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보통 돈 많이 버는 전문직들이 교수들 박봉이라고 엄청 까내리지 ㅋㅋ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2.21

18

9063

난 교수도 포닥도 아닌 산업계에 있는데
아래에 글들을보니깐 교수에 대한 글이 좀 많네.

솔직히 돈은 잘 벌지. 전문직들이 교수보다 훨씬 더
일부 전문직은 연휴 전날에 고맙다고 선물도 주고 얼마나 좋아?


근데 진짜 제자의 CV의 지도교수란에
본인의 이름 세글자 박제하는게 개간지지 ㅋㅋ

그리고 스승의날이나 평소에 근황알려주면
제자 하나하나 생각나면서 얼마나 뿌듯하냐 ㅋㅋ
비즈니스를 떠난 영역이다.


그리고 과제를 굴려서 보너스를 더 받을 수 있는
그니깐 욕심을 낼 수 있는 공학 자연계열 교수는 전국에 2만명정도

국내활동 의사 10만, 간호사 28만, 약사 4만
판사 3천, 검사 2천, 변호사 3.5만명


교수가 너네들처럼 그렇게 흔한 존재가 아님 ㅋㅋㅋ
교수 까는글 보니깐 그냥 교수되고 싶어도 못하는 것들이 안달나보이는게 재밌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깜찍한 장자크 루소*

2025.02.21

전 조용하게 그닥이야라는상태가좋습니다.
티내지말기

2025.02.21

진짜 공대 교수는 중소기업 운영의 영역임

2025.02.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니깐 그2만명 공대교수말고 나머지 5,6만명 교수를 생각해보라고

2025.02.21

의대 교수도 고민이 많답니다.

대댓글 1개

2025.02.22

공감합니다

2025.02.21

대부분 그렇게 생각안하지. 커뮤니까 서로 까대는거지

2025.02.22

대부분 교수들은 능력대비 꿀빨긴 하지ㅋㅋ

대댓글 1개

2025.08.13

교수들도 자기네들 시절엔 에이스엿죠. 대신 최근 트랜드 연구를 계속 따라가는 교수님도 계시고 그냥 예전 배운그대로 몇십년 하시는 교수님도 계시고

2025.02.22

비교좀 그만하고 니들 인생을좀살아

2025.02.22

와 전국 2만명만 가능한 것 전부 가능하고 + 라이센스까지 있어서 언제든 개원도 가능한 전국 7000명 의학사 의대 교수들 개부럽다. 원글 ㅇㅈㅇㅈ 의대 교수가 넘사지

근데 도대체 어떻게 분류를 하면 간호사가 전문직이 되는 거냐? 간호조무사는 왜 뺀거?

2025.02.22

간지 없으면 못삼??? 멋을 위해삶?

2025.02.23

예전에는 꿀빨았지. 사회적으로나 지위로나 손색이 없는 직업. 글쎄 인공지능 학습 툴 나오면 교수들도 어떻게 될런지 장담못함. 인공지능 덕분에 살아남을 직업이라고 하는 의견도 있고. 대학원생 2~3명에게 시킬 직무를 chatgpt로 간단하게 해결하고 실험실 자동화 인공지능 모델도 나오고있고. 대학원생도 줄고 하면 굳이 교수도 필요하나 모르겠네. 수는 급격하게 줄어들것 같긴함. 그렇다고 소수정예라고 월급이 높진않지. 어짜피 지식은 인공지능이 더 많은데. 인공지능 지식을 잘다루는 일반인이 왠만한 교수들보다 나은 미래가 올지도 모름. 그래도 교수는 좋다고 덮어둘 문제는 아닌듯.

대댓글 2개

2025.02.23

AI등장으로 연구 잘하던 사람는 연구성과 더 많아져서 연구하는 사람간에 상위권 하위권 격차가 커진다는 보고가 있더라.
아마 교수도 상하위 연구성과 격차가 더 커질듯.
교육은 모르겠다 ㅎㅎ

2025.02.23

제가 chatgpt로 연구개발업무에 사용해보고 있는데 딥러닝 도입하거나 필요한 하드웨어 기술을 사용하려고합니다. 전 참고로 물리학 전공이여서 이런 기술에 대해 전문가도 아니고. 옛날같으면 관련 전공자 초빙하거나 산학협력으로 연구개발비를 태우거나 해야하는데 월 3만원에 chatgpt로 간단하게 개발전략이라든가 소스코드 개발을 직접할수있고 내가 알지도 못하는 분야의 지식을 배울수있어서 굳이 전문가 영입이 필요없더라고요. 그런데다가 그 많은 일을 혼자 해보고 있다는것. 여러사람 필요없음. 굳이 전문가가 없어도 일진행은 되더라.

2025.02.23

능력이 없어 그 길을 가지 못했고 어찌저찌 전문직이 되었어도, 교수님들의 삶을 부러워하지 않은 적이 없습니다. 여전한 동경의 대상이죠. 까내리지 않는 사람도 많다는걸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2025.02.25

그냥 본인 전공이나 직업이나 열심히 하세요. 남들 부러워하고 남들 하는 일에 왜 그렇게 관심이 많음

2025.02.25

박봉이니 뭐니 말이 많지만, 사실 돈보다는 직업의 의미가 더 중요한 법이죠

2025.02.25

교수도 지금이나 교수지 ㅋ 이제 대학 80% 통폐합 되봐라 교수들 곡소리나는거 시간문제다 전문직? 앞으로 할일 더많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