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대학원은 학벌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박사학위는 말 그대로 스스로 연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는 학력이며, 우리나라에서 학벌은 어디까지나 학부에 국한된다고 봅니다. 다만, 학부가 다소 낮으나 좋은 대학원에서 양질의 실적을 다수 뽑아낸다면, 그 실력을 모두에게 인정받아 다양한 선택지를 가진 연구자가 될 수 있겠지요. 오히려, 학벌이 별로임에도 최선을 다해 최상워권 레벨과 경쟁하여 쟁취했다는 측면에서 좋게 평가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저는 대학원 진학에 있어 너무 간판만을 쫓지는 않으셨으면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ist 대학원에서 월등히 좋은 실적을 뽑아내기 훨씬 유리한 상황이라면, ist 대학원에 진학하여 실적을 만들고 그 이후를 준비하는 것이 더 유리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다만 spk 대학원에 진학하려는 분야가 본인의 흥미에 맞고, 본인의 노력에 따라 충분히 좋은 실적을 뽑아낼 수 있어 보인다면, spk 진학이 더 추천되겠지요. 연구분야에 대한 흥미, spk 연구실의 자대생 비율, 본인의 동기부여 등을 고려하여 좋은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spk박사의 기업 내 대우를 물어보셨는데, 박사급 채용의 경우 spk 세 학교만 대상으로 설명회를 진행하는 일부 기업 및 직렬들이 있습니다. 다만 그런 기업들은 채용 시 단순 박사학위 뿐 아니라 학부도 같이 반영합니다. spk출신만 따로 대우할 회사라면 학부도 spk여야만 그 혜택을 온전히 받는게 가능할겁니다.
2025.05.05
Ist 대학원에서 좋은 교수라면 거기도 좋다고 봅니다. 거기에서 spk로 이직하실 가능성도 커 보이네요. 하고싶은 걸 쫓아가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봅니다
2025.05.06
뭘 하고싶으신지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일단 기업이 SPK 따로 관리하는건 박사에 대해선 그렇습니다. 다만 그 기업이 미국기업이 아니고 한국기업들이에요. SPK에서 박사를 하면 주위에 해외포닥 후 미국 빅테크/교수/정출연을 목표로 하는 사람이 많다보니 주변 사람에 눈높이가 맞춰지면 한국 대기업이 성에 차지 않게 됩니다. 과연 그런 상황에서도 한국 회사들이 SPK 박사를 별도 관리한다는게 메리트가 될까요? 다만, 교수 임용이나 정출연도 간판이 안중요한건 아닙니다. 그래도 IST와 SPK라면 연구실적과 포닥 커리어로 뒤집고도 남습니다. 해외 취업도 마찬가지구요. 그래서 맘에 드시는 곳 (교수님의 1대1 지도를 선호하는지, 대규모로 학생들간 공동연구를 선호하는지 등등)을 고려하셔서 고르시는게 좋겠습니다. 다만, 석사만 하고 국내취업을 한다면 불경기 때문에 산학장학생 이외에는 취업 루트가 사실상 끊긴 수준입니다. 만약 석사 후 취업이 목표라면 Kaist의 kepsi, epss나 포스텍의 psep 등 산학장학생을 노리는게 무조건 맞습니다.
2025.05.06
박사면 랩 실적 석사면 학교 간판이 국룰입니다
대댓글 2개
IF : 1
2025.05.06
정답
2025.05.06
저도 여기에 동의! 간판은 좋은데 연구실적이 그저 그러면 아무 의미도 없습니다. 박사는 간판보다 연구 실적이 우수할수록 더 인정 받습니다. 지방 소도시 국립대 나와서 해외에서 연구원으로서 여기저기 유럽에 초청 받고 다니시는 분도 있습니다.
2025.05.06
같은 값이라면 (똑같이 노력하고 실적 비슷하다면) 간판이 도움이 됩니다. 실적이 압도적이면 덜 중요하겠죠. 정답은 없고 상황에 따라서 보면 될텐데 기왕이면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다면 하는게 나은 것 같아요
2025.05.06
간판이 나를 위해 뭘 해줄지 고민하지 말고 내가 간판을 위해 뭘 할지 고민하라 -
2025.05.06
간판에 대해 실적이 더 중요하다는 분들의 의견도 존중합니다만 저는 둘 다 챙기셔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왕이면 다홍치마라 spk로 가서 박사했다하면 국내 인식 자체가 다릅니다. 우리끼리야 서로 상황아니까 실적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지만 사회에선 실적까지 볼 여력을 안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로는 이력서 한줄에 적혀있는 명문대가 더 높은 파워를 갖기도 합니다.
입학 후 네임벨류는 본인이 바꿀 수는 없습니다. 저라면 spk의 공장형 랩에서 노력하셔서 2개 다 성취하실 수 있도록 노력할 것 같습니다.
2025.05.06
제 생각에는 ist석사하면서 많이 배우고 실적채우시고 spk박사로 가시는 루트가 가장좋을 것 같습니다
2025.05.14
현직 정출연 연구원입니다 채용 전형 몇번 들어간적 있구요 정성평가로 학교 어디나왔는지 (학부 뿐 아니라 대학원 포함) 반영됩니다
2025.05.05
2025.05.05
2025.05.05
2025.05.06
2025.05.06
대댓글 2개
2025.05.06
2025.05.06
2025.05.06
2025.05.06
2025.05.06
2025.05.06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