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산업공학과 대학원 메리트

2025.01.02

5

734

졸업을 앞둔 수학과 학생입니다.

최근 갑자기 생산 품질관리, 생산 기술, 최적화 등 분야로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 분야로 취업을 하고 싶은데 초과학기를 해서 산업공학 복수전공을 하는 것이 나을까요?(4학기 걸릴것 같습니다.)

아니면 산업공학 대학원을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제가 관심있는 분야(생산 품질 관리, 생산 기술)로 취업하는데 산업공학 대학원이 메리트가 있을까요?

혹여나 대학원을 준비하게 된다면 수학 전공으로 산업공학 대학원에 합격할 수 있을까요?
(현재, 경영과학, 공학통계,데이터 관련 수업 수강했고 대부분 A 받았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1.02

질문자께서 '무엇을' 물으시는 건지 파악이 안 되네요.
그럼에도 주제 넘게 참견하자면 산공 부전공 정도도
취업에 큰 지장은 없을 겁니다.

대댓글 2개

2025.01.02

생산 품질관리, 생산 기술 분야로 취업을 희망하는데 수학 전공이라서 산업공학 전공 지식이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4학년을 다 수료했음에도 불구하고 복수전공으로 전공성을 키울지, 대학원에 진학해 더 깊게 공부하여 취업을 할 지 고민이 됩니다.

생산·품질관리는 산업공학, 기계공학 등을 선호하여 수학 전공만으로는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대기업을 목표로 하는데 부전공으로도 생산·품질관리 직무에 취업할 수 있을까요?

2025.01.02

불안해 하시는 마음도
이해가 됩니다
감히 저 같은 참견쟁이에게도
겸손하게 답을 청하시는 것도
저로서는 영광입니다

다만 대기업 현업자로서 말씀
드리자면 평소 성품이 내향적
인 분들은 빡센 생산 관리 쪽으로
배치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조용하게 깊은 전문성을 갖고
문제를 탐구하고 싶으시다면
대학원 진학 뒤 교수 직을 알아
보시고

욕 먹어도 부딪혀 보고 깨져
보면서 꼭 대기업 현장에서
생산 관리 및 기술 쪽에서 일
하시겠다면 제 생각에는 부전
공으로도 충분하고 남은 건
직무적합성 면접입니다

2025.01.03

산업공학은 학부 전공이 중요하지 않아요.
대학원은 랩 보고 가세요.

2025.01.03

취업만 생각하면 굳이 대학원까지 갈 필요는 없고요.
복수전공이 가능하다면 복수전공 후 바로 취업 준비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