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말이 사실인가요? 논문을 자기가 썼으면 게재를 해서 세상에 알려야 하는 거잖아요. 근데 알리려면 게재를 해야하고 게재를 할때 해당 출판사에게 저작권을 넘겨야 한다는 글을 찾게 되었습니다. 이게 정말 사실인가요? 그럼 자신이 열심히 찾고 연구한 귀중한 아이디어가 출판사것이 된다는 소린가요?? 이해가 안가네요. 게재를 안할수도 없을 것이고 열심히 연구해도 출판사가 저작권이나 권리를 결국 가져가버린다는 게 사실이면 정말 눈물날것같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0.10.15
그건 모든 책이 다 그런데 웹툰도 유통및판매권리는 맡겨야 홍보를하든뭐든하지 논문도 그런거 아니냐
게제하고 우리 논문 개쩔어요하고 영업할시간에 한개더쓰라는거지
2020.10.15
저널마다 기준이 다릅니다. Open Access 저널 중에서는 원저자가 저작권을 가지는 곳도 있습니다.
사실 저작권 분야에서 저자가 여러명인 저작물을 만들 때 저작권을 원저자가 가지는 게 옳은가, 아니면 공통적으로 관리하는 한 기관이나 개인에게 위탁하는 것이 좋은가는 아주 흔히 발생하는 역설적인 상황인데요. 예를 들어서 원저자가 100명이 넘어가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라고 하면, 어쩌다가 저작권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100명 넘는 사람들에게 모두 동의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나중엔 아무리 중차대한 문제가 생겨도 전혀 대응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옵니다.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저널도 마찬가지여서, 만약 호당 10개씩 실어서 100호를 낸 저널이라면 저자가 논문당 3명이라고만 해도 혹시나 오프라인 저널을 온라인 공개하려고 하거나, 저널의 관리기관을 변경하려고 하면 3000명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와서 대응이 불가능해집니다. 그래서 독점적 저작권을 유지하는 한은 저널 출판사에 위탁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무난한 방법이 됩니다. 반면에 오픈 액세스를 하는 경우에는 독점적 권리가 없더라도 다른 사람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많기 때문에 꼭 저널측에서 저작권을 가져가지 않더라도 저널에서 향후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서 그냥 원저자가 저작권을 가지는 형태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Édouard Manet*
2020.10.15
그렇군요. 학부생이라 잘 몰랐네요. 그러면 논문에서 낸 아이디어는 출판사가 가져가는게 아니고 오롯이 논문 쓴 사람이 그 권리는 가지고 있는게 맞지요?
2020.10.15
참고로 하나 더 덧붙이자면 저널에 논문을 내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유상 광고에 해당합니다. 돈을 내고 원하는 내용을 실어서 배포해 주는 거죠. 평소에 생각하시던 것하고는 현실은 많이 다릅니다. 현실이 꼭 나쁜게 아니라 잘 생각해보면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많이 있습니다.
2020.10.15
지적재산권은 크게 나눠서 저작권과 특허권이 있습니다. 아이디어는 특허권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작권과는 완전히 별개의 개념입니다. 저작권을 넘기더라도 따로 저작권 계약에 포함돼 있지 않으면 특허권은 원 발명자가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저작권의 하위 개념으로 저작인격권이라는 것이 있는데요, 저작권과는 달리 저작인격권은 다른 사람한테 팔거나 이양할 수 없습니다. 원저자가 영원히 가지는 권리입니다. 저작권법이 별로 길지 않으니까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2020.10.15
그리고, 저작권은 저작물을 만드는 순간 천부적으로 자연생성되지만 특허권은 특허출원하지 않는 한은 권리가 생기지 않습니다. 아이디어에 대한 권리를 인정 받으시려면 특허를 출원해야 합니다. 학문적으로 누가 원조냐 하는 것은 법적인 권리는 아니기 때문에 어떤 절차가 있는 것은 아니구요, 그 분야의 학자들끼리 공감대가 형성되어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회 활동이나 발표 등이 아주 중요합니다.
IF : 5
2020.10.15
저작권은 아이디어가 아니라 출판물에 대한 권리죠
논문에 실린 문장이나 그림같은 것을 출판사 동의 없이 쓰면 안된다는 거예요. 심지어 그 논문의 저자들도요.
IF : 5
2020.10.15
그리고 논문으로 내 아이디어를 출판한다는건.... 리뷰 과정에서 그 아이디어와 실험이 합리적이고 가치있다는걸 한번 평가받고, 거기서 통과한걸 연구자 사회(research society)와 공유하는 개념이에요. Experimental을 자세히 써주는 것도 이렇게 하면 우리처럼 될거야 라고 알려주는 거구요. 그걸 남이 상업적으로 사용 못하게 막으려면 특허를 거시면 되구요. 근데 아무리 특허가 걸려있어도 연구실에서 비영리 목적으로 실험해보는 것까지 막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2020.10.15
2020.10.15
2020.10.15
2020.10.15
2020.10.15
2020.10.15
2020.10.15
2020.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