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웃기지않아욤 다들 그런마음으로 학위하는거애욤😄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0 - 뭘 붙어요 붙긴. 철학이 무슨 결투의 장이라도 되나보죠 ? 의미도 없는 말싸움에서 이기면 자신이 무슨 대단한 인물이라도 되는 줄 아나봄. 제발들 진짜 철학을 하세요. 어짜피 금방 무너질 자존감 세우는 도구로 철학을 이용하지 말구요.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9 - 짤 보고 피식했는데 다들 야박하노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5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5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29 -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2 - Gpt로 논문 읽는사람 보면 마치 한 자릿수 덧셈도 암산이 안돼서 계산기 쓰는 사람 보는 심정임.
물론 gpt좋고 효율적이지. 근데 gpt 없이도 혼자 해결가능한 수준에 오르고 나서 gpt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6 -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3 - 교수님들은 지잡대 교수님들도 다 훌륭하신 분들입니다.. 결국 학생들 수준이 교수님과 연구실의 평가를 정하게되는거죠.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1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2 - 포연고 까지 빼야되면 사실상 대한민국 이공계 망했다 아님?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9 - 문과라는게 애시당초 기술이라는게 없음. 당장 제일 인기있는 로스쿨에서도 법을 공부해서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변호하고 판단하는 일이지. 과학기술 정책학? 굳이 박사학위가 있어야 정책을 세우나?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3 - 인문학 계열은 학문의 깊이가 다름..
나야 전공수업 몇 개 듣고 실험이나 좀 하면서 논문 쓰고 얼레벌레 졸업하기는 했지만
인문학이나 아니면 진짜 자연과학으로 박사하는 사람들은 진짜 리스펙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1 
[서울대학교 기초교실] Magnetic Resonance Informatics Lab 인턴/연구원/대학원생 모집
2023.07.04

생체 자기공명(in vivo Nuclear Magnetic Resonance)은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과 자기공명분광(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살아 있는 사람이나 동물로 부터 비침습적으로 영상 또는 스펙트럼 형태의 정보를 얻어내는 기법입니다.
MRI는 기본적인 해부학적 영상 뿐 아니라 최근 개발된 다양한 영상 대조도(image contrast)를 기반으로 생체 내 특정 장기의 기능(function)을 평가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 오늘날 환자의 진단 및 기초 연구 등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습니다.
MRS는 생체 내 특정 부위에서 신경전달물질 등 다양한 대사체들로부터의 신호로 구성된 스펙트럼 획득을 통해 비침습적으로 대사체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여러 질병/질환들의 발병 기전 및 신약 개발 관련 연구 뿐 아니라 환자의 진단 등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Current Research
*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MRS methods for improved quantitative accuracy
* Development of rapid MRSI methods
*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in the diagnosis of neuropsychiatric diseases
[연구분야 키워드]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ic imaging (MRSI); deep learning; brain
[지원 방법]
대학원생, (학사,석사,박사)연구원, 인턴을 모집합니다.
(1)이력서, (2)자기소개서, (3)학부/대학원 성적증명서 이메일로 제출 (hyeonjinkim@snu.ac.kr) --> 대면 또는 비대면 면접
https://invivonmr.modoo.at/
[자격]
물리학(양자역학), 전자/전기, 컴퓨터, 딥러닝 등의 학문적 배경을 소유한 학사, 석사, 박사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경우 영어성적을 만족해야 합니다.)
[대우]
인턴과 연구원의 경우 능력에 따라 지급하며,
대학원생의 경우 등록금 전액 + 생활비 지급합니다.
[연락처]
hyeonjinkim@snu.ac.kr
대학원은 원래 이런건가요? 김GPT 25 28 6030
서울대학교 기계연구실 김GPT 0 14 6679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GPT 4 6 1657
서울대 컴공 인건비 김GPT 0 3 6964-  
 0 13 1280 
서울대 전정 김GPT 0 5 4383-  
 1 7 1584 
서울시립대 김GPT 0 3 1139
연대 컴공 대학원과 서울대 데싸대 김GPT 0 8 2389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명예의전당 232 24 63293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명예의전당 311 23 60604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7 57 74875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9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9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6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4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0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3 - 안녕하세요. 철학자 B 입니다. 
 10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22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10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39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4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1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30 - 컨텍 메일 답변이 어느정도 긍정적인건가요?  
 10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8 -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8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5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8 - 중졸이에요... ㅜㅜ 
 12 - 대학원생의 연애와 결혼은? 
 8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6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7 -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3 - 일본 유학 관련 질문하려고 합니다 
 6 - 과제 연구 규모 큰걸까요?  
 6 

2023.07.07
대댓글 1개
202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