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저널이 대부분이고 컨퍼런스 논문이 비교적 드문 랩도 괜찮나요

2025.01.09

7

686

AI쪽 신규임용 교수님들 보면 SPK 레벨에서도 극단적으로 논문 30개 이상 중 학회 논문 2개 이런 식으로 쓰시는 분들 꽤 많더라고요
김박사넷 글들 중에서도 '요즘 ai쪽은 SCI급이어도 "학회"라는 이유만으로 사실상 KCI랑 동급으로 보고, 무조건 컨퍼런스 논문만 인정한다'고 말하시는 분들 많고요

근데 희망 연구실 publication 보면 학회 논문이 컨퍼런스 논문의 2배 이상일 정도로 압도적으로 학회 논문이 많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1.09

학교 실적 기준 때문에 그럴 것 같긴 한데... 그냥 학회 논문의 절대적인 양으로 보세요~

2025.01.09

윗분말씀이 맞을수도 있고, 또 약간의 세부분야마다 다를수도있겠죠. 한국은 임용시장에서도 아직도 많은학교가 cs조차도 저널실적을 요구합니다.
태뉴어를 받기위해서도 동일할수도있고요. 이건 학교/학과마다 다르기에 일반화는 어렵지만요.
저는 EE/ME에서 학위받고 어쩌다 트랜드쫓아서 탑스쿨 CS쪽에서 포닥중인데, 저도 AI쪽은 잘 모르지만 옆랩도 AI쪽연구하는데 저널위주로 쓰더라고요.

대댓글 1개

2025.01.09

그래서 개인적으로 ai라 하더라도 세부전공으로 따질때 저널위주인 곳도 있지않을까 추측해봅니다. 다만 해당분야를 잘은몰라서 명확하게 말씀드리기엔 어렵네요.

2025.01.09

이게 다 ‘정량적 실적‘에서부터 발생한 일인거 같네요

2025.01.09

사실 cs분야에서 저널보다 컨퍼런스를 우선시하게 된 것도 트렌드 변화가 빨라지면서 그렇게 바뀐거지 딱히 저널이 나빠서 그런게 아닙니다. 여전히 권위를 인정받는 저널들도 많고 단순히 출판 퀄리티만 놓고보면 출판 프로세스에 시간이 더 들어가는 만큼 저널들이 더 좋긴 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그런걸로만 판단하긴 힘듭니다.

2025.01.09

그 랩에서 졸업한 학생들이 좋은 자리 많이 가면 괜찮은 랩입니다

2025.01.10

cs분야에서 탑컨퍼런스 페이퍼를 더 쳐주는 것은 맞는데 요새는 너무 흔해지기도 했고 저널 페이퍼의 퀄리티가 낮은 것도 아니라서 컨퍼런스/저널의 수로 판단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어요. 인용 수를 보세요. 누가 뭐래도 남이 읽어주는 페이퍼 쓰는 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밸류가 제일 높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