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대학 교원 임용, 커트라인이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최근 상위권 대학들이 CS 분야 교원을 적극 채용하면서, 전반적인 임용 기준 또한 함께 상향되고 있습니다.
특히, Top conference 주저자 논문 실적은 필수로 여겨지며, 공저자 실적도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연구의 깊이와 실적의 전략적 구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입니다.
임용을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 힘내시고 화이팅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5.04.23
주저자 컨퍼런스 몇편이 요구되나요?
대댓글 1개
2025.04.23
학교마다 그때그때 다르지만 주저자 탑컨퍼런스 3편이면 좀 안전한 편이죠.
2025.04.23
미박 AI/로보틱스인데 주저자 4-5개정도면 서성한 노려볼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대댓글 8개
2025.04.23
탑컨퍼 기준이요!
2025.04.23
주저자 4-5개가 다 탑컨퍼런스(1티어)고 공저자 있으면 좋죠.
2025.04.24
icra iros는 탑컨퍼라기에는..
2025.04.24
ㅇㅇ corl이나 cvpr 얘기하는거
2025.04.24
AI도 쉬운편이지만 로보틱스 역시 좀 쉽게 보는 편이고 평가하시는 분들 중에 로보틱스 컨퍼런스에 대해서는 인공지능 보다 더 모르는 면접관이 많을 수 있다는 점을 아시는게 좋을겁니다.
기존 멤버 중에 로봇쪽 연구하신 분이있고 그중에서도 컨퍼런스를 내본 사람이 있으면 알겠죠.
2025.04.24
다른 분야보다 많이나오긴 하죠. 컨퍼런스를 모르는건 진짜 안타깝긴하네요. 확실히 한국이 미국보단 몇년 뒤쳐진 느낌인가봐요?
2025.04.29
corl? icra rss한참아래 하꼬컨퍼런스? ㅋㅋㅋㅋ
2025.04.29
러닝하면 corl은 탑티어지.. 스탠포드 로보틱스에서 다 코렐내는데 ㅋㅋㅋ ICRA가 진짜 합격률 거의 50퍼니까 탑티어인지 의심이 가긴함
2025.04.23
요즘 상향 평쥰화 된건지 모르겠지만 석사때 탑컨퍼 2편 쓰는 사람들도 있음 그분들 보면 괴물같음
대댓글 1개
2025.04.23
이게 점점 눈높이가 높아질 거에요 AI는 특히. 일반 컴싸에 비해서 AI는 탑쓰기가 쉽습니다. 미국 상위권 학교는 보통 석사 입학하면 바로 노려봅니다.
보통 다른 컴싸는 박사때 3편만해도 잘하는 편인 경우가 많습니다.
2025.04.24
프레시박사 임용도전은 어떻게 보고 계신지요?
대댓글 2개
2025.04.24
이게 한동안 입지가 바닥을 쳤다가 올라오는 중 입니다. 워낙 교원을 많이 뽑아서 프레쉬 박사가 많았다가 전보다 약간 다시 오름추세인 듯 합니다.
해외 박사 출신들 중에 실적이 뛰어나면 가능할 수 있죠. 생각보다 이게 쉽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ㅎㅎ
2025.04.24
오름추세가 되는 이유는 뽑는 인원수가 좀 줄었어요.
2025.04.24
이걸보니 Al분야 탑컨퍼의 수준을 알것같네 전에 무슨 네이쳐랑 비교하길래 그정돈가 했는데,
정확히 jacs~AM정도 되는듯.
대댓글 8개
2025.04.25
그만 좀 하세요;; 탑컨퍼가 가끔 하방이 낮을 순 있어도, 가장 좋은 연구 결과가 나와도 결국 탑티어에 내기때문에 상방도 매우 높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탑은 탑이랑 비교해야죠
2025.04.25
객관적으로 분야가 다른게 비교부터가 힘들지 ㅋㅋㅋ 탑은 탑이라고 보는게 맞고
2025.04.25
솔직해집시다.. 어샙률이든 준비량이든 뭐든 비교할때 절대 탑저널이랑 비교가 될수없습니다. 리뷰어 풀까지 보면 차이는 더더욱 커지고요. 참고로 자매지 세편과 탑컨퍼 3편써봤습니다. 탑컨퍼는 PC/AC 오랫동안 하면서 리뷰어는 당연히 많이참여햇고, 저널도 꾸준히써서 자매지 리뷰도 일년에 두편정도 하는중입니다. “절대” 난이도는 탑저널과 비교할게 안됩니다. 애초에 라이팅을 2-3주안에 갈겨쓰고 contribution만 강조해서 연구의 깊이는 덜중요하게 신경쓰고요. 탑컨퍼 하시는분들은 진심 탑자매지가 아니라 그 밑 저널 한편이라도 쓰시고 말씀해보시길.. 비교할게 아니라지만, 솔직히 비교할거리도 안됩니다.
2025.04.25
상방끼리만 비교하는건 평균을 아예 무시하자는 말과 동일하고요. 한국의 탑인 카이스트와 전세계 탑인 MIT와 각국의 탑인건 동일하니 비교하지말고 둘다 좋다고 하는 말과 동일하죠. (참고로 카이스트 학석박입니다.)
2025.04.25
쓰는 난이도를 말한게 아니라 게재되는 내용에 대해 말해야죠. 각자 분야에서 가장 의미있고 흥미로운 내용이 공유되는 곳인건 사실 아닌가요?
더 좋은 곳에 낼 수가 없는데 뭘 평균을 비교해요
2025.04.26
ㄹㅇ 더 좋은 곳이 없는데 비교해서 뭐하냐 ㅋㅋㅋㅋ 저널에 이상한 부심이있으시내
2025.04.27
게재난이도에 대해서 비교하는건데 당연히 평균을 봐야하지 않을까요? 그렇게 따지시려면 오랄에 뽑힌 논문들만 한해서 비교하시든지요. "우리의 상방치는 좋으니 나도 좋다고 껴줘" 라는게 더 웃긴게 아닐까요? 저널에 이상한 자부심이 있는게 아니라, 학회내신 분들이 논문경험도 없으시면서 논문에 대해서 평가절하하는게 훨씬 크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이건 제 지금 PI도 마찬가지고요. 본인이 조금 리뷰어로 참여해본 경험때문에 뭐만하면 "이거 네이처 자매지 낼수있지 않을까?"라는 말 종종 하는데 그냥 웃어넘기곤 합니다. 두개 모두 경험해본 사람이 얼마나 많을지 모르겠지만, 게재난이도는 진심 논문이 훨씬 어렵습니다. 제 분야에서도 저처럼 투트랙 타는분이 스탠포드에 있는데, 그분도 본인 selected paper는 탑저널과 학회 오랄페이퍼/awarded 된것들만 올립니다.
2025.04.27
저도 포닥하면서 분야트는 시간도 있었음에도 2년동안 3편썼는데, 어느정도 분야에 적응만하면 어렵다고 생각하지는 않고 앞으로 독립해서도 충분히 매년 한편씩은 쓸수있다고 생각합니다. 하나 미끌어지면 다른하나 쓰는방식으로 해서요. 반대로 탑저널은 3년마다 한편씩 써도 매우 잘하는거라고 생각하고요. 게재율 25%는 참고로 탑저널 desk rejection 면하는 수준과 비슷합니다. 학회에서 웬만해서는 DR받기는 어려우니, 경험없으신 분들이 이해가 좀 되실지는 모르겠지만요. 저도 처음에는 탑컨퍼에서 요구하는 수준이 제가 박사과정동안 써왔던 논문들 수준으로 높을거라 생각했는데, AC/PC 4번즈음 하면서 그런생각 아예 사라졌습니다~
2025.04.24
CS 분야 탑컨퍼런스는 보통 어디까지로 보나요? BK 4까리라고 생각하면되나요? 아님 더 타이트하게 보나요?
대댓글 2개
2025.04.25
AI,비전,NLP만 보면 NeurIPS, ICLR, ICML, CVPR, ICCV, ECCV, ACL, EMNLP, NACCL 이 탑티어인듯.
2025.04.23
대댓글 1개
2025.04.23
2025.04.23
대댓글 8개
2025.04.23
2025.04.23
2025.04.24
2025.04.24
2025.04.24
2025.04.24
2025.04.29
2025.04.29
2025.04.23
대댓글 1개
2025.04.23
2025.04.24
대댓글 2개
2025.04.24
2025.04.24
2025.04.24
대댓글 8개
2025.04.25
2025.04.25
2025.04.25
2025.04.25
2025.04.25
2025.04.26
2025.04.27
2025.04.27
2025.04.24
대댓글 2개
2025.04.25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