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2025.08.15

7

115

어떤 학생이 박사인건비를 맥스(월300) 받고있다고 한다면,

박사과정 학생 기준으로

보통 sci저널이나 우수컨퍼(연구재단인증)를

연간 몇개정도 써야

지도교수와 서로 상부상조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논문질은 대충 Q2 정도로 잡겠습니다.



당연히 교바교 랩바랩 등등 변수가 많지만

그냥 마음에 탁 떠오르는 갯수는 연간 sci 몇개 정도가 월급 300만원에 동등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8.15

혹시몰라서 첨언하자면... 저는 정답이 궁금한게 아니라

그냥 여러분의 생각이 궁금한것입니다

2025.08.15

분야 바이 분야겠죠.
이공계 평균이 상위권 대학 랩실은 박사 졸업때 주저자 2~3편 들고 나오는거 아닌가요? (제 분야나 주위 보면 이 정도인데, 듣기로 어떤 분야는 5~6편인곳도 있고, 1~2편도 어려운 분야도 있고 그러더라구요)
그리고 좀 중위~하위권 대학은 박사라도 SCI 1편 주저자 겨우 가지고 나오는 경우도 많더라구요.
박사과정 기간이 4~5년 잡았을 때, 2년에 1편 쓰는게 평균이겠죠. 현실은 1~2년차에는 안나오고 3~5년차에 몰아서 나오지만요.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8.15

인건비는 논문이 아니라 과제 수행의 대가로 받는 것입니다. 물론 우수 논문의 경우 향후 새로운 과제를 위한 세일즈에 활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랩에 따라 내부적으로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도 있으나 단순히 논문 몇 개를 게재했느냐로 인건비를 이야기하는 것은 부적절해 보입니다. 오히려 apc 비용도 지불하여야 하기 때문에 어중간한 논문만 많이 발표하는 것은 연구실 운영 측면에서 득보다는 실이 더 많다는 생각입니다.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