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재료만으로는 한계가 있나요?

2025.03.15

8

2069

재료 연구실에 들어와보니 대부분 다른 연구실과 코웤으로 일이 진행되더라구요

저희가 합성하면 그걸 솔라셀 랩에서 적용하고, 배터리 랩에서 적용하고 등등...

교수님 말로는 재료만 가지고는 다 거기서 거기라 어플리케이션이 훨씬 중요하다고 하시는데 실제로도 그런가요?

좋은 저널에 내려면 초전도체급 재료를 만들어내는게 아니라면 무조건 코웤해야 한다고 하시네요

박사과정 선배들한테 살짝 물어봤는데 맨날 재료 언제만드냐 닦달만 당하고 1저자 뺏기고 논문 이름 앞자리 뺏기고, 실적도 코웤한 연구실에서 더 크게 가져가는 경우가 많다고 말하시는데 뭐가 맞는지 아직 판단이 안됩니다

현실이 이렇게 빡센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3.15

ㅇㅇ그게 재료만 하는사람들의 한계임.
결국 혼자 재료+소자 둘 다 할 줄 알아야함.
회사갈거면 노상관

대댓글 1개

2025.03.15

저도 재료+소자만 생각했는데 반도체 배터리는 기본이고 항공, 통신같은 분야나 심지어 생명쪽이랑도 연결되더라구요
재료가 모든 연구의 시작점이라 그래서 좋은거같기도 하고 막상 재료만 파도 잘 안되서 어려운거같기도 하네요 ㅠㅠ

2025.03.15

재료 하나 만든 걸로 application 우려먹으면서 논문 찍어낼 수 있는 게 장점인데 그렇게 하기 쉽지않죠
그리고 회사도 비슷한 게, 완제품 대기업에서는 재료만드는 협력사 갈구는 게 일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3.15

직접 와보니 확 느껴집니다... 재료만 하기도 벅찬데 어플리케이션까지 다 하기엔 정말 쉽지않은거같아요

2025.03.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래서 소재분야는 교수 네트워크가 중요합니다. 코웍할 곳 못 구하면 제대로된 어플리케이션도 못해보고 좋은 저널에 논문 쓰는건 포기하게 되니깐요. 학생들도 학회 활동도 많이하고 본인들이 만든 재료들을 최대한 많이 홍보하고 다녀야 하고요.

2025.03.15

그래서 제가 실무와서 통계와 기계쪽을 팠습니다. 재료만으로는 한계가 커요.

괜히 학과 이름에 science가 들어가는게 아님.

2025.03.15

재료라고 하기엔 분야가 너무 넓지 않나요?? 유기, 무기, 금속, 산화물, 에너지 재료, 촉매 등등… 그리고 요즘 빅페이퍼를 쓰려면 어떤 분야이든 콜라보는 거의 필수이긴하죠

2025.04.04

저는 분석 연구실인데 비슷한 느낌이네요. 하지만 코웍 구해서 잘하면 또 좋은 곳 쓸 수 있고 연구실 전문성도 있으니.. 나쁘지 많은 않은 것 같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