹 리뷰페이퍼를 본인 featured publication에쓰는경우도 있는데 진심 아무도 인정안해줍니다. 임용시장에서도 research paper를 구분해서 판단하고요. 그와 별개로 저도 리뷰페이퍼 3년전즈음 박사과정때 PI가 초청받아서 주저자로 썼는데, 개인적으로 스스로 자료정리하면서 분야에 대해서 좀더 잘 알게됐고 인용수도 현재 400회정도로 꽤나 괜찮게 나오고있네요. 특히 주저자되면 reference양식부터 그림들 전부 permission 구매하거나 받아야되는등 고생할게 많지만 좋은경험이긴 합니다. 하지만 임용이나 본인 연구실적을 말할때 구분된다는점은 명확히 알아두시길.. 참고로 리뷰페이퍼는 논문리뷰어들도 진짜 별의별것갖고 태클겁니다. 다른 리뷰페이퍼랑 다른게뭐냐 이해안된다 등등 ㅎ
대댓글 5개
2024.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런것 때문이군요... 사실, 연구실에서 다들 이 리뷰 페이퍼를 도와주길 꺼려합니다.. 제가 볼떈 전 엄청나게 좋은 기회이고, 연구실에도 전문가로서 인정받는 좋은 경험이 될거라 생각하는데, 너무 도와주길 꺼려해서 그냥 제가 혼자 한다고 말하고 혼자 하고 있거든요...
이런 이유들 때문에 그런거군요...정말 감사합니다.
2024.12.18
꼭 이 댓글 같진 않습니다. 저명한 저널의 리뷰 페이퍼는 인정해주는 쪽이고요. 댓글 작성자 분도 개인적으론 그리 느끼실 수 있으나, 저정도로 인용된 페이퍼면 굉장히 가치있고 잘 쓰여진 논문이기에 알게 모르게 다들 인정해줍니다.
2024.12.19
롤스님의 경험담을 존중합니다. 하지만, 좀더 구체적으로 "인정"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심이 어떨까 싶습니다. 참고로 저도 당시에 리뷰쓴게 AFM이였습니다. 나쁘지않은 저널이죠. 하지만 예전에 정출연 지원할당시에도, 실장님(당시에 저를 뽑고싶어하셨어서 조언을 많이해주셨음)께서 리뷰페이퍼는 주실적에 올려도 의미없다고 reserach paper로만 올리라고했습니다. 그래서 IF낮은(3-4) 주저자 논문을 차라리 넣었어요. 어쩌다보니 저는 퇴사후 지금 해외포닥 나와있고, 최근에 한국 모 교수님(랩 한참 선배)께서 이번에 채용열렸다고 써보라고 하셨습니다. 결과적으로 미국정착 고민해서 지원안했지만 이번에도 선배님 말씀이다보니 서류를 작성하는 성의는 보여드리고 검토까지는 받았습니다. 선배님께서도 임용에 본인이 직접적으로 도움줄수있는거 없지만 서류같윽널 다듬어주는정도는 도와줄수있다고 하셨어서요. 당시에도 리뷰페이퍼 빼는게 낫겟다고 조언하셨습니다. 이때 저도 하브넷등에서도 많이 리뷰페이퍼관련 찾아봤는데 다들 비슷한 조언이였고요. 차후에 본인이 임용된 이후에 주변사람들에게 "인정"받는다는 뜻으로 말씀하신거면 저도 부분적으로 동의합니다. 하지만 잡을구할때 "인정"해준다는건 제 짧은경험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 research paper가 충분히 있는데, 리뷰페이도 있다는건 작은 장점이 될수있겠지만, IF15리뷰페이퍼와 IF5 연구논문의 "인정"정도는 많은경우 후자편을 들거라고 생각합니다. 임용시장을 많이 겪으신분이시라면 제가 틀릴수도있으니, 정확한 정보를위해서 수정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024.12.19
그리고 혼자하는거면 조금 생각해보세요. 리서치 페이퍼의 가치만큼 인정받지 못할경우에는 시간낭비를 굳이 할 이유가있을까 싶습니다. 리뷰페이퍼에 들어가는 수고는 생각보다 정말 많습니다. 저는 당시 랩구성원 6명과 함께했는데, 다들 한 섹션씩 맡으면서 했습니다. 그중 저는 주저자를 맡는대신 2섹션 맡는것 + introduction, conclusion, reference 정리 및 포맷 정리, main figure 작성을 했습니다. 참고로 시간 정말많이 썼습니다. 다른 친구들은 한명당 대충 한달씩은 썼고, 저는 거의 두~세달정도를 여기에만 썼습니다. 리뷰페이퍼 자체를 교수님께서 저한테 부탁하신거다보니 이상황을 모두 양해해주셨기에 가능했죠. 혼자쓰게되면 시간 정말많이 쓰실텐데, 잘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본인이 초청받은것인지 아니면 PI가 초청받은 상황인지 모르겠으나, PI와 잘 말해서 다른소속 학생들 꼬득여서 쓰는것도 한방법입니다. 저였으면 혼자서는 절대안썼을것같네요.
2024.12.19
Research article이 당연히 지원자 역량을 평가하는데는 더 중요합니다. Research article 실적이 월등하신 분이라면 저도 대댓글 주신 분 의견에 동의하는 쪽입니다. 제가 말씀드린 경우는 research article로만 대표 실적(질적 평가 시점)을 선정함에 있어 문제가 없을 때 review article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가 정확하겠네요. 아래 댓글에도 저와 비슷한 의견을 주신 분이 있네요. 기관 마다 성격이 달라서 뭐가 맞다 확답드리긴 어렵지만, 5편의 대표 실적 기재가 가능할 경우 분야 상위 3퍼센트 이내 리뷰 페이퍼라면 나머지 4편의 research article 실적이 나쁘지 않을 경우 기재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꼭 대표 실적으로 넣지 않더라도 review journal들이 보통 정량 점수가 높아서 서류 평가 단계에서 유리한 점도 있겠고요.
2024.12.18
better than nothing. 해보면 좋죠.
대댓글 1개
2024.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도 좋은 기회라 생각해서 열심히 하고 있어요. 조언 감사합니다.
2024.12.18
분야마다 다른 것 같은데, 저희 분야는 제대로 된 리뷰 페이퍼는 매우 높게 쳐줍니다. 재료 분야는 모르겠네요.
대댓글 1개
2024.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죄송하지만, 어떤 분야이신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전 2차원 반도체 쪽입니다.
2024.12.1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든 안하는것보다는 낫죠. 더욱이 리뷰페이퍼 작성 경험은 나중에 학위논문 작성할때도 큰 도움이 돼요.
특히 2D 반도체 같이 오랜역사가 없고 챌린징한 부분들이 많은 경우 위에서 말씀하셨듯 정리하면서 오히려 연구 인사이트를 얻을 수도 있구요.
대댓글 3개
2024.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좋은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전 혼자 쓰는게 편해서 상관이 없는데, 주변에서 자꾸 작업하기를 꺼려하길래 좀 궁금해서 여쭈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12.1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흠..그러면 본인+교신저자 이렇게만 기재할 자신이 있나요? 아니라면 주변에 멋들어진 피규어 그릴줄 아는 동료에게 그림좀 그려달라고 부탁하시죠.
내용을 아우르는, 합성이면 합성, 소자구조면 구조, 원리면 원리 등 간지나는 그림 몇개 있으면 인용수 쫙쫙 올라가거든요.
2024.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좋은 조언이신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12.18
포닥인가요 박사과정인가요?
대댓글 1개
2024.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금 포닥입니다. 그래서, 구애받지 않으려고 혼자 작업하고 있어요.
2024.12.18
실적으로 볼 때는 리서치페이퍼가 괜찮을 때 리뷰까지 있으면 도움 됩니다. 알법한 15정도면 더욱더요. 리서치페이퍼가 괜찮지 않으면 별로 도움 안됩니다.
경험 적으로는 어느 쪽이든 도움은 되니 논문 프로젝트 진행에 큰 방해가 되지 않으면 무조건 쓰는 것이 이득입니다. 초청받은 거 본인한테 쓰라고 준 것도 혜택이고 좋은 기회입니다.
2024.12.18
대댓글 5개
2024.12.18
2024.12.18
2024.12.19
2024.12.19
2024.12.19
2024.12.18
대댓글 1개
2024.12.18
2024.12.18
대댓글 1개
2024.12.18
2024.12.18
대댓글 3개
2024.12.18
2024.12.18
2024.12.18
2024.12.18
대댓글 1개
2024.12.18
2024.12.18
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