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국내 전컴 커리어 문의 드립니다.

2025.02.09

7

360

좋은 글들 통해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올해 SPK 학부 입학 예정으로 향후 전전이나 컴공을 전공으로 하려 합니다.

이후 계획은 SPK 석사 -> 삼성/하이닉스 취업 3-10년 정도 근무 -> 미국 빅테크 본사 취업 입니다.

질문은,

미 빅테크 취업을 위해, 학/석 전공 그리고 삼/하에서 업무 커리어는 어떤걸 해야 할까요?

저는 한국에서는 일단 반도체 관련을 해야 수요가 있을 거라고 보는데 잘 본 건지요? 파운더리와 시스템 반도체에서는 세계적으로 밀리는 듯한데 그렇다면 메모리 쪽을 해야 할까요?

아직 수업을 못들어서 우문이 될 듯도 합니다만, 의견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2.09

삼성 하이닉스를 꼭 거쳐야 하나요? 그냥 미박 가고 바로 빅테크 취업 하지…

2025.02.09

답변 감사합니다. 제 생각엔 한국이 메모리 세계1위라 산업계 경험이
미 빅테크 입장에서 차별적 merit 이라고 생각하는데 오판일까요?

미국유학은 자세히는 모르지만 년 1억도 든다고 해서 부담입니다.

대댓글 5개

2025.02.09

오판입니다. 한국이 메모리 1등이던 뭐던 신경 안 씁니다. 애초부터 미국에서 메모리 하는 회사가 마이크론말고 더 있나요. 그리고 미국 석사는 기본적으로 연 1억 드는게 맞지만 미국 석박통합은 풀펀딩이라서 돈 받고 다니는겁니다. 저는 지금 미국에서 다이렉트 박사로 왔는데 1년에 stipend 8000만원 받습니다. 물론 물가랑 세금이 높긴 하지만 기숙사에서 살고 밥도 해먹으면 국박과 비교 불가능하게 저축 할 수 있습니다.

2025.02.09

그리고 삼성DS는 2년 동종업계 이직금지조항 있죠.

2025.02.09

현장에서 주시는 귀한 의견 감사합니다. 물가 엄청난 미국에서 공부하며 저축도 할 수 있다면 정말 좋겠네요.

그럼에도, 결국 취직은 해야하고 그게 빅테크 목표라면, 개인적 자격과 업적은 기본이고 그보다 더 차별화할 수 있는 요소가 필요치 않나 싶은데 그게 혹시 메모리이지 않을까 싶었는데 아니라면 어떤 걸 focus 해야 될까요? 언어나 산업 규모에서 주는 직간접 영향력(?)에서 중국/인도계가 더 돋보일 거 같거던요.

2025.02.09

차별화 할 수 있는 요소는 메모리가 아니라요, 질문자님 박사 지도교수 명성입니다.

무엇을 포커스 해야하나 라는 질문에는 그 누구도 답할 수 없습니다. 왜냐면 미래에 대한 질문이기 때문입니다. 10년 전에 누가 어떤 걸 포커스 해야하나요 라고 물어봤으면 지금 사람들 모두가 AI 하세요 했을겁니다. 지금 시점에서 10년 후에 뭐가 전망이 좋을 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어차피 다 알고 결정하는것도 어렵고 다 조사하고 결정해도 미래는 알수없는것이니 지금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포커스를 정하긴 보단 학부 수업들 들으면거 재밌고 흥미가 있는걸 하는걸 해야 합니다.

그리고 박사 지도교수 명성만 있으면 가고싶은데 다 갑니다. 참고로 반도체로 커리어를 쌓고 싶으면 박사는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025.02.09

조언 감사합니다. 전컴이 범위가 워낙 넓어서 학부 시작부터 미리 방향 잡고 나가면 나중에 좀 더 기회가 많지 않을까 했는데 말씀 들어보니 좀 서둘렀던 것 같기도 하네요. 먼저 기본기부터 갖추고 긴 호흡으로 하면서 찾아봐야 겠네요.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