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하나 쓰기 전에 관련논문 몇편 쯤 보세요

2025.02.14

22

4055

한편 작성 및 출판하기전까지 참고논문 볼 때
70%이상 쯤 정독해서 보는 논문 몇개랑
대강 부분적으로만 참고하는 논문 몇개쯤
보세요

저는 무작정 논문 읽다보니까 목적의식없이 방황하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내 새로운 아이디어 만드는 게 핵심인거 같아 70%이상 정독하는 논문은 5~10개로 제한할까 하는데 어떨까요

분야는 머신러닝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5.02.14

글쌔요 단순히 새로운 연구분야서 논문을 1편 작성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한다면...
제법 집중해서 봐도 10~20편은 보지 않을까요?
어느 정도의 이해를 가지고 있는 토픽에서도 누적으로 읽는 논문이 최소 30편은 봤겠네요
대충 훑어보는 정도는... 글쌔요 그런건 거의 백편 이상 봤을지도 모르겠네요
알고 있는 주제에서 약간 새로운 연구를 한다고 생각하면 대략 5~10편은 집중해서 보는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5.02.15

저도 이정도가 적당한것같네요

2025.02.14

총 백편이요. 보통 레퍼런스를 30~50개 정도 다는데 관련 없어서 직접 레퍼런스 안 한것까지 고려하면 논문 1편에 기반이 되는 기존 논문은 100편 가까이 된다고 봐야죠

2025.02.14

정독으로 최소 100편

2025.02.14

생각보다 훨씬 많아서 놀랐네요., 혹시 분야들이 어떻게 되시는거에요

2025.02.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바이오인데 논문 몇 편 안 썼을 때에는 최소 100편은 봐야죠. 그 중에 정말 핵심적인 논문들(벤치마킹용, 핵심 논거 제공, 핵심 메쏘드 제공 등)은 최소 20~30편은 될거고요, 나머지는 논리 전개에 필요한 자잘한 논문들이거나 대부분은 학습용이죠. 그 중에 논문에 실제로 레퍼런스 다는건 30~60편 사이가 됩니다. 그 뒤부터는 연구 주제가 바뀌지 않는다면 어차피 기반 논문들은 그대로 들어가고 업데이트나 타분야 융합 내용 등을 읽으면서 진행할테니 논문 한 편 쓰기 위해서 추가로 읽어야할 논문 숫자는 점점 줄어들 수 있습니다. 간단한 논문들이야 뭐 10편 이내로만 더 읽고도 쓸 수 있겠죠.

그런데 조언하나하자면, 처음에는 대부분의 논문을 정독하셔야됩니다. 그리고 70%정도쯤 보는건 정독이 아니고요, 정말 이해 안 가는 메쏘드 정도 빼고는 99% 다 뜯어보는게 정독입니다. 이상적으로 논문을 쓰는 시점은 내가 이만큼 많이 공부하고 생각해서 이 주제에 대해서 하고싶은 얘기가 저절로 넘쳐날 때쯤이예요.

2025.02.14

200편 이상

2025.02.14

관심분야 탑저널 논문 한편을 라인바이라인으로 읽었을때 왜 저자들이 이런 말을 썼는지 이해가 안 가는게 없고, supplement 하나하나가 뭘 디펜스하기 위해서였는지 이해가는 트레이닝이 1번일거 같아요. 이걸 100% 정독이라고 가정한다면, 100% 정독한 논문 한편에서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그 아이디어와 비슷한 논문들 리뷰하면서 리서치 갭을 탐색하는 과정이 있을거고, 그러다보면 70% 정도 읽는 논문들 10-20편 쯤 거치다보면 아이디어가 구체화되는 것 같구요. 이 정도 상황에서는 실제 연구와 문헌 리뷰의 반복적 이터레이션이 있을거고, 연구방법에 대해 참고하느라 정독하는 것도 있을거구요. 이렇게 따지면 100% 1-2편, 70% 10-20편, skimming하는 것 50-60편은 최소로 보지 않나 싶네요.

2025.02.14

다들 100편 200편 그러는데 GPT에 넣고 돌리지 않는 이상 그 속도가 나올수가 있나요?

백지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유도 가능한 핵심 논문 몇 편 (어쩔때는 1편) +
평소에 꾸준히 읽으면서 쌓아둔 짬바와 레퍼런스북
으로 씁니다.

이렇게 쓴 논문들 1저자로 탑저널 많이 실었고 수상 여러번 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2.14

그 꾸준히 읽은 것도 카운팅에 포함시킨거고, 댓글쓴이도 아마 비슷한 수 일듯

2025.02.15

핵심 5~ 10편 정도 보고 논문 작성하면서 레퍼 타고 타고 읽고 (훑거나 집중해서 보거나) 이렇게 해서 보통 실질적으로 보는 건 한편 당 40편 정도?? 본인 아직 5% 1편, 10% 1편 ..

2025.02.15

스타일마다 분야마다 다르지 않을까요? 저는 핵심 논문 2-3편을 위주로 공부하고, 거기에 참신하거니나 학문적으로 의미있는 내용을 연구로 디벨롭해요. 하지만 제가 쓸 논문은 타인을 설득해야하니 연구의 역사적 흐름과 거기에 내 연구의 장점을 부각하기 위해 본 연구의 흐름과 약간 다른 논문이라도 초록과결론을 읽고 인용하는 편입니다. 왜냐면 그렇게 해야 논문이 오직 내 성과를 자랑하는 글이 아닌, 미래의 독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글이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요컨데 연구 진행과 논문쓰기는 서로 다른 스킬이 필요한 것 같가요. 그리고 논문 쓰기에서는 연구의 독창성 참신성 만큼이나 내 연구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람도 설득이 될 수 있도록 처음 접하는 사람 입장에서 설득력을 갖추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부디 이 의견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5.02.15

답변들에 감사합니다, 역시 생각보다 많이 봐야하는군요, 하고싶은얘기가 생길때까지 수준 올리는 것이 기본이군요

2025.02.15

관련 없으시겠지만 바이오입니다. 리뷰논문 쓸 때는 같은 주제 리뷰논문 10편(100프로 정독)과 그 논문의 레퍼런스(60프로 속독 및 정독)를 다 읽어보고 아웃라인을 잡고, 초고를 쓴 후에. 아웃라인에 들어오는 최신 3개년 실험 3~50편을 80프로 정도 정독으로 읽고 추가합니다.
실험논문 쓸 때는 제 주제의 탑티어 논문 5~10편을 암기하고(이건 실험하면서 달달 읽었겠죠?) 인트로나 디커쓸 때 추가할 논문 10편정도 더 정독합니다.

대댓글 2개

2025.02.15

제 논문 쓸 때마다 매번 아 논문 깊이가 얕다 앝어 하면서 후회하지만, 현실적으로 이 이상으로 하면 타임테이블을 어기게 되더라고요.. 포닥입니다

2025.02.15

적다보니 레퍼런스를 60프로라고 과장했네요..거의 스키밍으로 읽었습니다.

2025.02.15

첫 논문 작성할때까지 1000편은 본 것 같네요. 사회과학 이론 쪽 분야라서 첫 논문을 6년동안 써서 박사과정 4년차때 처음 완성했습니다.

2025.02.15

저는 2000편이요 전기전자입니다.

2025.02.16

저는 15000편이요 화학과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2.16

정말인가요 시간이 얼마나 걸렷나요

2025.02.17

정독하는 논문은 많을수록 좋아요 분야가 아무리 좁아도 5~10개는 너무 적은것 같아요

2025.02.17

정독하는 논문 수를 제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더 많이 봐야 아이디어가 떠오르더라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