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GPT 없이 논문리뷰

2025.09.30

3

517

저는 GPT가 없는 시점에 대학에 입학하였습니다.
그래서 모든 레포트를 직접 책과 논문 등을 찾아보며 작성했었습니다.

GPT가 나온 이후 저는 많은 부분 GPT에게 도움을 받지만, 최종적인 점검과 첨삭은 제가 진행합니다.
그런데, GPT가 나온 이후 대학에 입학한 제 후배들은 그저 GPT를 맹신한 까닭에
잘 사용하지 않는 한자표현이나, 사실과 동떨어진 내용들로 감점을 당하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

이제 저는 대학원에 입학합니다.

대학원에서 논문리딩이 매우 중요함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GPT를 통해 '딸깍' 한번이면 GPT가 리뷰를 다 해주기에 이 방법이 맞나 고민이 듭니다.

다르게 이야기하면, 전통적인 논문리뷰를 하던 사람이 AI가 나오면 언제든지 전통적인 논문리뷰로 되돌아갈 수 있지만
AI를 통한 논문리뷰를 하던 사람은 전통적인 논문리뷰로 되돌아갈 수 없다는 것이 고민을 키웁니다.

.

AI를 통한 논문리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전통적인 논문리뷰를 하지 못하면서 AI에게만 의지하는 것에 대해 의견을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09.30

AI를 통한 논문리뷰가 도움되는건 사실인것 같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론 제가 읽고 공부를 해야 더 머리에 남는 것 같고, 몇 번 읽은 후 이후에 정리를 할때 AI를 활용하는 편입니다.

2025.09.30

수학 배울때부터 계산기 쓰며 문제풀지 않잖아요. 처음엔 gpt 없이 논문읽는 방법 훈련을 해야합니다. 피겨만 보고 논문 내용 파악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하려면 못해도 3년은 직접 읽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첨부터 gpt 달고 읽으면 10년이 지나도 gpt 없이 논문 못읽어요

2025.10.01

GPT도 모든 문장을 번역해서 볼거 아니면, 요약본은 요약본의 의미가 있는거지 직접 정독하는거랑은 다를 수 밖에 없음.
즉, 정독의 가치는 없어지지 않는거임. 그러니 둘 다 잘 활용하셈. GPT에만 의지하는 순간 정독은 못하게 되고, 정독 못하면 GPT로는 죽었다 깨어나도 알 수 없는 정보를 얻지 못하는거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