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카이스트 논문 AI 사건으로 느끼는점…

2025.07.03

2

348

해당기사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160766

카이스트 연구팀이 AI만 볼 수있게 긍정적으로 리뷰해 달라는
프롬프트를 숨겼다가 결국 논문을 철회했다는 기사 본후 여러 생각이 드네요

저도 사실 연구할 때 AI 엄청 많이 씁니다..

Wrtn, 라이너, Grammarly, upword, gemini.. 등등

벌써 쓰는것만 5개가 넘네요

덕분에 속도는 빠르지만 요새 ‘이게 진짜 내 연구 맞나?’ 라는 생각도 들긴합니다
AI 가 떠먹여 준 아이디어까지 내 공으로 챙기는 건 아닌지…

다들 AI 를 얼마나 어떻게 활용하고 계시는지
연구자로서 독창성을 지키는법이 뭘지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퍼플, 라이너, 그래머리 쓰시는분들 어떻게 활용하고 계시는지도 궁금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7.03

1. 아이디어하고 연구/논문 structure는 본인이 짜야함(이걸 GPT에게 의존하면 연구자 자격 없음)
2. 단순 표현 언어의 문제는 사람들에게 내 연구를 알리기 위해 GPT등 AI의 도움을 받는거 추천(가성비 좋은 영문 교정업체 개념)
3. 연구 내용 중 퀄리티를 조금 더 높이기 위한 행위들, 예로 코딩, 참고문헌 찾기 등등은 GPT 도움을 받아 쓰는것도 추천(교수가 우수한 대학원생을 데리고 있는 개념)
4. 저널 투고전 리뷰어로써의 역할 부여해서 GPT가 비판적으로 내 논문을 검토하게 함(가상 리뷰어 역할로 논문의 억셉율을 조금 더 높힘)

P.S. 개인적으로 카이스트 AI만 볼수있게 흰글로 적은거 개짜침. 피어리뷰를 AI에 넣고 돌려서 그 결과를 그대로 쓰는 리뷰어들이 제일 문제긴 하지만, 공식적인 논문으로 세계 사람들이 다 보는 연구에 '내 논문 좋게 봐줘'라고 AI한테 몰래 부탁해서 accept 시키려는 심보가 별로. 꼭 실적, 논문 개수를 내기 위해서만 연구하는 사람같음..

2025.07.03

아이디어를 내고 그거에 맞게 실험하고 가설이 맞는지 검증까지는 혼자 하는 편입니다 문제는 실험 결과 다 구하고서 논문 쓰는게 힘들어서 대략 틀만 짜주고 지피티한테 써달라고 하는 수준이에요… 창피하지만 있는 그대로 말씀드립니다 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