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6년 가을학기 미국 대학원 지원을 준비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로봇 또는 기계공학 분야 Top 30 대학의 석사(논문) 과정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TAMU 기계공학이 1지망입니다.
여러 선배님들의 귀한 경험을 바탕으로 제 스펙에 대한 냉정한 평가와 현실적인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학부: 지방거점국립대학교(지거국) 기계공학/메카트로닉스 전공
학점: 전체 3.94/4.5, 전공 4.09/4.5
연구 실적:
SCI급 저널 1편 (제2저자): Nano Energy (IF=17.1)에 게재된 논문입니다.(로봇이랑은 관련도가 떨어져요) 로봇 관련 논문도 작성중이에요. 대한민국 특허 등록 1건 (발명자)(swarm robot 관련입니다.)
연구 경력: 학부 연구생 2년 했어요. 로봇이랑 조금 거리가 먼 센서쪽 연구를 도왔어요. sop에는 학부때 한 캡스톤 프로젝트로 swarm robot 만들었어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10.20
로봇이랑 거리가 먼 센서가 뭐가 있을라나 모르겠지만... 센서 연구 했다면 그거를 중점적으로 물어볼 가능성이 높네요..
2025.10.20
석사는 아마도 될거에요. 주의점은 학교에서 제시한 커트라인은 무조건 넘기셔야하구요. 석사는 박사보다 좀 더 운의 영역이라 갯수를 정말 많이 쓰셔야 합니다.
아마 thesis/non-thesis 확실히 나누는 학교는 소수일거고, 대부분 선발은 non-thesis로 하고 입학 후 교수님 잡아서 연구하는 경우가 많은 걸로 알아요.
대댓글 5개
2025.10.20
석사는 박사 과정 지원보다 합격률 확실성이 떨어지나요?
2025.10.20
아 그리고 혹시 석사중에 RA 잡아서 학비랑 생활비 받는거 생각하시는 거면, 학교별로 랩실별로 분위기가 꽤 다르니 참고하시면 될 거 같아요. 제가 있는 학교는 석사는 volunteer인 경우가 많은듯...
2025.10.20
넵 감사합니다!
2025.10.20
석사가 합격률은 높습니다. 박사는 로봇분야의 경우 10퍼 내외 이구요. 석사는 학교에 따라 30퍼 정도까지 올라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박사는 지도교수를 잡냐 못잡냐로 갈리는데 석사는 학교 커미티에서 내부 기준으로 뽑다 보니까 불확실성 측면에서는 조금 더 높은것 같네요. 따라서 많이 쓰시는게 속 편하실거에요.
2025.10.20
자세한 답변 감사드려요! 정말 많은 도움이 됐어요
2025.10.20
분야는 다르지만 미국에서 공학계열 석사과정 하고 있습니다. 충분하다고 봅니다. 일단 미국에서는 설카포연고 (순서는 의미없습니다) 정도 좋은 학교 아니면 다 몰라서 해당 안되면 학부 디메리트 별로 없습니다. 앞으로 하고 싶으신거랑 좀 달라도 연구, 논문 집필 경험도 있으시구요. 사실 석사과정은 특정 몇 연구석사 프로그램 빼고는 프로그램 단위로 뽑아서 교수님들이 하나하나 자세히 보면서 자기랑 맞나 안 맞나 이렇게 보지도 않습니다. 학부 입시랑 비슷하다고 보면 돼요. 그리고 석사과정은 캐시카우니까.. 그거만 염두하시면 합격 자체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2025.10.20
2025.10.20
대댓글 5개
2025.10.20
2025.10.20
2025.10.20
2025.10.20
2025.10.20
2025.10.20
대댓글 1개
2025.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