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대학원 입학합니다. 현재 입학전 인턴과정이고, 실험실에서 전공관련 논문 한글로 번역하고 읽다가 선배분이 논문은 영어로 읽어야한다해서 영어로 읽고있습니다.
근데 지금 6일동안 영어로 읽어가면서 공부중인데 미치겠습니다 과거에 토익 850점 텝스 350정도 받아도 논문이 잘 안읽힙니다. 제가 영어 공부를 잘못해왔나 느껴질정도로..
그래서 영어논문 이렇게 공부중인데.. 이렇게 공부하는게 맞을까요?
1. 논문 영어 문장 읽으면 이전내용 까먹음 -> 내가 이해를 못했나 생각이 들어서 단락별 말하는 소주제가 무엇인지 한글로 적어놈
2. 문장에 모르는 단어 -> 의미 찾아내고 구글 독스에 영어단어장 페이지 만들어서 계속 적어놈, 처음에 스스로 생각했을때 중복되는 단어 두개가 적혀있으면 왜 또적지? 뭘 강조하려는건가?라 생각하면서 이렇게 표현한 이유를 추론해봄 (정모르면 지피티한테 왜 굳이 이단어를 또썻을지 물어봄), 또 단어가 와닿지 않으면 구글이미지에 영어단어검색을 해서 어떤 뉘앙스인지 확인해봄, 네이버 영어사전 예문도 확인
3. 모르는 문법 -> 어떤 문법용법인지 찾아내고 구글 독스 문법 정리에 저장 , 또한 이 문법에서 단순히 암기하는게 아니라 문법에 나열된 사용뉘앙스를 찾으라고함. 예시로 allow A to Bㅇ에서 A와 B와의 관계를 알려고함
4. 정모르는 문장은 기존에 ㄷ플 프로그램으로 논문원본을 해석해둔 한글번역본 봄. 물론 최대한 해석해보고 안되면 보기
5. 여기서 말하는 바를 워드에 정리 -> 생명공학 기법 일경우, 이 기법 사용 목적과 원리, 장점 및 한계점을 한글로 정리(정리안하면 계속 까먹고 흐름을 놓치더라고요)
6. 마지막으로 요약한것을 보고 내가 나중에 이 기법을 연구때 어디부분에 사용할수있을까 깊게 생각해보기
이렇게 하는거 맞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1.18
차차 능숙해지실 겁니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습니다 보통은요
대댓글 2개
2025.01.18
헉 감사합니다.. 선배님 하나 더 질문드릴게있습니다. Introdution 부분에서 연구목적을 말하기전 기존 연구 배경을 공부할때도 이렇게 하나하나 파가면서 공부해여할지 아니면 그 인용논문을 읽을때 핵심만 잡는 목표로 가야할지 조심스레 질문드립니다.
2025.01.18
그 field의 language를 익힌다는 의식이 있어야 된다고 봅니다 english를 새로 배우듯이 그 field에서 쓰이는 방식으로 language를 배워본다고 하시면 아주 좋을 것입니다
2025.01.18
한글로 봐도 어려운 국어 비문학 읽듯 잘 안읽힐걸요? 그냥 대가리 박으면서 익숙해지면 됨
2025.01.19
개인적으론 연구하러 대학원 왔겠지 영어 공부하러 왔겠나 싶어서 어떻게 읽든 상관은 안 쓰는 편입니다. 다만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려면 영어로 다시 읽어봐야 되는 부분도 있을 거라 영어로 읽는게 편하긴 할 겁니다. 논문 읽는 법과 관련하여서는 각자의 스타일이 있겠지만 개인적으론 조금 더 힘을 빼시고 최대한 많은 논문을 읽는편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무슨 읽은 논문 수를 따지냐고 무식하다고 욕하는 사람도 있긴 할 것 같은데 대부분 논문이 이해가 안되는 이유는 사전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거든요. 그리고 아무래도 하나의 논문 만으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한계가 있기도 하고요. 따라서 좀 단순 무식해보이긴 한데 우선은 많이 읽는게 도움이 많이 됩니다. 디테일을 챙기고 싶으면 나중에 중요하다 생각하는 논문만 다시 한번 보면 됩니다.
2025.01.19
당연히 영어로 읽는게 맞고, 토익 850점이라는 본인 점수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그다지 높은 점수가 아니므로... 당연히 지금 영어 논문이 잘 안 읽히는게 당연합니다. 그냥 많이 읽어보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저라면 윗분들 조언대로 조금 힘을 빼고 읽되 너무 이해가 안 되는 문장만 기록해두고 가끔씩 다시 훑어보는 식으로 공부할 것 같습니다.
2025.01.19
저도 영어논문 읽기 정말 힘들었는데요 저는 그냥 읽는 것에 익숙해지면 되더라고 생각하고, 최대한 한글로 된 자료를 보지 않고 영어로만 공부했어요
2025.01.20
해당 필드에서 특이한 의미로 쓰이는 단어들 때문에 독해가 잘 안될수도 있고 그 분야 자체에 대한 prior가 많이 없어서 잘 안 읽힐 수도 있음. 공부를 좀 하고 님 머릿속에 forward dynamic proxy를 만들고 대충 다음에 이런 내용 나오겠거니 예상하면서 읽으면 키워드 위주로 잘 보임. 일일히 다 읽을라 하면 오히려 안 읽힙니당
2025.01.18
대댓글 2개
2025.01.18
2025.01.18
2025.01.18
2025.01.19
2025.01.19
2025.01.19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