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해외학회 사비로 가는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5.02.13

14

4980

현재 위치: 석사생 (지방 국립대 석사)
학부 때는 연구분야 A 관련 주제로 연구했음
현재는 A에서 다른 분야 B를 합친 연구를 진행중임
(다른 분야 B는 석사 들어와서 처음 접해보는 과목임)

문제상황: 현재까지 PI가 가라는대로 A관련 학회만 참석했음
근데 B 관련 학회도 참석해서 Insight를 얻고 싶음
그래서 일본에서 열리는 B관련 국제 엑스포/컨퍼런스에 가고자 함

> 왜 한국이 아니라 일본임?
- 등록비가 참가비+교통비라고 할때 서울에서 하는 것보다 일본에서 하는게 동일하거나 더 효율적임. 그리고 해당 분야 관련 미국 학회들도 들어와서 일본에서 동시 개최하기 때문에

> 과에서 지원 안해줌?
- 과에서 B 분야 학회 관련해서 지원금 내준 경력이 없다고 답을 해옴.

> PI한테 잘 말하면 되지 않을까?
- PI가 B분야에 대해 잘 모름...
PI와 내가 공유하는 결과가 C라고 하면
A + B + Hard work = C (나)
A + ???? + Haaaaarrrrrrd Work = C (=Money) (PI)
(내가 B가 중요하다고 말해도 대충 읽고 던짐)

> 그럼 그냥 가!
- 중간고사 기간이랑 겹침. 하지만 난 다 온라인 수업.
- 근데 수업하시는 교수님한테 "저 그날 일본에 있어서 시험 온라인으로 봐야할 것 같다" 하면 PI한테 확인차 연락하는거 아닌가... 싶음

> 가지마!!
- 이번학기가 3학기라 다음이 없음. 4학기에 졸논 써야 하는 터라

그래서 갈까말까 갈까말까
마음은 일본가는건데 이성은 그 후폭풍을 염려하는 중
여러분이 나라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2.13

1) PI가 중요치 않다고 하면 중요치 않은겁니다.
2) 단순히 인사이트를 얻기 위함이면 논문을 읽는게 더 나아보입니다.
3) 과에서 지원해준다기보다는 과제 펀딩으로 가는거고 따라서 PI를 설득해야 하는겁니다.

자비로 가는거야 자유지만 작성자에게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대댓글 2개

2025.02.13

그렇겠죠..? 역시 다른 연관 저널들에서도 다 하나같이 B관련 내용을 언급했는데 PI가 중요치 않다고 하면 않은 거겠죠...

조언 감사합니다

2025.02.13

물론 교수님들이 논문을 투고하여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다른 논문을 평가하는 에디터, 리뷰어임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아무리 맞다고 생각해도 평가자가 아니면 아닌겁니다.

그리고 같은 주제라 하더라도 분야에 따라 중요시 보는게 다릅니다. 아무리 B분야의 주제라 하더라도 A분야에 가져와 다루고 A분야 저널에 논문을 투고하려면 A분야의 관점을 가져가셔야 합니다. 물론 그렇다 할지라도 아닌거 같다면 설득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설득을 못하겠다면 따르는게 맞습니다. 애초에 연구라는게 본인의 의견을 설득하는 과정인데 그걸 못하면 따라야죠.

2025.02.13

가고 싶으면 가세요 일본이라 비용도 크게 안들텐데. 그리고 굳이 타교수가 담당교수한테 확인하진 않을 겁니다. 그래도 증빙자료정도는 필요하겠죠

2025.02.14

학회의 가장 큰 장점은 논문에서만 보던 사람들을 실제로 만나서 대화할수있는 기회라는겁니다. 이메일로 물어봐도 답장안하는 사람들이, 직접만나서 big fan 이다 이런말하면서 대화하면 전부 대화해줍니다. 이런 정말 큰 기회를 놓치는 사람들이 국내에 특히 정말 많은듯해요. 학생들뿐아니라 교수들도 그런자리 귀찮다고 하거나, 첫날만 학회나오고 다른날은 놀러다니는 교수/랩들 보면 솔직히 돈이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해외포닥할때 정말 만나고싶은 교수를 볼수있는 학회있으면 사비로라도 갔습니다. 심지어 저는 명분만드려고 결혼식 날짜도 그 학회와 맞춰서 갔다왔어요. 그때 그 교수와 만나고나서 이야기가 정말 잘되서(겹치는 사람들이 좀있다보니) 나중에 그 교수가 초청해서 해당학교에서 세미나도 하고왔어요. (지금까지 와이프한테 욕처먹지만요)
학생신분으로는 인사이트도 중요하지만, 처음부터 다른 박사과정이나 교수들한테 인사하고 말걸어두면 정말 좋은자리입니다. 한국인들 학생들이 본인랩 구성원끼리만 몰려다니거나, 한국사람들끼리만 몰려다니는거 참 아쉬워요.

2025.02.14

온라인 수업이라면서요.
놀러가기도 하는데 못 갈 이유가??

2025.02.14

하고 싶은건 해보세요. 꼭 해보고 싶은 일을 주변 사람들이 추천하지 않는다고 해서 포기한다면 큰 후회가 남습니다. 기회비용도 크지 않은 것 같고요.
학회가 설령 도움이 안되더라도 스스로의 판단으로 기획해서 실행하는 경험 자체가 큰 자산이 될 겁니다. 졸업 후 회사 업무를 하든 학계 연구를 하든 그런 선택들의 연속일테니까요.

2025.02.14

가면 되죠. 중간고사는 대학원 과목을테니 과목교수들이랑 잘 협의하면 될거고. 그보다 문제는 pi와 소통이 안되고 있고 pi를 존중하지 않는 느낌이 있네요. 타인이나 주위상황이전에 자신을 먼저 봐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대댓글 1개

2025.02.14

앗 넵 조언 감사합니다.
한가지만 더 여쭤볼게요. 혹시 아래 관행들이 다른 연구실에서도 있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1. 학술대회 끝나고 다른 국제 학술대회에 논문 제출 요구 (데드라인이 5일 후)
2. 자기 학회에 논문을 유치하기 위해 상부상조 형식으로 논문을 다른 학회에 제출하는 행위
3. 자금문제로 학회에 참가비 안내고 회장 나가서 발표만 하라고 요구

2025.02.14

2번은 자기 제자 논문을 다른 학회에 제출시키는 행위입니다!

2025.02.14

다 좋은데, 걱정되는건 해당 학회에서 학생들의 발표는 청자에게 배려깊지 않을 수 있고 인사이트를 기대할 수 있는 깊은 대화를 할 기회가 많지 않을 수 있고 발표하는 교수들은 교수들끼리 어울릴거라 Pi 없이 가면 잘 해봐야 이메일 주소 받아오는 정도지 않을까... ( 장성급끼리 미팅하는데 일 이병이 꼽사리 끼는 느낌)

간과하는게 Pi가 모른다고 하는게 작성자가 생각하는 모른다 랑 다를 수 있다는 점, 아마 Pi는 너 지금 하는거도 모르고 시키는거 하기도 벅차보이는데 뭘 또 새로운걸 한다고 그러니 졸업 안하고싶어? 라고 생각하실지도?

대댓글 1개

2025.02.14

조언 감사합니다!
그 말을 들으니 한번더 생각해보고 결정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2.16

어차피 다 논문 인터넷으로 공개되는데 뭔 학회를 가려고 하냐 공부는 논문보면 되고 학회 간다하면 교수는 놀러가려는 줄 안다 가지말거라

2025.02.17

굳이 가고싶어서 사비로 간다면 말리진 않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