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스캠이었지만 초전도체, 상용화되길바라는 핵융합 이런것들 정말 재밌어 하거든요. 그외에도 우주 암흑물질이라든지 정말 미지의 것들이나 새롭게 업데이트가 되는 분야의 공부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그 외에도 로봇 상용화라든지.. 정말 잡다하게 관심있습니다.
그래서 제 고민은 말 그대로 너무 조잡하게 관심있다는거예요. 진학하려면 물리학과나 전자공학쪽 생각하는데 아무래도 물리학과가 나을 것 같기도 하고(어디서 물리학과에서 전자공학대학원 진학은 쉬워도 반대는 조금 어렵다는 이야길 본거같아요..단순 취직목적의 대학원 진학은 고려하고 있지 않아요..) 핵융합쪽은 채용 수가 굉장히 적던데 그런거 보고 물리학과에 가는건 아닌가 싶기도 하고..그래도 다방면 잡다하게 좋아하면 물리학과인가..너무 이론적이라 상용화쪽은 공학진학이 더 나은건가..정말 잘 모르겠어요..
물리학과를 간다면 그분야 연구하는곳이나 공기업에 취직 준비 할 것같구요. 전자공학 진학한다고하면 결국은 창업고려할 것 같아요. 그 후에 필요하다면 대학원을 후순위로 갈것 같구요..
물리공부할때는 고전역학보다는 전자기쪽이 더 재밌기는 했습니다. 그리고 뭔가 현대물리쪽이 더 흥미롭더라구요.
물론 대학교 가면 또 바뀔지도 모르지만 뭐가 더 나은 선택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5.01.12
보통 컨택되는 랩이나 조건맞는 회사가게 됩니다 일단 흥미에 따른 진로는 차치하시고 보다 적성에 맞는 (수업 가능하고 학점 관리되는) 과부터 가세요
대댓글 12개
직설적인 존 케인즈작성자*
2025.01.12
물리학과 고인물들이 많다는데 평균적으로 공대보다 학점따기 훨 힘든가요?
2025.01.12
저도 물리과 나왔지만 진짜 고인물 꽤 있습니다 그러나 타과 출신으로 그런 고인물 씹어먹고 학점 따간 사람도 있구요 근데 어딜 가도 빡세게 공부 하는 사람은 늘 있습니다 진짜 자신이 스스로 얼마나 집중해서 게임 같은거 안 하고 공부할지 그것을 찾아보세요
직설적인 존 케인즈작성자*
2025.01.12
물리학과는 취직보다 대학원선호도가 높을 것 같은데 대학원가면 일반 기업가는걸 선호하나요 아니면 공기업을 더 선호하는 편인가요?
2025.01.12
공기업이라 함은 정부연구소인가요? ist 이상은 보통 대기업 잘 가는 거 같고 정부출연연구소는 학술적으로 능력이 좀 되면 뽑혀가는 거 같습니다
직설적인 존 케인즈작성자*
2025.01.12
물리과 비추하는 사람이 은근히 많던데 그냥 학부수준에서 취직이 힘들어서인가요?
2025.01.12
공대가 좀 더 직관적이여서 그럴겁니다 물리는 학점 괜찮으면 취직 되는데 수학이 은근 빡세서 거기서 아웃되곤 합니다
직설적인 존 케인즈작성자*
2025.01.12
혹시 뜬금없지만 대학원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게 연구비인가요? 외부에서 발표해서 이런거하고싶다 하고 연구비를 받아오는건가요 아니면 학교에서 지급하는건가요 정부에서 지급하는건가요? 복합적인건가요??
2025.01.12
과제를 따오는데 기업과제가 보통 그 교수의 실력으로 인정 받기도 합니다 대학원에서 주로 문제 되는건 기업과제연구와 본인학위연구 간 밸런스와 당장 학위를 받거나 향후 진로를 위한 실적 지도교수와 관계 등이 있습니다
직설적인 존 케인즈작성자*
2025.01.12
교수님들 조차도 하고싶은 연구를 마음대로 할수 있는건 아닌가보네요. 그러면 대학원 진학 후 기업r&d이런대로 취직하는걸 더 추천하시나요??
2025.01.12
연구하는게 좋다면 아주 마음대로는 아니지만 현실과 타협하여 어느 정도는 좋아하는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교수나 정부출연연구소 등으로요 그러나 현실적으로 연구가 생각만큼 흥미가 없다면 대학원 다니고 나서 기업 쪽으로 방향을 틀 수도 있습니다
직설적인 존 케인즈작성자*
2025.01.12
학부수준에서는 두 과중에 어딜가든 별로 상관없을까요? 정말 학과자체는 그리 안 중요한가요?
2025.01.13
학부 뒤 취업으로는 공대가 유리할 것이고 대학원 진학은 가려는 연구분야에 따라 선택하셔야죠
2025.01.13
이런 경우는 그냥 대학가서 해보는 과목들 다 들어보고 그때 가서 결정하는게 답임.
대댓글 1개
직설적인 존 케인즈작성자*
2025.01.13
자전도 많이 추천하시더라구요. 조언 감사합니다.
2025.01.13
고등학생 때 상상할 수 있는 연구 활동, 연구 분야 등은 사실 실제와는 굉장히 거리가 멀어요.
사실 연구란 내용도 적성에 맞아야 하지만 방법론도 적성에 맞아야 해요.
뭐가 제일 궁금한 지 생각해 보고, 또 어떤 환경에서 어떤 일을 하면 즐거울 지 생각해 보길 바랍니다.
아마 후자가 감이 잘 안 올 텐데 1) 수업을 하면서 한편으로 궁금한 것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비를 따고 학생들의 연구 활동을 관리, 2) 나를 포함한 연구 조직에서 원하는 연구를 진행하면서 관리, 3) 나를 포함한 조직에서 시장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을 생산하거나 개발, 이 셋 중에 골라 보면 됩니다.
어느 것을 선택하건 뛰어나면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조직이 하고 싶은 것으로 만들 가능성은 있습니다.
대댓글 3개
직설적인 존 케인즈작성자*
2025.01.13
진행관리를 할지 생산개발을 할지 생각하는게 나름 포인트겠네요. 진짜 도움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직설적인 존 케인즈작성자*
2025.01.13
저는 복합적이라 생각해서 구분지을 생각은 못했네요. 원하는게 2,3번 혼합된상태인 것 같아요. 3번이 공대진학 2번이 물리학과 졸업 후 대학원진학이구요. 물리학과 간다고 취직이나 창업 못하는 거 아니고 공대간다고 대학원못가는건 아니긴 해서 사실 학과 중요한게 아니라는 생각이 확실해 졌네요. 윗분 말씀처럼 학점이 더 중요하다는게 좀 현실적?인것 같아서요.
그런데 학과 선택에서 커리큘럼 보니까 전자공학에서 배우는 전필은 전자기학 정도고 나머지는 실습, 물리학과는이론을 다양하게 배우는 것 같아서 대학원을 갈거라면 물리학과가 맞는 것 같아서요.
2025.01.13
두 학문은 다루는 분야가 전혀 다르고 물리학은 자연과학, 전자공학은 공학이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2025.01.14
미지의것들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물리학과가 나을것 같습니다.
2025.01.14
이론물리 좋아하시면 물리과 가셔야죠 실험물리 좋아하시면 공대 가셔야죠 그리고 우주 암흑물질같은거 좋아하시면 취직은 포기하셔야죠
2025.01.14
잡다하게 관심 많고 물리학 전공하고 싶으시면 물리학과 가시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물리학과 가면 전자기학, 고전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게 되는데 그 중에 하나라도 더 깊게 파고 싶다고 생각하시면 물리학과 가셔야 해요
2025.01.12
대댓글 12개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3
2025.01.13
대댓글 1개
2025.01.13
2025.01.13
대댓글 3개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4
2025.01.14
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