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숭국세단 ㅋㅋ 진짜 개찐따같누
숭국세단 라인 석사인데 교수님께 박사 풀펀딩 제안 받았어요
22 - 3가지 부류임. 1) 교수의 낮은 연봉 때문에 부수입이 필요해서 교원창업을 하는 경우, 2) 은퇴 이후 작은 일거리를 만들기 위해서 시작하는 경우, 3) 기술이 학교에서 사장되는게 너무 아까워서 스타트하는 경우. 1,2번은 최악인 것이고 3번은 기술을 개발한 대학원생과 교수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인데 문제는 미국처럼 교수가 자문만 해주는 역할로 빠지지 않고 대표를 직접 맡아서 다 이끄려고 하는게 문제임. 교수가 대표를 맡는 순간 대학원생은 어쩔 수 없이 회사의 업무에 개입을 해야하거든요.. VC나 AC의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건 일부 교수님의 잘못이 있기도 합니다. 기술을 설명하는건 전적으로 교수의 책임이고 그걸로 가치를 평가받는데 어렵게 설명을 했거나, 혹은 애시당초 매칭이 되지않을 파트너를 찾아온거겠죠. 어느 집단을 가도 상위 10% 이내만 경쟁력이 있습니다. 의사도 수술못하는 의사들 너무 많듯이요. 본인이 속한 그룹의 리더인 교수가 경쟁력이 있고 분명한 비전과 철학이 있는지를 항상 지켜보고 판단하시길. 한국의 분위기가 어렵긴하나, 그 명문대를 유학해서 교수하고 있던 교수들도 비슷해지는 것을 보면 결국 근본싸움임.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25 - 그냥 ㄹㅇㅋㅋ 이나 하라고 ㅋ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19 - 공학의 아름다움을 모르시니 참 안타깝습니다.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18 - 벌써 탬플릿 생겼네ㅋㅋ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16 - ㅂㅅ 같은 질문하니까 지피티가 알아서 맞장구 처준거
ai 답변인데 연구 현장에 계시는 분들은 이게 맞다고 생각하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15 - 뭔 얼마나 많은 케이스를 보셨다고 일반화를 하시나요 ㅎㅎ 전형적인 유학뽕 차신분 같네요.
참고로 저는 국내 spk에서 학위모두받고 탑스쿨 포닥+플래그쉽 주립대 임용된 케이슨데, 한국많은 학교의 연구 수준이 절대 낮지 않습니다.
글쓴이분의 극소수 케이스 보고 "한국박사과정이 실험컨셉도 이해못하더라" "중국신 논문찍어내기가 심하다" 등등의 평가절하를 하려고 하시는듯 합니다.
그냥 논문이 많은사람이면 그 사람을 통해서 배우시면 됩니다. 거기에서 어떻게든 "말도 안된다" 등으로 상대방을 낮춰서 본인이 더 우수하다고 말 안하셔도 됩니다. 저또한 논문편수가 꽤 많은편이고, 그중 탑저널도 세개 있었습니다. 그중 한개는 해외포닥 넘어와서 쓴거고요. 논문 많이쓰시다보면 연구를 하기전에 대충 어느정도 수준이 될지 보입니다. 기여도가 없이 흥미만으로 시작된 논문은 에디터든 리뷰어를 설득하기 힘듭니다. 반대로 연구많이하시면서 그런 연구 기여도를 빠르게 잡아내실수있으면 단기간이여도 좋은 연구하실수 있는거고요. 제 PI지도교수도 제 그 능력을 높게 평가해주셨고요. 근데 이런 insight는 논문 많이 보고, 또 써봐야지 생기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에서 말씀하시는 의도가 다분히 보이는데, 본인은 혹시 모르시고 쓰신글일까요? 저는 반대로 글쓴이분의 자존감이 굉장히 아쉽네요.
국내 박사 논문 개수
21 - 본인의 경험에서 국내 대학들의 박사과정생들의 역량이 떨어졌을지는 모르겟으나, 그 소수의 경험을 일반화 할수는 없습니다.
남의 성과는 의심하고, 깍아내리는데 어떻게 본인은 훌륭한 연구자가 되기 이전에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는지가 저는 궁금하네요.
사람마다 역량이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1년에 5편 쓸수도 있죠. 논문 써보셨으니 아시겠지만 문제정의가 제일 중요하게 그 다음이 문제 해결 방법인데, 그걸 잘 하는 사람인가보죠.
님이 가장 먼저 배워야할 건 다른사람의 공적을 깍아내리지 않는 겁니다. 본인의 연구 성과가 중요한 만큼, 다른 사람의 연구 성과도 존중할줄 알아야합니다. 연구자가 되기전에 더 나은 사람이 되어야합니다.
국내 박사 논문 개수
17 - ㅋㅋ 너 학부 어디냐. 앞으로 너보다 높은 학부출신 사람들 보면 머리조아리고 존댓말하면서 다녀라.
19살 20살에 수능쳐서 들어간 대학 하나로 10-20년 미친듯이 공부해서 박사달고 교수된 사람 무시하는 수준보니.. 넌 딱봐도 하류인생이겟네
방통대 학사 출신이 테뉴어 교수
15 - 모든 철학자가 저런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대개 잘못된 방법으로 철학 아닌 철학은 운운하며 "스스로의 우월함"을 뽑내려고 할 때 저런 양상을 보입니다. 공자, 노자, 예수, 석가모니를 비롯해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스피노자, 톨스토이 등 많은 철학자들은 화하고 사려 깊은 언어를 통해 논증과 사상을 설파하였습니다. 절대로 막무가내식 우기기 억지주장을 하지 않았죠.
탄압이라 주장하는 것도 스스로의 궤변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재일 뿐입니다. 무언가를 주장하려면 그에 대한 근거와 함께 합리적이고 타당한 결론을 내려야겠죠. 근거 없이 아무런 문제도 해결 못하는 형이상학적인 주장을 무책임하게 늘어놓고, 그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거나 근거를 요구하면 자신의 이론을 탄압하지 말라고 주장하는 것은 스스로 자신의 주장이 궤변이라는 것을 알고 있단 반증입니다.
많은 이들이 철학에 대해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절대로 현실에서 동떨어진 도 닦는 소리를 하는 학문이 아니었습니다. 서양의 경우 고대부터 자연철학으로 과학적으로 세상의 이치를 따지던 학문이었습니다. 동양도 마찬가집니다. 공자나 손자, 맹자, 노자, 묵자 등은 실제 국가의 통치체계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진리는 복잡하고 난해하며 심오한 것이 아닙니다. 짧은 문장으로도 강렬하며 깨우침을 주는 울림입니다. 그 사람이 주장하는 것에 진리가 있었다면 막무가내로 자신의 말이 옳다 주장하지 않았을 겁니다. 스스로 진리 없는 뜬구름 잡는 헛소리임을 알기 때문에 막무가내로 우겨대는 것입니다. 결국 이런 이들의 공통점은 자신의 이론이나 철학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노력을 해서 무언가를 성취해본 적이 없으니, 타인의 노력과 성과를 폄훼하기 급급한 것이지요. 20대 때에도 이런 이들이 있으면 굉장히 피곤한데, 이런 부류와 30대 40대까지 알고 지내면 매순간이 고통으로 다가옵니다.
최대한 빨리 한 살이라도 어릴 때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보다 현명합니다.
지인이 저 철학자A 인거같은데요....
21 - 그냥 거쳐가는 관문일뿐인데 대학교 서열에 미쳐서 훌리짓하는애들이 이상할뿐 ㅎㅎ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13 - 연대졸설대박>연대졸연대박 but 연대졸지잡박>>>>>지잡졸연대박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18 - 학벌은 학부, 학력은 박사 하기나름
이거 당연한거 아닌가?? 한국 살면서 왜 부정하려들지?? 넌 sky 공대 4점대가 지방대 4점대랑 동급으로 노력투자하고 이룬거라고 생각하나? ㅋㅋㅋ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13
GIST 신소재 3.97 → 카이스트 신소재 석사과정 합격
2025.07.30


GIST
B. 전공, 학점
신소재공학부, 3.97/4.5
C. 스펙: 어학점수, 인턴활동, 대외활동, 자격증
영어 : TEPS 425
인턴 활동 : 학부 3학년 때 1년, 그 후 4학년 말에 3개월 정도
대외활동이나 자격증 등은 하나도 없습니다.
D. 면접 후기(기출 문제)
면접은 일반적으로 2개 방에서 각 10분 간 면접을 진행합니다. 각 방마다 교수님 세 분께서 돌아가면서 질문하십니다. 들어가면 먼저 간단한 자기소개가 필요하니 1분 이내 정도로 짧게 준비하면 됩니다.
인성 관련 질문은 사람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인성 질문을 하나도 안 받았는데, 제 친구는 인성 관련 질문도 있었다고 합니다.
인턴 활동을 한 내용 중점으로 자소서를 작성했어서 그런지, 교수님 중 한 분이 분석기기(TEM)의 원리에 대한 질문도 하셨고, 나머지 분들은 전부 전공 관련 질문을 하셨습니다.
기억나는 질문은
Polymer 사슬은 왜 늘어났다고 복원되려고 하는 성질을 보이냐
금속의 결정 구조와 두 금속이 solid solution을 형성할지 예측하라
물질 내부의 열전도가 어떻게 일어나는가, 또한 물질의 비열은 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정도 있는 것 같습니다.
E. 대학원을 준비하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전공 질문이 생각보다 제가 연구하고 싶은 분야보다는 다양하게 두루두루 질문하시는 것 같아서, 한 분야에 대해 집중적으로 공부하기 보다는 재료과학 기초 내용을 전반적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영어 관련 질문은 하나도 안 하시는 것 같습니다. 영어 자기소개라든지, 영어로 설명해 보라고 하시는 분은 없었고, 제 친구들도 모두 그런 질문은 없었다고 합니다.
대학원 합격도 중요하지만, 이후 컨택도 중요하기에 학부 때 미리 인턴을 한다거나 메일을 보내는 등으로 미리미리 컨택을 준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학원 재수해본사람이 남기는 면접후기 김GPT 14 6 10298
석사 졸업 성공 김GPT 6 4 910-
0 4 1565 -
0 4 10281
대학원 합격 후 김GPT 1 0 1161
오늘 석사 면접보고 왔습니다,, 김GPT 0 1 1247
신소재공학과 면접 김GPT 1 8 953
우리 교수님 솔직히 너무 좋음 명예의전당 311 47 95986-
275 22 36592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 명예의전당 111 35 49918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잡대생의 열등감
266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73 - 여초랩이 무서워서 지원 못하시는 분들에게 남기는 글
47 - 철학자A에 대한 단상
23 -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57 - 갑자기 김박갤에 난입한 철학도 여러분께
58 - A-공간 메타-오더 우주론: 표준 팽창 모델의 완전 붕괴와 초월적 시간에 의한 시공간 A- 우주의 통합과 형식화
24 - 숭국세단 라인 석사인데 교수님께 박사 풀펀딩 제안 받았어요
24 - 철학자 A에 대해서 소신발언하자면
43 - 이게 맞나 라는 생각이 계속 듭니다(일기장)
8 - 가짜 철학자를 구분하는 방법
12 - 철학자 A의 이론을 봤는데, FLRW 모델의 각 항목도 제대로 이해 못 하는 것 같음
16 - 철학자 a 사건 보면서 너무 웃긴 점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48 -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15 -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21 - 방통대 학사 출신이 테뉴어 교수
16 - 철학이야기가 많아 저도 한번 의견을 들어보고싶습니다.
9 - 국내 박사 논문 개수
13 - 지인이 저 철학자A 인거같은데요....
18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35 - AI대학원, 비전공자 (전기공학도) 도 가능한가요?
9 - 삼십대 후반에 대학원 석사 입학... 내 선택이지만 진짜 힘들다...
17 - 상대성이론에 대한 역설을 만들어봤습니다.
12 - 미박 지원서를 몇 개를 써야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27 - 미국 유학 외 선택지?
22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