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바이오 꿈나무 질문 드립니다

2025.02.13

6

146

안녕하세요 현재 경북인아 라인 생명과학과 3학년 진급을 앞두고 있습니다.
3학년이 된 지금 정확한 진로에 대해 생각해봐야겠다는 마음으로 글 써봅니다.

현재 학점은 3.89/4.5 입니다. 하지만 학과 석차는 20/35로 낮습니다.
2-2 겨울방학동안 7주간 의과대학 교수님 밑에서 인턴을 하였으며, 개강 후부터 의과대학 교수님 랩실에서 학연생 할 예정입니다

인턴 면접 때 제가 ' 대학원에 진학하여 연구자로써의 꿈을 키우고 싶다'고 말씀을 드리니 면접봐주시던 교수님이
정확히 무슨 연구자가 되고싶은지 저에게 다시 물으셨습니다.
대학교 교수가 되어 너의 연구를 할 수도 있고, 정부 기관에 들어갈 수도 있고, 회사에 들어갈 수도 있는데 뭘 하고싶느냐고 물어보시는데 아는게 없고 생각해본 적이 없어 정확하게 대답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래서 질문 드리고 싶은건
1. 생명과학과, 바이오 쪽에서 박사 학위 취득 후에는 보통 어떻게 풀리는지 알고싶습니다.
포닥도 있고, 교수도 있고, 취업 하는 법도 있고, 정출연에 가는 방법도 있다 하는데 그러한 방향성을 어떻게 잡으셨는지 궁금합니다.
2. 제가 랩실 경험을 우연치않게 의과대학원에서 시작하였는데, 동물실험이 너무나도 재밌어서 앞으로도 의과대학원 진학을 생각해봤습니다. 생명과학과에서 의과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나요?
3. 의과대학원과 의전원은 뭐가 다른가요?
4. 어떤 분들은 대학원도 학벌이라고 spk로 가야한다고 말하지만 어떤 분들은 교수님의 능력이 중요하니까 랩실을 보고 가라고 말씀하시기도 해서 대학원 진학 고민도 계속 됩니다.

또한 관련 공부할 때 도움되는 사이트나 꿀팁들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이오 선배님들의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2.13

이쪽 분야는 잘 모르지만,
어차피 잘 아신다는 분들께 물어봐도 아마 각자 다 다른 얘기할 겁니다.
(좀 컨트로버셜한 질문들이니...)
중요한건 이제부터 정보가 본인에게 갖는 가치 및 내용 그리고 중요성 등을 판단하고
헤쳐가는 겁니다. 저는 그게 박사로 가는 첫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꼭 박사만 그런 것도 아니지만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13

1. 학부 때부터 잡고 들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석사 하면서 생각해도 됩니다. 박사까지 할 지 석사만 하고 취업할 지요.

2. 의대는 자대 학부생들이 다 임상의사 되려고 해서 대학원 안가서 대부분 타대 생명과나 관련 학과 출신으로 대학원이 운영됩니다. 랩이 논문이 잘 나오는 좋은 랩인지가 문제이고 생명과든 의대든 단과대 자체는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3. 의전원은 이제는 거의 없어졌는데 로스쿨처럼 의대가 아닌 생명과 같은 학부를 나와서 예과 없이 본과로 들어가는 겁니다. 의대 학부 본과 편입하고 비슷하겠네요. 의사 되는 겁니다.

4. spk의 논문 잘 나오는 탑 랩 갈 수 있으면 가세요. 보통은 그게 아니라서 고민하긴 하지요. 랩 인원 수 당 논문 수도 체크하고요. 간판이냐 실적이냐는 끊임없이 이야기 나오는 부분입니다. 석사는 간판, 박사는 실적 이라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석사는 짧고 실적이 얼마 안 나와서 실적으로 승부를 보기가 힘들어서요. 실적이 없는 물박사는 어디를 나왔든 힘들어지고요. 실적 있는 경우 학벌도 좋으면 더 좋다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13

1. 박사학위 취득후 결정되기 보다, 박사학위 하는동안 굳혀지죠.
여러 외적인 요소가 관여해서 자신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는 합니다.

2.많다 적다 논할 주제는 아니고, 생물학을 어차피 하는거면 의과대학이든 아니든 특히 박사학위 받은 사람들은 신경 안씁니다.

3. 윗분 내용 참고

4. 확률적으로 좋은 학교의 연구실이 괜찮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가라고 하는거지, 본질은 좋은 지도교수님, 연구실 사람들을 만나라는 것입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