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3학년 학부생인데 분야는 생명과학이고 아직 연구 경험이 전무합니다. 제 생각에는 먼저 학부때는 일본어공부와 석사 입학시 필요할 공인영어성적 취득, 학부 학점 챙기기를 열심히해서 3,4학년을 마치고 연구 경험은 연구생으로 간 후에 쌓을 생각이었는데요…
연구생으로 들어가는것은 연구계획서와 일본어 실력(jlpt 급수등으로), 지도교수님의 연구에 매우 관심이 있다는것을 어필하여 컨택을 하면 들어가는거 자체는 어렵지 않은거로 알고있어서, 연구계획서의 경우에도 막막하긴하지만 직접적인 연구경험 없이도 논문서칭과 전공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아 저렇게 학부 시기를 보낼 생각이었습니다. 지금부터 당장 학교 공부 시간 외에 일본어 공부와 영어공부에 매진하기도 부족한시간이라고 생각이 들어 학부연구생은 생각하고 있지 않았는데, 혹시 이 부분이 일본 대학원 연구생 및 석사 진학에 큰 마이너스 요소는 아닐지 불안해서 여쭤봅니다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05.09
1. 연구생으로는 안뽑으려는 분들도 상당수 있으니 알고 계셔야 할 것 같습니다. 컨택이 중요한 부분이겠죠.
2. 기본적으로 일본은 연구생이든 석/박사 과정이든 자비인거는 인지하신 부분일까요? 이미 알아보셨겠지만 한국이랑 시스템이 많이 다릅니다.
3. 석사/박사 외국인 전형은 컨택이 제일 중요한걸로 알고 있고 아마 학교에따라 마지막에 면접을 볼 수 있는데 기존의 연구내용 발표 시킬 수도 있어서 그때 할말 없으면 민망해질 수 있겠죠.
대댓글 3개
2025.05.09
네 1 2번은 알고있고 3번의 경우 제 계획대로면 학부때 연구경험이 없으니까 무조건 연구생 생활을 거쳐서 석사 입학을 하려는 생각이라… 제가 찾아봐서 알기론 연구생을 거치면 족보 등으로 석사 입학시험을 준비하기가 수월하고 연구생을 거친 경우에 석사 시험을 망치지 않는 경우 기존의 랩에 진학이 어렵지 않다고 들었어서… 말씀하신 면접도 연구생을 거친다면 연구생때 지도교수님이 계실테니 연구생때 열심히 한 실험 경험을 얘기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제가 한국에서 학부연구생을 하는 것을 배제한 이유는 조사할수록 일본 대학원 석사에 입학하는 것은 결국 연구계획서와 석사 필기시험이 사실상 전부라는 결론이 나서였습니다.. 다만 정말 안해도 괜찮을지 불안한거도 사실이라 글을 올려봤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5.05.10
열심히 준비하신 것 같습니다. 대체적으로 맞는 말씀인것 같습니다. 석사 후 취직을 생각하시는 건지 박사를 생각하시는 건지 모르겠으나 학계쪽으로 진로를 생각중이시면 지금부터라도 학부 연구생하면서 경험하는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학부때 잘 트레이닝 받으시면 석사 진학시 연구를 셋업할때 많이 수고가 주는것 같습니다. 일본은 대부분 학부 4학년때 소속되었던 연구실을 그대로 진학하기 때문에 그들은 이미 연구를 솔리드하게 진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학부연구생해서 나쁜건 없다고 봅니다.
외국인 입시도 전공 필기를 보는가 보네요. 저는 국내학생 입시로 석사를 간 사람이라 잘 몰랐습니다. 제가 공부했던 학과 외국인 입시 프로세스는 컨택->지원->커미티 면접 순이었걸로 기억하네요. 사실상 컨택으로 결정났었던것 같구요.
2025.05.11
감사합니다. 외국인 연구생이 석사로 입학하는 경우에도 일반입시의 족보 등 정보를 얻을뿐이지 일반입시와 같은 시험을 치룬다는 얘기도 들었는데 말씀해주신 것처럼 일반입시랑 완전히 별개의 입시를 치루는 경우도 있는것 같고 과바과인것 같습니다. 이부분은 입시요강을 자세히보든 관심 랩에 컨택을 할때 알아보든지 해야할 것 같은데 이제막 일본어 공부 시작한 저한텐 먼길이네요 … 너무 늦게 준비를 시작한 것 같아 졸업 후 바로 도일하지 못하고 공백기가 생길까봐 요샌 매일매일 불안한데 힘내보겠습니다…ㅜ
2025.05.09
대댓글 3개
2025.05.09
2025.05.10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