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2025.08.24

17

4148

석사 졸업해도 취업 쉽지않을꺼같은데
걱정이 많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5.08.25

그런 것 보다 본인 실적이나 걱정하세요. 간접적인 외부 요인들 신경쓰면 끝도 없습니다.

2025.08.25

연구직은 노동자가 아니라서 상관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8.28

대학원생은 노동자가 아닐 수는 있어도
회사에서 월급 받고 일하면 어느 직군이나 노동자임

2025.08.25

기업이 줄어들면 취업에 영향이 생길 수 있겠지요.
법학분야 연구용역은 늘어날 수도 있겠네요.

2025.08.25

이런 능지를 가지고 계시니 취업해서도 노동자의 권리가 뭔지 알턱이 없으니 노란봉투법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대댓글 2개

2025.08.25

특정 정당을 지지하게 되면 눈쌀은 찌뿌려지겠지만
기업을 괴롭히는 법안은 맞으니까 궁금했죠

IF : 1

2025.08.25

노동자의 권리고 뭐고, 좋은 일자리가 다 사라질텐데 능지 처참하네

IF : 1

2025.08.25

위에 좌측분은 화가 많이 났네ㅋㅋㅋ

2025.08.25

내용은 잘 아시죠? 돈 들어갈 곳이 많아지고 생산이 줄어드면 이익이 줄겠죠. 이익이 줄면 연구소 인력 안뽑는거 맞습니다.

2025.08.25

이런 글보면 진짜 신기하긴 함 ㅋㅋㅋ 진짜 어디서 부터 설명해야 하나 막막함

2025.08.25

대한민국 전체가 좆망테크 탄거라고 보면된다
얼른 박사받고 미국으로 튀어라

민주당 뽑은 놈들은 자해경향이 있는듯

대댓글 4개

2025.08.26

아저씨요 정신차리죠 ;;;; 진짜 이런 사람들까지 정상적인 사람들이 돈벌어서 먹여살리는거 생각하면 세금이 아깝긴 하다

2025.08.26

경제 시사 외국뉴스 보고 다시한번 댓글 달아봐
ㅉㅉ
하긴 민주당은 감성으로 뽑는거니까 이해한다

2025.08.26

어휴....이런사람한테 실험 알려주는 사람 꽤나 고생했겠다

2025.08.27

어떻게 그짝 지지자들은 하나같이 반박은 못하고 순수비난만 할까 ㅋㅋㅋㅋㅋ 이쯤되면 신기할지경

2025.08.28

노동의 문제로 접근하시는 분들은 이미 변한 사회 패러다임을 이해 못하시는 / 못하시는 척 하고 계시는거죠.
이 문제는 비정규직이 만들어지던 시대부터 이어지는 신분 고착화 과정입니다.

2년 비정규직 -> 정규직화를 피하기 위해 1년 11개월 고용이란게 생겼고, 비정규직 차별을 없앤다고 압박을 넣으니 다단계 하청 구조가 강화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하청에게 원청 교섭 권한을 주면 그 다음은 어떻게 될까요? 아마 택배나 배달기사, 덤프 운전 업계처럼 개개인 모두가 "사장님"인 구조로 변화하겠지요. 아니면 외국계 하청을 쓰던가요.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정규직의 양보가 필요한데, "나만 아니면 돼" 정신으로 접근하니 될리가 없습니다.

일부 좌파분들은 모두가 정규직 월급을 받으면 되지 않느냐라고 말하는데, 말하는 본인들도 믿지않는 불가능한 레토릭을 사람들이 믿을리가 있겠습니까? 중산층까지 포함한 보편적 복지를 부르짖던 홍기빈 씨도 수년만에 본인 주장을 철회한 것 처럼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927039?sid=110

그러니 첫 직장이 중요하다, 계약직으로 사회 첫 회사 들어가면 인생 망한다, 곧 죽어도 대기업이나 최소 중견으로 커리어 시작해야한다 이런 얘기들이 떠돌고, 정규직/비정규직 차별의식, 출생율 감소, 그냥 쉼 현상의 장기화가 계속 발생하는 겁니다.

일본처럼 대기업/중소기업 월급 격차라도 적으면 그냥저냥 굴러갈지도 모르는데, 한국은 그것조차 아니니 말입니다.

지금까지 나왔던 법률들의 결과물처럼, 더 처참한 결과물이 될거라는게 눈에 보이니 사람들이 냉소적일 수 밖에 없지요.

2025.08.28

굉장히 크게 영향받을 직군이 연구직이긴 함. 원래도 기업이 이익안나면 제일먼저 철퇴 때리는게 연구소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