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잡대 학부 출신인데 대학원을 가도 될까요?

2025.05.31

16

5946

지사립 학부 4학년입니다.
현재 정출연 학연과정으로 석박통합 컨택이 되었습니다.
전 공학 쪽에 관심도 없었고, 놀다가 이러면 안되겠다 싶어
3~4학년때 1학년과목부터 KOCW로 공부시작해서
평균 학점 3점 후반까지 올렸습니다.
토익은 880점 입니다.
그러는도중 국가연구소에서 월급도 받고, 명문 대학교 학위도 준다해서 학연으로 컨택을 마구 시도하다가 되었습니다.
근데 전 연구가 뭔지도 모르고, 박사학위로 돈을 많이 벌고 싶다거나 출세는 바라지도 않고, 박사학위 따고 중소기업 가도 상관없다는 마인드입니다. (원래 그게 제 수준인걸 압니다)
실력이 부족해서 실적도 못챙겨도 시설 좋은 연구소에서 엘리트분들과 연구 열심히 하고, 맛있는거 먹고, 헬스하는 삶이 좋을거 같아서 선택했지만
가도 될까요..??
막상 갈려니깐 겁이 나서 글을 적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5.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단 가
가고나서 얘기해
다아아아 하게된다아아아

2025.06.01

학우님, 마음 내키는대로 하세요. 최악의 선택을 해도 얻을 건 분명 있고, 최선의 선택을 해도 잃을건 분명 존재해요. 대신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마음을 기르세요. 지금 문장을 보니 자존감이 많이 낮아보여요. 지금 진행 중이신 연구개발이 재밌거나, 현재 공부하다보니 고등학교때 공부 안한 걸 후회가 되서 더 공부하고 싶어서든 어떤 이유든 상관 없고 지속할 수 있는 마음만 있으면 당연히 대학원은 학우님을 반겨줍니다. 학우님께서 지금까지 공부하면서 선택한 연구분야 선택 이유 및 컨택을 통한 연구환경(국가연구소 등) 확보 결과 값들은 연구에 대한 열정으로 저는 충분히 와닿고 있지만은, 걱정이 많아 보이셔요. 지방대학교를 나와도, 학우님께서 생각하시는 명문대를 나와도 결국 연구실 오면 리셋되니 본인 역량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이미 인정받고 합격하셨으니). 논문이 많이 쌓여질수록 지금 가지시고 계신 학부대학에 대한 낮은 자존감은 사라질꺼니 걱정마시고요. 마음 지속성만 잘 다듬으시고 연구개발 재밌게 하시길

2025.06.01

자신의 모교를 지잡대로 비하하는 사람인데

누가 환영해줄까요

대댓글 2개

2025.06.01

자기 객관화 잘 되는 분이신 것 같은데 님부터 잘하시길~

2025.06.01

비하하는게 자기 객관화냐.

넌 지잡대가 표준어로 보이냐

2025.06.01

다 좋은데 그럴거면 굳이 박사까지 할 이유가 있음? 석사까지만 하고 중소가면 되는거아닌가

2025.06.01

5년 후 인생은 아무도 모른다.

2025.06.01

지금바로 중소가면 되는거 아닌가

2025.06.01

석사까지만 하고 취업 ㄱㄱㄱ 나도 님이랑 비슷한데 왜 통합을 하려는건지 모르겠음 방향잃어서 우울증걸릴듯

2025.06.01

닦치는대로 열심히 해 보시길...

2025.06.01

여기 악성 유저들의 폐해... 학부 인서울 아니면 연구 할 자격도 없는 것처럼 떠들고 다니던 일부 악성 유저들은 좀 정신을 차려야 한다

2025.06.01

혹시 정출연 학연과정 정보관련해서 여쭤봐도 될까요?

2025.06.01

ust이신것 같은데, 연구소마다 월급 다르니 참고하시고.
등록금 생활비 빼면 많이는 안 남을거니 참고 하시고.
하다가 안 맞으면 석사 전환 가능하시고.(지도교수는 안 좋아하겠지만)
일반 대학원보다 바쁜 박사분들 많다는 점 참고하시고.

2025.06.01

제가 아는 분이 이런 고민을 한다면 과감하게 석사만 하고 중견기업 지원해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대부분 본인의 학력으로 회사 지원해봤자 안될거라고 생각할 것 같은데요. 자소서도 실력이고 면접도 실력이고 연구를 더 해봤다고 해서 더 좋은 회사로 간다는건 허황일 수도 있습니다. 아마 학연하시다 보면 주변의 대단하신 분들이 많으니 자연스럽게 나도 저렇게 되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텐데 (아니면 달콤한 말들로 부추기는 사람들고 있을 겁니다) 그럴 수록 냉철하게 현실을 보시고 시간 더 버리지 마시고 회사에서 경력을 쌓으시는게 나중을 위해 더 좋을 거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요즘 회사들 연구 경력보다 회사경력을 선호하니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나이가 어리시다면 중고신입으로 가시는게 더 쉽습니다. 이런 의견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2025.06.03

왜 본인 능력을 지금결정하시나요?
이공계 대학원이 잼 있는게 미래를 아무도 예측을 못해요~아무도 몰라요~ 나중에 미국으로 포닥가서 하버드나 MIT에서 연구하고 있을수도 있고~
일단 정출연에 계신 교수님이면 충분히 능력은 인정 받으신분들입니다. 인격까지는 모르겠지만...
대학원은 학부들어 가는거랑은 달라서 어느학부 출신과 아주 큰 영향없이 다들 대부분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되서 출발점이 어느정도 맞추어집니다.
다만 좋은학부 출신분들은 평소에 공부하는 습관이 몸에 녹아있어서, 대부분의 시간을 연구와 공부에 집중하는게 많이 익숙하다보니, 지방대 출신인 분들에 비해 공부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가 좀 많이 줄어들겠죠.
이 부분은 본인이 극복할 문제구요.
한번 해보세요!

2025.06.03

지금 마인드면 안 가시는게 낫다고 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