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올해 한국에서 언론기사로 나오더군요.
노벨상 수상자 평균 연구기간 32년이라고... 그 기사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1. 30년 이상 같은 주제에 매달릴 수 있는 근성이 필요
2. 30년 이상 같은 주제로 연구할 수 있는 연구환경 조성 및 연구비 지원이 되지 않는 한국 학계 비판
(한국의 대학이나 정부는 무조건 3년~5년 안에 실적을 낼 수 있는 연구만 한다고)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5 - 교수가 떠먹여주는 케이스를 제외하면 결국 논문의 기여도를 고민해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처음논문쓸때는 단순히 흥미로 시작하거나 또는 내가 처음해봤다 정도가 기여도라고 생각했습니다. 마치 A라는 주제가 핫한데 A를 B라는 방식으로 해봤다가 큰 기여도라고 생각했죠.
논문을 많이 쓰다보니 결국 에디터든 리뷰어에게 이 연구가 왜 필요한지 설득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됩니다. 특히나 탑저널을 목표하면 더더욱에요. 즉, A를 B방식으로 해봤다는 설득력이 부족하고, 오히려 "A를 C에 사용하는게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B방식으로 할수 밖에 없다"라는 설득이 필요하죠.
많은 연구자들과 이야기해보면 아무리 시니어 교수님도 이런 생각을 안하시는분들이 전세계적으로 정말 많습니다. 그렇기에 논문이 대체로 " 나 이거 해봤어!" 정도에 머물러져있는거죠. 저보다 더 좋은논문 많이쓰신분들도 많으시겠지만, 학생들이면 이런점들을 고민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물론 제가 틀릴수도 있으며 분야마다 상이할겁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0 - 제 후배들이나 제 제자들(제 커리어상 아직 다들 시작하는 단계지만)에게 항상 말하는게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충분히 고민해보라는 점입니다. 당연히 모두들 연구들을 보면서 survey는 잘해옵니다. 하지만 많은경우 survey 해보니까 이거 아무도안해서 해볼래요! 라는 학생들(아무리 고년차여도)이 의외로 많습니다. 저또한 그랬고요. 본인 나름에는 이거하면 이런점이 좋을것같아요 라고 하지만 들어보면 설득력이 부족한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연구를 시작하기 앞서서 상대방(지도교수)에게 연구의 중요성과 해야되는 이유를 설득시키는건 정말 중요합니다. 그 분야를 잘아는 지도교수조차 설득못하면 분야도 잘모르면서 몇분읽고 리젝션 결정하는 에디터들을 설득하는건 불가능합니다.
또한 의외로 학생들은 introduction/abstract은 그냥 요약본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논문을 많이써도 가장 쓰기힘든부분이 abstract/introduction입니다. 이 짧은 문단을통해서 연구가 왜 필요한지가 확실히 드러나야 됩니다. 오히려 가장 쓰기쉬운곳이 본문입니다.
아무리 연구의 깊이가 깊어도, 원론적으로 이연구의 필요성을 상대방을 설득 못시키면 말짱도로묵입니다. 저또한 리뷰어/에디터로 참여하면서 가장 많이 쓰는 코멘트가 "연구 잘했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잘드러나지않다" 라는점이고요. 잘 고민해보시고 다들 좋은연구 많이하시길 기원합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20 - 웃기지않아욤 다들 그런마음으로 학위하는거애욤😄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0 - 여기더기서 정보들을 종합해서 결정하는 거죠. 님은 되게 피곤한 스타일이신 듯 ㅋ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21 - 뭘 붙어요 붙긴. 철학이 무슨 결투의 장이라도 되나보죠 ? 의미도 없는 말싸움에서 이기면 자신이 무슨 대단한 인물이라도 되는 줄 아나봄. 제발들 진짜 철학을 하세요. 어짜피 금방 무너질 자존감 세우는 도구로 철학을 이용하지 말구요.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9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5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25 -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0 - Gpt로 논문 읽는사람 보면 마치 한 자릿수 덧셈도 암산이 안돼서 계산기 쓰는 사람 보는 심정임.
물론 gpt좋고 효율적이지. 근데 gpt 없이도 혼자 해결가능한 수준에 오르고 나서 gpt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4 -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2 - 교수님들은 지잡대 교수님들도 다 훌륭하신 분들입니다.. 결국 학생들 수준이 교수님과 연구실의 평가를 정하게되는거죠.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8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8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고압광물물리 연구실에서 대학원생 모집
2024.07.19

우리 연구실에서는 지구 및 행성에 존재하는 물질의 다양한 열역학적 변수와 상태 방정식을 고온 고압 기술을 통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물질의 극한 환경에서의 특성과 외계 행성(super-Earth)의 진화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
• 정적 압축: 소형 고압기 다이아몬드 앤빌 셀(Diamond Anvil Cell)을 사용한 고온 고압 실험
• 신물질 합성: 대형 프레스인 멀티 앤빌 프레스(Multi-Anvil Press)를 이용한 신물질 합성
• 충격파 실험-고출력 레이저: Laboratory for Laser Energetics (LLE) - Omega,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LLNL) - National Ignition Facility (NIF)
• 가속기 및 XFEL: Advanced Photon Source (APS) - Dynamic Compression Sector (DCS), Linac Coherent Light Source (LCLS) - Matter in Extreme Conditions, European XFEL, SACLA XFEL
• 펄스 전력 설비: Z 펄스 전력 설비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연구 특징:
• 국제 협력: 미국, 유럽, 일본의 대형 연구 시설들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실험을 수행하며, 지구과학뿐만 아니라 재료, 물리, 화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진들과 다학제적인 연구를 진행합니다.
• 최첨단 기술: 고출력 레이저, 가속기 및 XFEL, 펄스 전력 설비 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수행합니다.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고압광물물리 연구실에서 함께 혁신적인 연구를 이끌어 나갈 열정적인 대학원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dhkim1986/home
지원방법
열정있는 대학원생 및 학부연구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학생분은 이메일(donghoonkim@korea.ac.kr)로 간단한 자기소개서 및 성적표를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최종 대학원 입학전형은 고려대 대학원 전형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
자격 조건
물리, 화학, 지구과학, 재료과학 전공자 환영
대우조건
대학원생 실질인건비 최대치에 근접하게 지원
해외 거대 연구시설에 주기적인 방문 및 실험
-
151 54 29514 -
45 28 6693
대학원은 원래 이런건가요? 김GPT 25 28 6028-
56 37 11230
지방대학원 vs 유명대학원 김GPT 0 0 477-
34 15 14685
켄택 대학원생 중에 김GPT 0 5 1015-
7 14 2477
좋은 연구실이란 무엇일까요? 김GPT 2 8 1730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90 12 60407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326 102 91913-
75 20 30552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9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8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6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1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37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2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9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8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31 -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6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2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30 - 컨텍 메일 답변이 어느정도 긍정적인건가요?
9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52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8 -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7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2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8 - 중졸이에요... ㅜㅜ
11 - 대학원생의 연애와 결혼은?
7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6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4 - 일본 유학 관련 질문하려고 합니다
6 - 과제 연구 규모 큰걸까요?
6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