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가요ㅠㅠ 그냥 취직하고 경력쌓으면서 공부하고 이직하는게 나을거같다라는 생각이 조금 드네요
2025.09.10
차라리 학교 급을 낮춰서 반도체랩을 가야 가능성이 있지, 반도체하는 박사졸업생 수두룩한데 기업이 다른분야 박사를 뽑을이유가 없음
팔팔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5.09.10
헉ㅠㅠ 말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좀 낮춰서 빠르게 찾아보겠습니다 혹시 ku-kist는 어떤가요?
2025.09.10
졸업생 현황은 어떤데요?
대댓글 1개
팔팔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5.09.10
아직 졸업자가 1명밖에 없어서 판단하기 힘듭니다ㅠㅠ
2025.09.11
졸업자 1명이라는거보니 수원에 있는 학교 랩실인가보네요. 반도체 회사 갈거면 반도체하는 랩실을 가는게 더 좋습니다
대댓글 1개
팔팔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5.09.11
감사합니다ㅠ 정 안되면 반도체회사 취업도 생각해볼려구요
2025.09.11
??? 뭔가 완전히 잘못 알고 계시는 것 같은데요
하닉 삼성에선 뭐 회로나 공정 전공한 박사를 뽑지 돈도 많이 줘 가면서 다른 전공한 박사를 뽑을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대댓글 1개
팔팔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5.09.11
그렇군요... 조언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5.09.11
태양전지 전공으로 박사하고 출연연에 근무중인 사람입니다. SK하이닉스나 삼전을 태양전지 전공자가 들어가려면, 반도체 공정 기술을 보유하는게 중요해보입니다. ALD, CVD, Dry etching, Lithography(이것도 걍 Photolitho가 아닌 e-beam litho 기술을 요하는 듯 합니다.) 등등의 기술이 있겠네요. 그런데 페로브면 SnO2나 ZnO ETL 쌓는용의 ALD 정도는 하겠지만, 타 반도체 공정기술을 습득할 기회를 갖기는 힘들겁니다. 그렇다고 그런 공정들을 많이하는 실리콘 태양전지 랩을 찾아가자니 국내에 몇분 안계십니다.(고대, 유니스트, 성대 떠오르네요) 그렇다고 해도, 흔히 말하는 반도체랑 태양전지는 박막 물질, 디바이스 구조 등의 차이가 너무나도 다르기에 윗분들 말씀처럼 반도체하는 사람 뽑는게 회사입장에서는 훨씬 이득일겁니다. 태양전지 랩을 간다고해도 해당랩이 회사와 과제를 같이하면서 커넥션이 있다던가, 산학장학생을 노리는 등의 방식으로 접근하는 수 밖에 없어 보이고, 이는 노력의 영역으로는 힘들어 보이네요.
2025.09.11
해당 분야 랩실에 있습니다. 석사 박사에게 요구하는 능력이 다른 만큼 잘 판단하시고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저희 랩에선 하이닉스 삼성 많이 갑니다.
2025.09.10
대댓글 1개
2025.09.10
2025.09.10
대댓글 3개
2025.09.10
2025.09.10
2025.09.10
2025.09.10
대댓글 1개
2025.09.10
2025.09.11
대댓글 1개
2025.09.11
2025.09.11
대댓글 1개
2025.09.11
2025.09.11
2025.09.11
2025.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