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공기업준비를 하다가 생기원 학연석사과정을 준비하게되었습니다 지도교수는 현재 대학교수님은 아니지만 다른대학으로 옮기시면서 제안을 받게되어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연구분야는 반도체 공정 및 비철재료 3D프린팅이고 급여는 220으로 들었습니다. 학연과정에 대해 깊이 알지못해서 조언이나 현실에 대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0.08.30
생기원 현직입니다. 생기원은 전국 조직이고 워낙 여러곳에서 3D 프린팅을 하고 있다보니 어디일지 모르겠네요. 반도체 공정을 한다는걸 보면 아마도 안산 인것 같기도 한데... 두개를 같이 하면 어정쩡한 학위가 될거 같습니다. 그다지 큰 접점도 없구요. 일단 본인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겠지만 학연과정은 그다지 추천하지 않습니다. 학교에서는 사실상 수업만 듣고 일은 생기원에서 해야 하는데, 어느 정출연이나 마찬가지 겠지만 사실상 학연생은 소모품 처럼 취급합니다. 게다가 직접적으로 일을 시키고 인건비를 주다보니 주도권(?)은 연구원에서 담당하는 박사가 가지게 되는데, 학위는 학교에서 나오다 보니 학생 입장에서는 중간에서 치이는 일이 일상다반사 입니다. 이게 상황에 따라 얼마나 입장이 난감하거나 비참해 지는지는 직접 겪어본 사람만 압니다.
2020.08.31
글쓴이 입니다.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질문이 또 있는데 정출연에서의 연구활동이 취업시장에서의 메리트도 없을까요?? 취업시장에서 대학원생보단 학연생을 좀더 경력인정을 해준다는걸 얼핏들어서 물론 논문의 방향에 따라 다르기도 할테고 앞서 말한거같이 공기업취업이 목표라 학위보단 스펙 경험을 보고 들어가게 된거거든요...당장 코로나때문에 취업도 힘들거 같고해서 지원한거긴 한건데 참고로 담당교수님이 생기원에서 연구원하시다가 교수로 넘어오신거라 연구논문은 생기원에서 연구한주제를 토대로 작성하게 될거같고 대학원수업보다는 생기원 연구에 중점을 두고 말씀하시는거 같아서 지원했습니다.
2020.08.31
일단 연구별정직으로 계약은 마쳤고 학부졸업전까지 비대면수업이다보니 별정직으로 근무하면서 학부마지막학기를 병행하게 됬는데 너무 무리하게 욕심부리는거 같기도하네요ㅠㅠ
2020.08.31
저도 그냥 솔직히 말해서 스펙의 하나로만 생각해서 지원한건데 좀 아닌생각을 가진걸까요,.,?
2020.08.31
특별히 학연에 대한 메리트는 없습니다. 학벌 좋은 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학연과정으로으로 연구소 에서 일을 하는게 그나마 학연 중에서는 좋은 케이스인데, 사실상 학교 내부나 같은 랩실의 동문들 에게 동문으로서의 인정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디메리트 라고 봐야 합니다. 나중에 졸업해서 학계에 남는다고 가정 하면 최상위권 랩의 경우 선후배들의 힘이 어마어마 합니다. 학연은 이런 장점들이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합니다. 공기업을 목표로 하신다고 하니 지금은 이것들이 고려대상이 아니겠지만, 사람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나중에 마음이 바껴서 박사라도 한다고 하면 큰 오점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2020.08.31
ㄴ학사보단 취업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수 있을거 같아서 지원했는데 시간만 버리는 일이될까요...?
2020.08.31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대학원은 본인 하기 나름입니다. 공기업 취직에 석사학위 우대사항이 있나요 ? 있다면 말리지 않겠습니다만, 기왕에 하는거라면 굳이 학연일 이유가 있나요 ? 급여를 조금 더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구소의 일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건 꼭 장점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단순히 졸업장만 있으면 된다 라고 하면 말릴 이유는 없지만, 그런 마음으로 대학원을 오는건 조금 문제가 있는거 같습니다.
2020.08.31
ㄴ그렇네요 굳이 학연으로 준비해서 갈빠에 대학원랩실이 백방 더 나을거 같아요 하지만 제가 좋은 랩실 갈 평점은 안되는 거같아서 그나마 제 상황에서 지금보다 조금더 사회에서의 경쟁력을 키울수 있는 방향이 이쪽이라 생각들어서 안좋게 보이실수도 있지만 대학원학위보단 정출연기관에서의 그 경력이 좀더 저에겐 크게 다가오다보니 지원한게 젤 크다고 생각됩니다 아마 졸업하고는 중견기업 혹은 공기업 준비할거같아요
2020.08.31
흠 저도 이과정을 고민하는 입장으로서 글쓴이처럼 똑같이 뭔가 스펙용으로 더 괜찮지않을까 고민했었네요 아직 고민중이지만 잘모르겠어요 동감합니다 학연으로 들어가면 보다 쉽게 대학원에 컨택이 되는거같더라구요
2020.08.30
2020.08.31
2020.08.31
2020.08.31
2020.08.31
2020.08.31
2020.08.31
2020.08.31
2020.08.31
20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