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해외논문 잘 읽는 방법 궁금해요 도와주세요 선배님들..(학부연구생)

2025.05.21

7

1416

학부연구생중인데 교수님께서 논문 리뷰하라고 하셔서 해외논문을 읽고 있습니다.
해외 논문 읽으면 우선 영어로 되어있는데 한국어로 읽어도 힘든걸 영어로 읽고있으니 더 잘 안읽히고 구글번역기로 문서 전체를 한글로 바꿔놔도 아직 해당논문 읽을 레벨이 아닌지 안읽히고 굉장히 심오하고 어려운데요
해당논문들 리뷰해논 블로그 들어가면 이제야 이해됩니다
근데 최근에 나온 논문들이나 나온지 얼마 안된 논문을 석,박사 하면서 읽어야 하는 경우가 많을텐데 그때는 나온지 얼마 안되어서 직접 읽어야 할텐데
너무 안읽히고 어렵고 한데 해결책이나 조언 부탁드려도될까요?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5.21

아직 생소한분야라 그런것같아요. 하나 열심히 읽고나면 다음번에 다른논문읽을땐 편해질거에요!

대댓글 1개

2025.05.21

격려 감사합니다.. 사실 논문 리뷰 4번째쯤 되는데요 지금 올린 질문이 매번 고민이었습니다 특히 논문을 지피티한테 주고 이해한 내용 발표하면 교수님 표정이 안좋으시더라고요.. 한글로 번역한 통째로 보면 왜 그런지 알수는 있었습니다.. 저도 잘하고싶은데 진짜 어렵네요..

2025.05.21

논문을 이해하고 리뷰하는 능력이 제가 생각하기엔 보통은 석사 과정 정도에 익숙해지는 능력이라고 생각하는데, 학부연구생에게는 아직 익숙치 않은 부분일 것 같네요.

저희 연구실에 들어오는 후배라고 생각하고 팁을 드리자면 논문 안에서 이해할 수 있는 내용과 추가적인 레퍼런스(다른 책이나 논문) 필요한 내용을 좀 구분하려고 노력하고, 레퍼런스에서 현재 논문을 이해하기 위한 적당한 수준의 지식이 어디까지인지 파악하면서 공부를 하면 좋을 것 같네요.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 논문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 그리고 완전히 바닥부터가 아닌 필요한 수준의 지식을 캐치하고 공부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능력이 필요하겠네요.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공부하는 능력은 어느 정도 있는 사람들이 대학원에 진학을 하려고 하니까 어디에 집중하고 뭘 공부하는지만 잘 필터링해도 금방 성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 것이 내가 리뷰를 할 때 상대방에서 짜임새 있게 내가 이해한 바를 전달하는 것을 노력하세요. (좋은 발표를 위해서 이해한 걸 잘 가공하고 전달하려고 노력하라는 것) 그리고 최대한 듣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발표하면 좋을 것 같네요.

이런 걸 신경쓰면서 훈련하다보면 나중에 타 분야나 트렌드 논문 읽을때도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대댓글 2개

2025.05.21

해외논문 잘 읽는 법이라고 여쭤보긴 하셨는데 사실 영어이고 아니고는 별로 중요한 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한글이어도 논문에서 전달하는 지식을 이해하지 못 하면 그냥 글자가 익숙해서 아는 것 처럼만 느껴지는 데 이건 알고 있는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챗지피티에서 알려준 것들도 한글로 봐서 익숙한 내용들인 것 처럼 보이는데, 조금만 깊게 생각해보면서 논리적으로 안 맞는 이야기일 가능성이 있겠네요. 이것도 글자가 한글이라서 익숙해서 이해했다 아는거다 착각해서 생긴 문제일 수도 있구요.

반대로 영어 독해에 하자가 있는게 아닌 이상 논문의 핵심적인 statement를 이해하고 레퍼런스등을 통해서 부족한 지식들을 파악하면서 채워나간다면 영어라는게 별로 중요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영어로 된 논문의 짜임새가 눈에 더 익어서 그런지 영어에 그다지 자신이 없긴해도 영어 논문이 읽기 편하더라구요.

2025.05.21

선배님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21학점 듣고있어서 시간부족때문에 틈틈이 논문을 읽고 발표준비를 하고있는데요 석사가 된다면 모르는 개념들 하나하나 다 찾아보며 읽을것같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2025.05.22

위에분께서 정말 정리를 발 해주셨네요 말 그대로 구조화해서 읽는거를 추천합니다(비문학 지문읽는거랑 똑같아요). 아래는 제가 논문 읽는 방법입니다..!

Introduction 을 예시로들면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 BG(background)
- P_n(problem 1,2,3..)
- S(statement)
-Ex(expectation)
그래서 처음애는 이런 기본 요소들을 명시적으로 체크하면 어떤 문제가 있고 이걸 어떻개 해결하려고 했구나를 구조적으로 이해하면 자연스럽게 논문 전체의 개요를 알게됩니다. 그러면 이러한 요소 하나 하나가 related work, proposed method, results section 의 하나의 주제가 됩니다. 그리고 모든 논문들은 이러한 주제를 가지고 글을 풀어 나가고요.!

추가적으로 관련연구(ref) 들은 논문을 읽다가 아 이런거구나 정도만 우선(객관적인 정보전달) 알아두고 정리만 머릿속으로든 작성을 해놓든 간단하게만 우선 알아두기만 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읽다가 잠시 멈추고 ref 찾아서 아 얘는 뭐구나 이렇게 간략하게 abs, intro,results 찾아봤는데요, 일반적으로 ref 를 다는건 그 연구를 차용 혹은 분석을 해서 결과만을 말해주는거라, 현재의 페이퍼를 읽고 아 그렇구나 하고 우선 넘깁니다. 이 후에 논문을 다 읽고 궁금했거나, 필수적으로 봐야하는 얘들은 따로 더 찾아보면서 읽습니다.

처음 읽을 땐 저널은 이렇게 구조화해서 읽기 힘들거예요. 시간도 엄청많이 걸리고.. 추천은 컨퍼런스로 읽어가면서 구조화를 하다보면 점점 더 긴 문장, 점점 더 긴 페이퍼들도 자신감이 붙을겁니다.

저도 아직도 이렇게 읽고 있고 저희 석사랑 학사 친구들한테도 이렇게 알려줍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이런 구조화된 독해능력이 논문 읽기뿐만이 아니라, 나중에 논문쓰시거나, 제안서 혹은 자소서에도 엄청난 도움이 되더라구요.

대댓글 1개

2025.05.23

정말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