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High IF (>20) 게재 A to Z 꿀팁 방출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1.14

20

6004

1. 학생들에게 요즘 우리 분야 연구 트렌드를 서베이 하라고 한 후, 미팅을 한다...

2. 미팅에서 애가 자료준비를 잘 했든 못 했든 일단 부족하다고 핍박을 주고 다음 미팅을 지시 한다. 이 때, 절대 이유를 알려주면 안되고 너네들에게 실망이라고 하며 다음에는 잘 해주길,,, 하며 달랜다. 이러한 과정을 두번정도 반복 하면 점점 퀄리티가 높아지게 된다...

3. 2번 과정에서 우리 연구실이 할 수 있는 주제를 잡고 학생들에게 실험을 착수 시킨다. 이렇게 3-4 그룹 정도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해 임무를 부여해서 사이클을 돌린다

4. 각 그룹마다 주간미팅을 하여 적당히 봐주는 척 한다. 약 반년-1년 뒤 어느정도 데이터가 쌓이면 논문 피규어로 구성해오라고 한다.

5. 이게 제일 중요한데, 애가 잘 만들었어도 일단 부족하다고 핍박을 주고 데이터를 더 쌓으라고 한 다음 약 3개월의 시한을 주고 다음 미팅을 지시 한다. 이 때, 절대 이유를 알려주면 안되고 너네들에게 실망이라고 하며 다음 미팅 에는 잘 해주길, 하며 달랜다.

6. 4번 5번 과정을 두세번 정도 반복하면 약 3년 정도 소요가 되어서 데이터가 많이 쌓이고 서플 피규어만 20개 넘어가서 대충만 써도 이미 IF 10점 내외는 그냥 낼 수 있다. 하지만 우리 목표는 20점 이상이기에 좀더 노력해보자.

7. 이제 피규어가 얼추 구성되었으니 매뉴스크립트를 작성하라고 지시한다. 마찬가지로 초안 메일을 받고 읽어보지는 말자. 일단 부족하다고 핍박을 주고 절대 이유를 알려주면 안되고 너네들에게 실망이라고 하며 다음 미팅 에는 잘 해주길, 하며 달랜다.

8. 7번 과정을 두세번 반복하면 내가 손안대도 될 정도로 높은 퀄리티의 논문이 완성되어 있다. 하지만 절대 학생을 치켜세워주면 안된다. 위계가 뒤집히므로...

9. 마지막으로 학생에게 원하는 저널을 말하라고 하고 커버레터 작성을 시킨 다음 투고한다..
웬만하면 20점 이상은 거뜬히 나온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5.01.14

와... 인성 무엇...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병신인가

2025.01.14

학생들 뼈삭을듯. 실적 뽑기는 좋겠지만.

2025.01.1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차라리 작가쪽이 더 적성에 맞으시겠는데요?

대댓글 1개

2025.01.14

누가봐도 그냥 관심받고 싶어서 어그로끄는거죠 뭐..

2025.01.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IF가 아니라 본인누적신고 아니신가요 ㅋㅋㅋ

2025.01.15

저거 딱 우리교수인데

2025.01.15

내 지도 교수란 놈도 저렇게 했음. 물론 원글처럼 여유를 주지도 않았고 봐주는 척도 안했지만.. 그래서 그런지 IF 30점대는 못냈었나보다. 지도 교수한테 저 과정에서 배운 점은 0이라고 자신 있게 얘기할 수 있음.

2025.01.15

내 생각엔 학생이 자기가 당한 걸 쓴 거 같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5.01.15

헉 당연히 학생 본인이 겪은것을 쓴거 아닌가

2025.01.1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 생각이 틀린게 아니라 역시나 비정상적인 연구실이었네요.
요즘은 기업도 실적을 보는지 IF 높아도 실적이 1개뿐이라 죄다 탈락이네요... 해외포닥이나 정출연도 거절 코멘트가 실적이 너무 없어서 미안하다네요... 1저자 최소 두개여야 지원 가능한 곳도 있고 ㅠㅠㅠㅠ
동병상련의 학우분들께는 심심한 위로의 말씀 드립니다.

혹시나 대학원 진학을 위해 연구실을 서베이 하시는 학부생 분들께 알려드립니다.

꼭 최근 3년동안 논문 수/연구원 수 < 1 인 곳은 거르세요.
10명이서 3년동안 10개도 못냈다면 인당 1편도 실적 못채우는 곳입니다. 부디 졸업 전 주저자 적어도 3개는 가져갈 수 있는 연구실에 컨택 바랍니다. 명심하세요. 여러분의 커리어가 망가집니다.

대댓글 2개

2025.01.15

주저자 3개는 박사 기준인거죠?

2025.01.16

일단 저는 해외포닥인데..
작성자님 대학원때 힘드셨던건 글만봐도 알겠고 저도 비슷한 과정을 거쳤지만,
팩트는 정출연은 볼 수 있어도 해외에서는 논문 갯수 안봅니다....
아마도 떨어지는 이유는 논문의 수준이 별로일 수도 있습니다. Top 저널들에 나오는 논문에도 수준차이가 0-100까지 다다릅니다.
그거 아니면 지도교수가 원하지 않는 분야 일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해외포닥은 돈가져오지않는이상 아무나 뽑진 않고요 진짜 실력있는 사람들만 선별해서 뽑거나 연결해서 뽑아서 전혀 다른 문제같아요..
그래도 작성자분이 한말들은 거진 다 사실이긴해요..
그래도 IF>20이상 낸사람이면 저는 기본기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충분히 잘되실거에요 지금만 버티면

2025.01.17

좋은 연구실이네...

2025.01.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니가 서부학교 데이비드 레인켄스....교수냐?

2025.01.19

이런게 가능하다는게 신기하네요.

2025.01.19

이건 뭐 연구도 아니고 그냥 노동 착취네

2025.01.20

학생들이 실험동물도 아니고 왜 그런 대우를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음

2025.03.22

엇, 근데 어떻게 보면 본인의 성장에 엄청난 도움이 되는 전략 아닌가요?! ㅎㅎ 이 방식대로 20점 이상 논문 쓰는 학생도 대단하고, 교수가 나의 능력을 보고 그럴 기회를 준 거라고 생각하시죠. 교수가 주는 주제로 그냥 실험만 한다고 해서 편한 것도 아니고 좋은 논문 나오는 것도 아니고...
그리고 다른 분 말씀처럼 줄세우기 실적 정량화하기로는 어려울 수도 있지만 해외는 다를텐데, 분야가 어딘지 모르겠지만 그 정도면 오퍼가 올만한데요. 사실이라면 엄청난 내공을 쌓은 충분한 능력자이신 것 같습니다.

2025.03.23

이게 각 나라 최고대학정도면 이렇게 굴려도 랩이 돌아갑니다. 미국으로 치면 뭐 하버드, 스탠포드, MIT나 한국으로 치면 SKP.
일단 입학하는 학생이 실력적으로도 우수하고 동기부여가 잘 되어있다보니, 뭐든 시키면 곧잘 해내고, 또 쪼면 쫄수록 퀄리티가 우수해집니다. 그래서 별다른 가이드라인이 없어도 처음 방향만 잘 잡고 쪼기만해도 우수한 퀄리티의 결과가 나오죠. 또 각 학생들이 욕심과 야망도 크다보니, 쪼아도 퍼지지 않고 어떻게든 갈아서 일을 해내고맙니다. 거기에 주위에 우수한 학생이 있으니 peer pressure도 커서, 교수가 일일이 안쪼아도 보통 알아서 스스로를 타이트하게 쪼아서 결과냅니다.

다만, 학교수준이 한두단계만 내려가도, 위 전략이 거이 안먹힙니다. 미국에서는 TOP 10~20 부근의 Top주립대, 한국에서 KY혹은 그 바로아래 서성한 과기원 정도만 되도 한 1~2 사이클만 돌아도 (5~10년) 개ㅂㅅ 랩으로 찍혀서 학생들이 안들어오고요, 들어와도 곧 나갑니다. 결국 끈덕지게 남아있는 학생이 없다보니, 나중에는 랩에 시니어가 없어서 학생이 들어와도 뭔가 트레이닝해줄 사람이 없어서 교수가 직접 실험뛰어야 하는 상황이 오기도 하죠. 이 상황이 되면, 진짜 실력있는 학생들 (탑스쿨이 아니면, 오퍼 받은 학생들 스펙트럼이 갈리기 시작합니다. 경험상 탑스쿨은 거이 오퍼받은 학생 대부분이 우수하죠)은 인기랩가고 진짜 마이너스 레벨 학생만 들어와서, 뭔가 시키면 자꾸 부셔먹고 이런 상황이 반복되고 랩 폭파됩니다. 정황상 탑스쿨 교수는 아닌거 같으니, 한번 잘 생각해보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