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의 랩인원은 포닥 2분 제외한다면 15명 정도 됩니다 다만 외국인 학생들이 많고 타대 학생들도 꽤 많습니다(포닥분들도 외국인이십니다) 교수님 인용수는 10000 이상이고 h index는 54 되십니다 (IF랑 상위 몇 프로 논문을 내시는지는 어떻게 찾는지 잘모르겠습니다..)
여기선 학교가 높지 않다고 하는데 그래도 흔히 말씀하시는 대학순위로만 보았을땐 상위권이며 좋은 논문을 많이 내려고 하시는 것 같습니다
랩분들 중에 자대생이 많지 않으면 인기가 없거나 무서우신 분이실까봐 걱정이 되네요.. 랩장님께 연락을 따로 드려볼 생각도 하고 있으나 그 전에 이러한 지표들만 놓고 보았을 때 이 곳에 진학하여도 괜찮을까 여쭙고 싶습니다
저는 박사까지 진행하고 회사로 취직하고 싶은 상황입니다
추가) 검색해보니 IF가 20정도 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3.15
Google scholar 찾아보세요
대댓글 1개
2025.03.15
찾아보았습니다!
2025.03.15
무엇이 중요한지도 모르는듯. 질문의 목적과 명확성이 없음.
본인이 좀더 공부해 보시길.
대댓글 6개
2025.03.15
혹시 어떤게 중요한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제 질문은 랩 규모가 위와 같고 논문 실적이 다음과 같은데, 랩에 타대생과 외국인의 비율이 높다보니 혹시 자대생이 많지 않은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 염려되어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들어보고 싶단 의도였습니다
2025.03.16
본인이 여기는 가치를 설명하길 바람. 목표가 박사후 취업이라면 스칼라를 볼게 아니라 교수님의 연구주제를 말했어야지.
그리고 스칼라를 볼게 아니라 학생이 1저자인 논문이 최근에 어디에 나오는지를 보길 바람. If가 20이라는건 뭔뜻인지..
자대생 얘기도 마찬가지. 본인이 걱정하는 부분이 뭔지가 명확하지가 않음. 외국인과의 소통문제가 걱정인지, 교수의 폭언이 걱정인지, 실적을 잘 내지 못할것이 문제인지 모르겠음.
그냥 무지성으로 재대생 많이 없으면 안좋지 않을까해서(정확히 자대생이 없는게 어떤 이득과 손해가 있는지 몰라서) 두루뭉실하게 어떻게든 설명해라라는 글임.
본인의 성향적 고려를 해야하는데 그 내용은 없음.
2025.03.16
네 정말 감사합니다
연구주제나 분야는 게시물을 처음 올려보는지라 특정이라도 될까 싶은 마음에 말씀을 못드렸던 것 같아요
정말 읽으시면서 불편하셨겠어요 죄송합니다
말을 덧붙이자면, 반도체 소자 연구 분야이고, 최근 학생 1저자인 논문들이 IF 20정도 되는 저널 위주로 올라왔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말씀을 드리면 되는건가 싶어 IF가 20이라고 적었습니다 (혹시 이런 방식으로 IF를 아는 것이 아니라면 죄송합니다. 검색을 했을 때 이런 식으로 IF를 말하는 것 같기에 찾아서 적어보았습니다)
자대생은 얘기같은 경우는 외국인과의 소통이나 실적 문제로 드린 말씀이 아니었습니다 자대생 비율이 적기에 혹시 교수님께서 폭언을 하시거나 무서우신 스타일이신건지, 이로인해 학생들에게 신경을 잘 못써주시는지 않을런지 걱정이 되었습니다
다만 이런 걱정은 직접 부딪혀봐야 아는 것이기에 제가 알고 있는 정보(본문에 작성한 글)로 파악해달라고 말씀드리기엔 불명확한 부분이 있다고 여겼습니다
따라서 자대생과 외국인, 타대생 비율을 보았을 때 자대생 비율이 낮으면 일반적으로 안좋을 확률이 높다는 등의 인식을 알고 싶었습니다
이렇게 보니 제가 많은 내용을 함축해 내제하고 있던 것 같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알고 계신 선에서 보통 이러한 실적을 내는 연구실의 자대생 비율이 낮을 때 어떤 걱정을 해볼수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2025.03.16
1. 실적은 상위권/나도 반도체 분야인데 저정도 연구실이면 취업은 신경쓸 필요도 없음. 본인 실력이 연구실평균 이하여도 원하는 기업은 골라갈듯.
2. 교수의 폭언과 자대생 비율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 특히 실적이 좋음에도 자대생이 기피하는건 꽤나 의심해볼 만 함. 하지만 자대생이 거의 없는것과 꽤나 있는데 주류는 아니다.는 매우다름. 15명중 자대생이 3명이하면 들어가기전에 인턴을 해볼것을 강력히 권장. 자대생 비율등은 간접증거라 확정할 수가 없음.
3.여러 이유로 자대생이 적을 수 있음. ex) 교수가 최근에 학교를 옮겨 제자들이 따라온 경우, 다양성을 중요시해서 어느정도 타대 학생들을 받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경우 등
권장하는 방법은 교수님께 연락해서 방학 1달동안 미리 인턴을 하겠다고 연락하는것. 이는 교수의 마음도 훔치고 진짜 아니다 싶으면 빠르게 도주가능함.
Ps.사람에 따라 자대생 적은 분위기와 맞는곳이 있고 자대생 많은곳과 맞는 사람이 있음. 교수님이 폭언하는 랩실은 틀린 랩실이지만, 다른경우 본인에게 잘맞는 연구실과 잘 맞지않는 연구실만 존재함. 본인의 성향을 잘 고려해 보시길.
2025.03.16
정말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잘 알아보고 제 성향과 고려해 생각해보아야겠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려요
2025.03.16
까칠하지만 친절하신 분이네 ㅋㅋ 댓글보면서 저도 많이 배워갑니다.
2025.03.15
자대생이 없는거면 의심부터 해봐야함
대댓글 1개
2025.03.15
그렇군요..! 랩장님께 연락드려도 솔직하게 제게 말씀해주기 어려운 부분이 있겠죠..?
2025.03.16
랩 분위기나 교수님 성향은 결국 직접 겪어봐야 알긴 하지만 인용수나 IF만 보면 연구 역량은 확인된 곳 같아요 외국인이나 타대 출신 많은 랩도 사실 요즘 흔해서 자대생 적다고 너무 걱정하진 마세요 저희 랩도 자대생보다 외부 학생 더 많지만 다들 잘 지내고 있어요 다만 랩장님 통해서 실험실 분위기나 교수님 스타일은 꼭 미리 물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2025.03.15
대댓글 1개
2025.03.15
2025.03.15
대댓글 6개
2025.03.15
2025.03.16
2025.03.16
2025.03.16
2025.03.16
2025.03.16
2025.03.15
대댓글 1개
2025.03.15
2025.03.16
대댓글 1개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