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IF3점대 (Q2,엘스비어)에 투고한 2차 리비전 답변이 도착했는데 추가 대응 해야할지 눈을 낮춰야할지 고민입니다
일단 제 논문 히스토리는 제출 ->Major revision -> Major revision(현재) 상태이구요
처음 질문 34개 -> 10개 리비전 온 상태입니다
리뷰어는 총 3명이며 3번 리뷰어는 이제 물어볼게 없다는 의견이고, 리뷰어 2번은 15->6개 분량의 질문이 다시 왔는데 충분히 대응 가능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1번 리뷰어인데,, 추가 측정(XPS, TEM)을 요청하는 리비전에 기존 데이터 및 레퍼런스 보완으로 대응을 했지만 동일한 요구가 온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1번 리뷰어를 제외한 두 명을 만족시키더라도 억셉이 힘들까요?
그리고 저의 논문 범위가 조금 넓고 피규어도 많아서 다른 리뷰어 의견에 따라서 Supple data로 몇가지 옮긴 상황인데, 여기에 추가 측정 및 분석까지 들어간다면
범위가 너무 넓어질것 같아 고민됩니다..(추가 측정도 거의 불가한 상태구요)
댓글에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09.18
에디터의 판단에 따라 다르다고 밖에 이야기 드릴 수 없습니다. 리뷰어 3명 전부 억셉을 줘도 에디터가 리젝이면 그냥 리젝입니다. 물론 에디터가 판단하기에 괜찮다고 생각했기에 리비전을 준거기도 하지만 동일한 코멘트에 메이저를 다시 준거 보면 에디터가 판단하기에 1번 리뷰어의 코멘트가 타당했다고 본 것 같습니다. 이 경우는 그냥 해주는 수 밖에 없을 것 같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2025.09.19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저도 반도체 박막 연구 진행중입니다.
우선 리비젼온 추가 실험은 무조건 해 주어야 하는건 아니지만, 가능한건 대부분 해주는게 맞습니다. 성의 문제도 있고요.
무엇보다 박막하시면 요즘 TEM 분석은 기본 소양급입니다. 기본적으로 박막 표면, 단면, STEM 분석, EDS분석들은 다 한다고 보셔야 되구요. 거기서 추가 분석하는것도 많구요. 이건 무슨 저널이냐, 높은, 낮은 저널 상관없이 거의 필수다 라고 보셔야 합니다. 그래서 리비젼이든, 다른 저널 가든 적어도 TEM 분석은 무조건 진행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XPS는 TEM EDS로 커버 가능한거긴 한데 어려운 장비 아니니 측정하는걸 추천 드리고요.
일반적으로 TEM, STEM + XPS, XRD, 라만 셋중 한개 이상은 같이 해서 분석 합니다.
결론은 최대안 방안 만들어서 TEM 찍으세요.
대댓글 1개
2025.09.19
윗분이 설명한거 처럼 에디터 맘이나... 다시 온 점 해당 분석이 학계에서 필수적으로 여겨지는점...
등으로 봤을때 가능성 매우 희박합니다. 다른 저널 갔을때도 비슷한 공격 들어올 확률이 크기도 하고요.
2025.09.18
2025.09.19
대댓글 1개
2025.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