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카톡만 인증하고 들와서 대학원 대학교 서열 세우는 사람들보면 특징이 다 똑같음 << 분탕러들. 대학원도 나름 이력이 되는거고 한줄 쓰는건데 응 학부 응 학부 ㅋㅋㅋㅋㅋ 넷상에서 줄세우는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를 하나 정의해야해요 ㄹㅇ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5개
2025.10.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BEST연대졸설대박>연대졸연대박 but 연대졸지잡박>>>>>지잡졸연대박
대댓글 4개
2025.10.30
근데 이건 아님. 연대졸지잡박하면 존나 없어보일거같은데
2025.10.30
지잡졸 연대박이 그정도임?
2025.11.04
회사에서 면접보는 입장에서 지잡졸연대박 > 연대졸지잡박 으로 보이는데
2025.11.04
그냥 주변에 학벌자랑할때나
연대졸지잡박 > 지잡졸연대박 이지
실질적으로 채용하거나 할때는 당연히
지잡졸연대박 > 연대졸지잡박
2025.10.29
학부따위...대학원도 학벌이 있긴하겠지만 의미가...
2025.10.29
근데 그래서, 대학원 대학교 서열을 세우지 말자는 거임, 아니면 대학원도 서열을 세우자는거임? 서열 세우지 말자 -> 학부 학벌도 의미 없다 서열 세우자 -> 대학원도 이력이 되고 학교 이름 쓰는거다 둘중에 뭘 주장하고 싶은지?
대댓글 4개
2025.10.29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학부건 대학원이건 학교 네임밸류에 따라서 구성원 능력이 드라마틱하게 달라지거나 하는건 아님. 근데 한국 사회에 편협한 시선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고, 대학원 보다 학부 이름을 더 중요하게 보는것도 사실이지 않나?
2025.10.29
그냥 거쳐가는 관문일뿐인데 대학교 서열에 미쳐서 훌리짓하는애들이 이상할뿐 ㅎㅎ
2025.10.29
확대해석하지말아요 ㅎㅎ 대학원사이트인만큼 대학원에서 열심히하는사람많은데 학부학부 들먹거리며 내리까는 이상한사람들이 많아서요
2025.10.29
그렇긴하죠. 뭐 좋은 대학 들어간게 인생에서 가장 자랑할만한 업적인 사람들은 어쩔수가 없음. 한국 사회가 워낙 학벌에 목매다 보니 보상심리 있는것도 어쩔수없고. 좋은 학교 나온거보다 자랑할만한 업적 많이 쌓도록 열심히 하는수밖에
2025.10.29
이 나라 국민성이 그런걸 어캄
2025.10.29
본질적으로 뭘 할줄 아는데? 뭘 증명했는데? 그 대답이 가능하면 됨. 실적 많으면 사회서 가치가 있을 사람이면 잘 됨
2025.10.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대졸설대박>연대졸연대박 but 연대졸지잡박>>>>>지잡졸연대박
대댓글 4개
2025.10.30
근데 이건 아님. 연대졸지잡박하면 존나 없어보일거같은데
2025.10.30
지잡졸 연대박이 그정도임?
2025.11.04
회사에서 면접보는 입장에서 지잡졸연대박 > 연대졸지잡박 으로 보이는데
2025.11.04
그냥 주변에 학벌자랑할때나
연대졸지잡박 > 지잡졸연대박 이지
실질적으로 채용하거나 할때는 당연히
지잡졸연대박 > 연대졸지잡박
2025.10.29
살면서 지금까지 이룬게 학교 다닌거밖에 없는 사람이 학벌이 뭐가 중요하냐고 하면 그럼 그거말고 한게 뭐가있냐고 반문할수 밖에 없다.
2025.10.29
박사는 실적 어느정도 나오면 쳐줌, 석사는 안쳐줌
2025.10.29
학벌편승에 대한 기대를 접으라는 뜻이겠지.... 왜 자꾸 대학원으로 학부가 세탁된다는 기대를 갖느냐는 뜻...기업 입장에서는 학부와 대학원 둘다 고려요소일텐데...
2025.10.29
학벌은 서울대 법대빼고 없음. 찾아보셈
2025.10.29
대학원 솔직히 입학 쉬운건 널리 알려진 사실인데 재학생으로 쳐줘야함?
대댓글 1개
2025.10.29
축제할 때 재학생존도 대학원생 안받아줌 ㅋㅋ
2025.10.29
K처럼 입시를 뚫어야하면 인정이지
2025.10.29
석사는 학벌 세탁용 맞음, 지잡들아 개소리들 말거라
대댓글 1개
2025.11.02
학/석/박사 모두 결국은 취업을 위한 단계가 아니던가. 그리고 회사의 인사팀에서 자체 기준에 의거하여 채용을 할것이고. 아무리 갑론을박해도 아무의미 없음.
2025.10.29
실제 임용시장에서는 공공연하게 학부학벌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임용시장 구경도 못해본 대학원 준비중인 학부생들 이제 막 석사 생활 시작한 대학원생들이 왈가왈부하는거 보면 참 어이없긴 함
대댓글 1개
2025.10.30
교수 채용 때 학부는 그 사람의 연구 족적을 종합적으로 볼 때 하나의 지표일 뿐입니다. 매우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이번에 채용할 때도 그랬구요.
2025.10.29
학벌은 학부, 학력은 박사 하기나름 이거 당연한거 아닌가?? 한국 살면서 왜 부정하려들지?? 넌 sky 공대 4점대가 지방대 4점대랑 동급으로 노력투자하고 이룬거라고 생각하나? ㅋㅋㅋ
2025.10.29
졸업한지 좀 됐고 현재 대기업 재직자지만, 공대 기준 학벌은 다다익선임. 학부만큼 임팩트는 없지만 그래도 대학원이라도 좋으면 좋긴 함. 일반인 평가는 그저그런데 적어도 인사과는 대우함
2025.10.29
학교에 따라 수준차가 있는 건 사실임. 학부 학벌만 내세우는 것도 문제이지만 굳이 학벌을 부정하려는 것도 웃기는 일임. 학부 학벌을 부정하려고 애쓰는 사람들은 내세울 만한 학교 출신이 아닐 거라고 생각됨...
2025.10.29
여기 보면 학교만 다닌 우물안 개구리 범생이들이 판을 치는구나. 사회 나와서 직장생활해봐라. 어느 학교니 서열이니 거의 의미없다. 개인 능력과 조직에 대한 충성심 배려심으로 직장생활 성공이 갈린다.
대댓글 2개
2025.10.29
어이구 선생님이야말로 사회생활 해보세요. 사회생활의 기본조차 학부를 기반으로 시작됩니다. 나쁜의미가 아니라 사람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이 그거말고 마땅치 않아요. 학부만으로 노력과 성실의 가치를 아는 사람과 덜아는 사람으로 구분됩니다.
2025.10.30
이게 맞지 ㅋㅋㅋ 취직할때나 필요한거지 실제 인간관계에서 사람 행실이 중요하지 뭐 첫인상 말곤 아무 쓸모 없음. 교직에 있는 사람은 다른 얘기고.
2025.10.30
학부 학벌 서열 내세워 우월주의에 으시대다가 망합니다
2025.10.30
고생해서 박사 받은 사람들은 아무도 신경안쓰는데 간혹 물박사나 석사까지만 하고 서울대 대학원 나왔다고 나 서울대 출신이야~~ 하면서 남 까거나 자기 어필 하면서 다니는게 같잖아서 보통 글치..
물론 그 외에 그냥 대학 서열질 하는 김학사들은 다른 얘기고
2025.10.30
대학원 서열이 의미 없다고 말하는 이유는 단순함. 대학원 나와서 대학원 학벌을 의미부여할 일이 석사 취업, 박사 취업, 교수 임용 이 세가지인데 석사 취업은 학부를 더 보고 박사 취업은 학벌 타이틀보다 사실상 본인 연구 분야 실적과 인맥으로 가는게 크고, 교수 임용은 자대 임용과 일부 상위권 외엔 출신 대학원의 서열 자체가 의미가 없기 때문임. 그냥 현실이 그런걸 어떡함.
현실적으로 큰 의미가 없으니까 의미가 없다고 하는거고 이해관계 당사자가 의미가 있어야 한다고 백날 주장해봐야 실제로 현장에서 그걸 따져주지 않으면 의미 없음.
2025.10.30
이거 쓸 시간에 논문 한 문단이라도 쓰시길
2025.10.30
일단 뭐 석사 들어가는건 학부보다 쉽고 석사 졸업하는건 진짜 너무나도 쉽기에 그런것. 박사는 시간도 오래 투자하고 나름 학교 학과마다 졸업요건도 있으니까 그걸 뚫었으니 어느정도 인정은 함. 박사랑 학부생 차이는 갭이 큼. 근데 학부랑 석사랑은 딱히 없다고 봄. 그래서 석사는 학부만 보는게 맞다고 본다.
대댓글 1개
2025.11.02
어느 학교 대학원을 이야기하는지 모르겠지만 석사졸업이 쉽다고? 케바케긴 하지만 절대 쉬운게 아닌데.....
2025.10.30
이 좁디좁은 조선반도에서 대학가지고 서열질 하는것도 웃긴데 학부보다 훨 들어가기도 쉽고 잘하는 애들 싹다 미박으로 빠지는 대학원 입시에서조차 서열질하는 애들 대상으로 그렇게 말하는거지 ㅋㅋㅋㅋㅋ 학부로 차별받긴 싫지만 대학원 서열질은 해야하는 조선인들의 이중성이란....
2025.10.30
대학 졸업생 중 대학원 진학자 비율을 보면 학부 기준으로 학벌을 정하는게 전사회적으로 얼마나 개연성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2025.10.30
결국 나중에 돈 많이 번 사람이 일등 아닌가요?
대댓글 2개
2025.10.31
정확함
2025.11.02
돈이 제일이면 공고가서 일찍 취업해서 돈 빨리 모아서 개인 장사하면 제일 빠르지 않나? 그럼 공고가 제일인가?
2025.10.31
대학원도 약력 한줄 맞는데 학부 약력을 안쓰거나 대학원 약력이 전부인양 쓰는게 문제지.
2025.10.31
참 간만에 논문쓸 일이 있어서 검색하다가 알게된 사이트라 석학이거나 석학이될 사람들이 어떻게 생활하나 알고싶어서 한번씩 들어오는데 우리나라가 암울해보여서 글을 남김. 아무리봐도 요지는 학부 학벌만 중요한게 아니니 학벌, 학벌 노래부르지말라는 거라고 생각함. 하지만 반박글 내용은 학벌이 의미 없다는 글에 대한 반박내용으로 이 글의 요지와 핀트가 맞아떨어지지 않거나 학과 학벌이 모든 것이라는 뉘앙스의 글들이 상당수보임. 내가 연구분야가 아니라 학부학벌이 최고로쳐주는지 아닌지 모르겠으나 제대로된 반박글들이 많이 보이지 않음
2025.10.31
세탁이고 자시고 쉽게 정리하자면 '학부를 가릴 수는 없다' 정도 아닌가요? 학부는 성적순대로 들어가기때문에 당연히 높을 수 록 좋게평가받지만, 대학원은 과정(실적)이 더 중요하기에 대학원학교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거구요. 애초에 세탁이다 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는게 아니라 학부에서 저평가될 것 같으면 대학원에서 노력하여 점수를 더 높힐 수 있다 라고 생각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11.02
상황을 정확하게 보고 계신듯.
2025.10.31
다른 사람의 시선에 크게 개의치마시고 연구자로써 본연의 길을 걸으신다면 그것으로 족한것이지요^^
2025.11.01
힉벌은 학부만을 끝이야. 나머지 개소리는 즐
2025.11.01
학부보다 논문이 더 중요해요 대학원은. 그런데 논문이 똑같이 없으면 학부 좋은 사람들이 더 기회를 받기가 쉬움. 논문 실적이 비슷하면 그 때부턴 분야 fit이 중요하고요.
2025.11.01
싣닷타 고따마(샤캬무니)부처님 : 흔들리고 동요하고 지키기 어렵고 제어하기 어려운 마음을 지혜로운 사람은 바로잡는다. 마치 활제조공이 화살을 바로잡듯. 물고기가 물에서 잡혀 나와 땅바닥에 던져진 것과 같이 이 마음은 펄떡이고 있다. 악마(마라 빠삐만)의 영토는 벗어나야 하리. 멀리 미치고 홀로 움직이고 신체가 없이 동굴에 숨어 있는 마음을 제어하는 님들은 악마의 밧줄에서 벗어나리라. 법구경(담마파다).
2025.11.02
여러 해 전 국내 최대 재벌기업에서 최연소 임원을 달아서 일간지에도 소개된 인물이 있는데 박사는 KAIST, 학부는 서울대가 아닌 SKY중 한곳을 졸업.. 이 친구 프로필을 보면 어디에도 출신 학부를 언급하지 않고 박사 받은 곳만 소개하던데 서울대 공대를 나왔어도 굳이 그걸 숨기려 했을까.. 나는 아니라고 본다. 이후 미국 빅텍으로 옮겨 6년 다니고 현재 스타트업 CEO로 있는데, 방금 찾아본 그의 LinkedIn 프로필에는 여전히 KAIST 뿐.. 그렇게 그는 자신의 출신 학부를 꽁꽁 감춰서 세상이 그를 약간 모자란 사람으로 평가할 기회를 차단하려는 듯한 느낌적인 느낌.. 이미 먼 과거의 일이지만 그는 재수, 삼수를 해서라도 반드시 서울대 공대를 갔어야 했다.
대댓글 2개
2025.11.02
서울대 공대 혹은 KAIST 학부를 갔어야 했다로 정정함.. 내가 여태 봐온 사례들을 기준으로 하면 서울대와 KAIST 는 서로를 인정하는 분위기.. 그 유명한 삼전 사장, 부회장 지낸 진대제, 권오현 의 공통점은 서울대 공대 학부, KAIST 석사 출신..
2025.10.29
대댓글 4개
2025.10.30
2025.10.30
2025.11.04
2025.11.04
2025.10.29
2025.10.29
대댓글 4개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
대댓글 4개
2025.10.30
2025.10.30
2025.11.04
2025.11.04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
대댓글 1개
2025.10.29
2025.10.29
2025.10.29
대댓글 1개
2025.11.02
2025.10.29
대댓글 1개
2025.10.30
2025.10.29
2025.10.29
2025.10.29
2025.10.29
대댓글 2개
2025.10.29
2025.10.30
2025.10.30
2025.10.30
2025.10.30
2025.10.30
2025.10.30
대댓글 1개
2025.11.02
2025.10.30
2025.10.30
2025.10.30
대댓글 2개
2025.10.31
2025.11.02
2025.10.31
2025.10.31
2025.10.31
대댓글 1개
2025.11.02
2025.10.31
2025.11.01
2025.11.01
2025.11.01
2025.11.02
대댓글 2개
2025.11.02
2025.11.04
2025.11.04
2025.11.04
202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