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산학장학(계약학과) 혜택을 받는 석사 1년차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월급 관련 저만 이런것인지 의문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저희 연구실은 석사 기준 월급이 대략 150-160 수준입니다. 그래서 저는 산학장학(계약학과)로 들어온 입장이라, 월급과 함께 기업에서 지원해주는 금액(@)을 함께 받는 것으로 생각하고 입학을 했습니다. (150 + @)
하지만, 오늘 랩실 선배들의 말씀을 들어보니, 저 같은 경우 기업에서 지원을 별도로 받으니 월급은 150-@ 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해주셨습니다. (이전 산학 혜택 받은분들 선배분들이 그렇게 했다라고 선배분들이 알려주셨습니다) 해당 이유를 물어보니 석사 인원들의 월급이 비슷하지 않고 소수만 많이 받아가는 상황이면 서로 불평불만이 있을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처음에는 제 생각과 너무 달라 당황해 그런가하고 넘어갔지만, 지금 다시 생각을 할수록 제 생각이 잘못된건지 아니면 이렇게 생각이 드는게 맞는지 의문이 생기고 있습니다.
혹시 저처럼 산학장학(계약학과)로 진행하셨던분들은 어떻게 월급을 받으셨는지 알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IF : 5
2023.01.17
그렇게 하는 랩이 많긴 한데 학생이 따낸건 학생꺼지 그게 교수 인건비 아끼라고 주는 돈이 아니잖아요. 게다가 산학이면 의무 근로기간 의무는 랩에서 같이 져주는것도 아니구요. 의무는 학생의무 이익은 공통의 이익이라는건 그 자체로 모순이고 절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전 계약학과는 아니고 산학 받으면서 다녔는데 저희 랩은 학생이 알아서 받아온 장학금은 일절 터치 안했습니다.
대댓글 3개
2023.01.17
저도 그 의무기간에 대한 조건으로 risk에 대한 지원을 받는거라 생각해서 고민했는데, 제 생각을 글로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면담 때 교수님에게 한번 말해보겠습니다.
IF : 5
2023.01.17
이미 몇 명 저렇게 해왔다면 저게 교수 방침일 수도 있고, 얘기해도 별로 바뀌는 건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3.01.17
그러면..실질 인건비는 거의 100이고 제가 장학생이 됨으로써 교수님 연구실에 XX만원 지원 + 인건비 @만큼 지원되는 상황이라 실질 인건비 < 연구실 지원비 상황을 보고만 있어야하겠네요...나름 허탈하네요
2023.01.17
저도 그래요 진짜 욕나옴
저는 등록금지원도 받아서
지금 월 30받고있어요
대댓글 4개
2023.01.17
등록금지원 -> 산학에서 지원해주는 등록금
2023.01.17
와..이거는 진짜 욕나오실만 하네요 왜 교수님들은 ㅠㅠㅠ
2023.01.17
교수님께 한번 말은 해보셨나요>?
2023.01.17
대대로 그래왔다고해서 따로 말은 안꺼냈습니다..
제가 산학이 되기위해서 한 노력과 회사 의무기간의 제 시간의 대가를 교수님이 뺏어가시는지 모르겠네요
2023.01.17
평소 학생들이 교수 의견에 반대할 수 있고 논리적인 토론이 가능하면서 교수가 뒤끝 없는 스타일이라면 얘기해봄직 합니다. 아니라면 얘기 꺼내서 원하는 방향으로 해결되는 경우 거의 없을 듯 합니다. 부당한 일이고 안타깝지만 그냥 받아들이고 졸업하시거나 랩 옮기시거나 해야겠네요.
2023.01.18
교수입장에서 보면 한정된 재원으로 연구도 하고 학생도 지원해야하는 데 다른 곳에서 지원을 받는 학생이라면 조금 양보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러나 저러나 상관없을 정도로 여유가 있다면 모르겠지만 그런 교수님이 많은 것은 아니니까요.
2023.01.17
대댓글 3개
2023.01.17
2023.01.17
2023.01.17
2023.01.17
대댓글 4개
2023.01.17
2023.01.17
2023.01.17
2023.01.17
2023.01.17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