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DPI 인식

2025.01.07

8

962

논문을 게재할 저널을 찾아보고 있던 와중 MDPI의 인식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MDPI 중에서 몇몇 저널들 (Q1 / IF 5 이상 / JCR 25% 이내)의 경우도 타대로의 컨택 시 Elsevier, Wiley, RSC, ACS 의 Q2 저널들보다 인식 및 평가가 안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1.07

예전엔 저도 종종 눈이 가긴 했습니다만 갈수록 인식이 나빠져서 아예 관심을 접었습니다. 특히 작년을 기점으론 과기부 산하 기관에서도 하도 뭐라고 그러니까 그냥 급해도 내지 않는다는 분위기로 바뀐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2025.01.07

평생의 족쇄, 낙인 절대 내지 마십쇼

2025.01.07

MDPI가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다보니 꾸준히 말이 많긴 하네요.
개인적으로 Elsevier 보다는 아니더라도 Wiley, Hindawi, Frontiers 등 보다는 개인적으로 낫다고 생각합니다. (우수하다고 말한건 아니며, 전체 분야 기준으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MDPI내에도 나름 괜찮다고 생각되는 저널도 있습니다.
문제는 MDPI내에서 찍어내기 가능한 저널들(special issue 남발로 인한 양적 팽창)로 인하여 평판이 많이 안좋아졌죠.

대댓글 2개

2025.01.07

광범위한 분야를 다뤄서 꾸준히 말이 많은걸까요... 그리고 Wiley보다 낫다고 얘기하시는 거에 제가 다 부끄럽네요....

2025.01.07

왜 wiley 가 거기 끼어있지요?

이 부분은 개인 생각이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내 실적을 평가하는 사람은 남이고 이 저널은 나름 괜찮느니 하고 설득할 수 있는 기회는 없습니다.
만약 아주 만약에 지금보다 mdpi 이미지가 좋아서 반 정도의 연구자가 나름 괜찮은 저널도 있지 라고 생각하는 상황이라 해도, 내 실적을 평가할 사람 중에 무려 나머지 반이나 부정적으로 평가할꺼라면 거기 내는 것이 손해라는 이야깁니다.
당장 섭밋 해야 하면 그 중 퀄리티가 괜찮은 저널도 있는지 아닌지를 고민하고 논의할 상황이 아니에요. 많은 연구자가 mdpi를 매우 낮게 봅니다. 그럼 내지 말아야지 왜 냅니까?

2025.01.07

Wiley 는 상당히 성공한 출판사죠.. 사실 MDPI뿐아니라 많은 대형출판사들도 돈벌기위해서 문어발처럼 저널을 개설하기도 합니다. 네이처도 npj 이름으로 이곳저곳 만들어대고 있죠. 그래서 MDPI입장에서는 다른 출판사들도 하는걸 본인혼자 욕먹는게 아쉬울수도있긴할겁니다. 사실상 다른 낮은출판사의 대표격으로 욕먹는것도 있겠고요. 하지만 실제로 mdpi의 많은 저널은 충분하지않은 리뷰프로세스 없이 게재가 되기에 분명 연구가치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mdpi에 정말 훌륭한 논문들도 많기도 하지만, 모래속에서 진주알찾기뻘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Q1 과 Q2의 구분도 무조건 Q1이 좋다는사람은 없습니다. 분야마다 다르니까요. top ~% 저널이라는걸 강조하는것도 대체로 동아시아권에서 많이사용할 뿐입니다. 예를들어서 A저널은 ㄱ분야로만 출판되고 5/20위(25%저널)이고 B저널은 ㄱ분야에서는 10/20위(50%)이지만 ㄴ분야에서는 100/500위(20%)라고 하면 B분야가 %로는 더 높죠. 하지만 대체로 A저널을 더 좋게생각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런일들을 비일비재합니다. 그래서 Q2저널이라고 수준낮다고 생각하는건 정말 위험한거에요.. 로봇분야에서 RAL이 Q2에 해당하지만 그누구도 mdpi의 어떤저널(그나마 평좋다는 sensors 나 polymers정도)보다 낮게평가하지는 않을겁니다.
미국에있으면서 느낀점이 Wiley와 ACS는 이미 검증을 거칠수준이 아닌 좋은출판사며, Frontiers조차도 mdpi보다 더 좋게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거기서거기라고 생각은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1.07

거기서거기라는건 frontiers나 mdpi, hindawi 내에서 말씀드린겁니다.

2025.01.07

유기화학 분야인데 mdpi에 submission도 안하고 cite도 안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