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리고 미국 박사과정은 전부 풀펀딩이라서 오히려 돈을 모으는건데 유학자금이요? 미국 박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조차 없는 상태로 김칫국 마시고 계시네요. 누가보면 이미 다이렉트 미박 붙은 줄 알겠어요. ㅋㅋ
한국이 좋아져 버렸습니다.
23 - 저는 미국 최고명문대에서도 노력으로는 다들 놀랄정도로 연구 하긴했네요.
저는 많이 할때는 주 112시간씩 했습니다.
하루 16시간씩 주7일인데, 크리스마스, 설날, 추석 모두 다 일했네요.
기숙사 살때도, 실험실에서 바로 자면, 왕복 30~40분 잠 잘 시간 더 벌 수 있기에, 실험실에서 잔 적 많았고, 밥먹는 시간, 씻는 시간도 줄이려했네요.
그런데, 몇달쯤 하다보니, 잠잘때 간혹 좋은 꿈 꾸는 것이 사실상 유일한 즐거움일 정도였기에, 나중에는 좀 여유있게 할때는 주100시간(하루 14시간)이하로 하기도 했고, 또 멘탈회복하면, 주112시간으로 달리곤 했었네요.
당시에는 체력이 좋았는데, 지금은 그리는 못하고, 관성이 있어서인지, 정교수가 된지도 꽤 되었는데도, 별일 없으면, 주7일 근무는 하고 있네요. (차이점이 있다면, 당시에는 불안감과 성취욕으로 했다면, 지금은 다른 것보다 연구가 재미가 있기에, 재미로 일 하고 있음.)
대학원생 평균 하루 연구 투자 시간이 얼마나 되나요?
21 - 미국 대학에서 투명하게 "논문"으로 교수를 채용한다고요? 미국은 논문이 많이 없고 프레쉬 박사여도 앞으로의 포텐셜, 추천서를 보고, 지도교수에게 직접 전화해 보고 뽑는 경우도 많은데요? 정량적인 실적이 중요한 한국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얘기죠. 학과장이 걸러낸다고요? 한국 대학에서 학과장이 파워가 있는줄 아나요? 다들 하기 싫어서 너 하라고 떠미는 게 학과장직입니다. 미국 대학 학과장이야말로 수십 년씩 하는 경우도 있고 파워가 막강하죠.
요즘 까놓고 말해서, 한국 목사 다음으로 가장 많이 까이는 직업이 한국 교수 입니다.
29 - 특히 에스오디
요즘 과학 유튜버들
16 - 님이 거기에 휩쓸리지만 않는다면 문제 없습니다. 자기 인생 자기가 개척하는거고 자기가 책임지는거지요. 그냥 남 신경쓰지마시고 님의 페이스에 맞게 성장하세요. 그렇다고 대놓고 무시하거나 하진 마시고 그들의 삶도 그 자체로 존중해주시고요. 가끔 배울 것도 있을겁니다. 그나저나 지도교수는 속 타겠네요...
제 동기들이 대학원을 너무 가볍게 다닙니다.
22 - 교수 눈에는 님도 가볍게 다니는걸로 보임. 도찐 개찐인데 개오지랖퍼들이 가끔 지만 열심히 한다고 착각함
제 동기들이 대학원을 너무 가볍게 다닙니다.
19 - ㅇㅇ 29살에 교수하는사람도있는데.. 님 인생 큰일났음
20대 후반이 되니 1,2년 시간차이가 너무 크게 느껴지네요
20 - 하기 싫다는 학생 억지로 붙잡고 하지 마시고 그냥 님이 하시고 교수한테 보고하세요. 대학원 진학 생각은 없을거고 그냥 용돈벌이겸 인턴 찍먹하는 학생 같은데, 원하는거 그렇게 쉽게 얻을 수 있는거 아니라는거 보여주시죠. 교수도 그런 학생한테 돈 쓰기 아까울겁니다.
같이 하는 학부생이 대강대강하네요,,
15 - 누군가를 평가한다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생각입니다. 남이 어떻든 님만 열심히 하시면 교수님도 아십니다. 물론 그룹과제가 있을땐 어려움은 있겠지만 섯불리 남을 평가하지는 마시길...
제 동기들이 대학원을 너무 가볍게 다닙니다.
19 - ㅋㅋ 지금이야 어리셔서 크게 느껴지겠지만, 30대중반 넘어가면 1~2년 더 빠른게 아무 의미없다는거 아실겁니다.
20대 중반에 대기업 취업 빨리해서 부러움 사다가, 직장 상사와 트러블로 퇴사하고 중견기업 이직한 친구
딴짓많이 하며 30대 중반에 학부 졸업했는데 창업해서 잘나가는 친구
변호사 개업하고 돈 잘벌지만 이혼하고 혼자 애보며 힘들게 지내는 친구
학생때 누구보다 열심히 논 한심한 친구였는데, 졸업하더니 부모님 회사 다니면서 강남자가에 포르쉐 끄는 친구
대학원에서 열심히 연구하고 좋은 실적 내며 박사도 빨리 땄지만, 30대 후반까지 포닥과 연구교수 자리 연연하면서 교수 꿈을 못놓고 있는 친구
대학원 생활 대충하고 실적도 평범했지만, 인공지능 남보다 빨리 시작한 덕분에 명문대 교수하는 친구
해외 빅테크 다니다 부모님 건강 이유로 해외생활 모두 정리하고 한국 귀국한 친구
빨리하는건 하나도 안중요해요. 나만의 인생을 잘 사는게 중요한거지...
20대 후반이 되니 1,2년 시간차이가 너무 크게 느껴지네요
29 - 그냥 본인 아들 스토니브룩 학위가 나올 기대감으로 쓰시는 글 같습니다. 저는 지나가는 미국 STEM 박사과정 4년차입니다. 미국 석사는 들어가는 난이도가 학석박 중에 제일 낮아요. 기본적으로 캐시카우적인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4+1 accelerated 과정은 전략적으로 좋은 선택입니다. 다만 요즘 송도 뉴욕주립대가 엄청 대단한 곳인 것처럼 말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냉정하게 제가 입시할 때는 인서울 끝자락 난이도였습니다. 집에 여유 있는 사람들이 자녀 미래를 생각해서 보내는 곳이었죠. 윗 댓글 말씀하신 것처럼 미국 석사 하나 있다고 해서 미국에 기회가 엄청 열리지는 않습니다.
한국에서의 석사 현실을 보고.....
10 - 아니 제목이 이상한데 기본적으로 연구가 재미있으니 대학원가는거 아님?ㅋㅋ 마치 그게 특이한 사례인양 얘기하는 것 같아서 씁쓸하네
연구가 재밌어서 대학원 가는 경우도 있나요
10 - 별볼일 없는 대학 아니면 가보는 것도 낫겠는데
교수가 앞길 막으려는거 아닌 이상에야 기회라고 생각됨
박사 졸업 예정자인데 교수랑 대판 싸우게 될 듯
15
[KENTECH] eM3 전자현미경 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2025.03.15

- Electron Microscopy for Energy Materials via Environment Manipulation (eM3) 연구실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현미경기반 소재 분석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원자 수준에서 다양한 에너지, 나노, 양자 및 반도체 소재의 물리적 성질, 전기화학 반응과 구조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더 좋은 소재를 원자단위에서 설계하는 연구를 하고있습니다. 창의적 연구 활동으로 연구 경력을 심화하고자 하는 박사후연구원과 높은 수준의 대학원 교육을 받아 세계적인 연구자로 성장하고자 하는 대학원생을 모집합니다.
연락처 오상호 교수 shoh@kentech.ac.kr
홈페이지 https://labaemn.wixsite.com/kentech-tem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m/scholar?hl=ko&as_sdt=0%2C5&q=Sang+Ho+Oh&oq=
오상호 교수님 이력
-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부교수 (2009년-2015년)
-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정교수 (2016년-2021년)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정교수 (2022년-)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공용장비센터 센터장 (2022년-)
NSC 주저자/교신저자 논문 총 15편. 공저자 13편
- Science 1편 주저자, 1편 교신저자
- Science Advances 2편 교신저자
- Nature Materials 1편 교신저자
- Nature Nanotechnology 1편 교신저자
- Nature Chemistry 1편 교신저자
- Nature Communications 7편 교신저자
- Matter 1편 교신저자
산업체 과제 총 48.5억 수주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0억 과제 수행
- 삼성전자 6억 과제 수행 후 2억과제 2024년 7월 착수
- 삼성디스플레이 7억 과제 수행 후 2억 과제 2024년 7월 착수
- 삼성종합기술원 2억 과제 수행 후 1억 과제 2024년 5월 착수
- 삼성전기 5억 과제 수행 후, 현재 과제 기획 중
- SK-Hynix 1.5억 과제 수행
- POSCO 2억 과제 수행
- 현재 삼성계열사 과제 총 3개 수행 중
졸업생 현황
- 재료연구원 책임연구원
- 현대자동차 책임연구원
- SK-Hynix 책임연구원
-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3인
- 삼성전기 선임연구원
- 독일 KIT 연구소 그룹리더
- 옥스포드 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 MIT 박사과정
- 미국 UC-Irvine 박사후 연구원
- KENTECH 박사후 연구원 등
장비
- 세계 최고 성능 전자현미경 (구면수차보정 주사투과전자현미경; 2023년 세계 3번째로 구축)
대우 조건
- 등록금 전액 지원
- 인턴 130만원/월
- 석사과정 130만원/월 + 30만원/월 주거비
- 박사과정 195만원/월 + 30만원/월 주거비
- 석박통합은 3학기부터 박사과정 대우
- 포닥과정 300만원/월
- 200만원 상당 개인 노트북
- 삼성과의 공동연구 기회
https://labaemn.wixsite.com/kentech-tem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김GPT 1 8 11586
한국에너지공과대학 대학원 김GPT 6 9 6510-
0 5 9464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대학원진학 김GPT 0 6 10371
진짜 누가 지은건지.. 김GPT 2 6 3073
에너지공대 어떻게 될까?? 김GPT 2 9 4257-
0 13 1403 -
0 10 860
한양대 애너지공학과 김GPT 2 4 5494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203 23 62404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215 42 26859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61 34 110503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27 -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292 - 한국이 다른 국가보다 학부학력을 더 따지는 이유
59 - 해외포닥 PI가 약속을 미친듯이 바꿉니다
8 -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62 - 최근 가고 싶었던 대학원에 합격하였습니다.
12 - 교수님들 있어보이고 싶고 연구철학 없는 분들 꽤 많네요
40 - 요즘 까놓고 말해서, 한국 목사 다음으로 가장 많이 까이는 직업이 한국 교수 입니다.
30 - 요즘 과학 유튜버들
15 - 석사 진학하기로 했는데 탈주해도 될까요...
4 - 20대 후반이 되니 1,2년 시간차이가 너무 크게 느껴지네요
14 - 하위권 지거국에서 해외 대학 편입에 대한 질문입니다.
7 - 대학원은 재밌어서만 가는 곳이 아님
1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안녕하세요? 선배님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9 - 학부 졸업 후 다이렉트 유학 준비 중인데, 졸업 유예가 의미가 있을까요?
16 - 한국이 좋아져 버렸습니다.
10 - 석사 자퇴하고 다른 대학원으로 옮겼는데 전적 대학원 교수가 계속 연락 와서 자잘한 일을 시킵니다.
25 - 인정할 건 인정 하자. 중국이 우리나라 보다 열 수 위다.
26 - 베이징대, 칭화대 >>>>>> 우리나라 모든 대학교들 (서울대, 커이스트, 등)
23 - 99년생 홍대 2학년 복학 or 수능 재도전
16 - 보행로봇으로 유명한 연구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9 - 같이 하는 학부생이 대강대강하네요,,
12 - 한국에서의 석사 현실을 보고.....
23 - 박사 졸업 예정자인데 교수랑 대판 싸우게 될 듯
14 - 연구가 재밌어서 대학원 가는 경우도 있나요
10 - K왈: “넌 지금 어떤 이야기의 위성으로 사느라, 네 이야기를 안 쓰고 있는 중이냐?”
11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