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공 - 오래된 랩실인데 김박사넷 기준 평점 그닥, 내가 하고 싶은 연구랑 약간은 거리있음
성대 - 완전 제가 하고 싶은 연구, 생긴지 얼마 안되긴했는데
유명한 교수님과 같이 하는 프로젝트 하나를 나한테 맡기겠다고 함
이러면 어디로 가는게 나을까여?
닥 P인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Ernst Chain*
2020.11.12
무엇을 선택햇을때 본인이 후회를 하지않는 길을 선택하세요
하고싶은 연구 vs 네임벨류(사실 대학원이라..큰의미는 없지만)
2020.11.12
그래도 SPK 아닌가요?? 네임벨류 차이 클거 같은데....
Leopold Ružička*
2020.11.12
저는 연구실에서 하는 연구분야가 내 분야랑 살짝 불일치하는게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2020.11.12
Leopold Ružička
음 그 이유가 궁금한데 혹시 들을 수 있을까요??
Christiaan Eijkman*
2020.11.12
spk랑 성대는 네임벨류차이가 넘 큰데..
연구가 아예 딴판이 아니라면 전자가 현명해보임
물론 선택은 본인이
Leopold Ružička*
2020.11.12
Gertrude Belle Elion// 자기 분야를 넓게 가져갈수록 더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하고 싶은 분야가 X인데, A연구실에서는 완전 X연구를 하고 B연구실에서는 X와 인접한 분야인 Y연구를 한다고 합시다.
A 박사는 X연구를 하는 사람이 되겠지만, B에서는 X연구를 하는 사람 + Y를 X에 접목하는 연구를 해본 사람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연구 풍토나 여러 분위기를 접할 수도 있고요. B교수님은 Y전문가이기 때문에 스스로 넘어야할 장애물도 꽤 많을겁니다.
괜히 미국에서 학석박을 전부 다른 대학에서 나온 걸 선호하는게 아니고, 우리나라에서 SPK보다 대학 순위가 낮더라도* 미국 포닥 다녀오는걸 괜히 높게 쳐주는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분야마다 달라서 X라는 분야가 미친듯이 팔게 많고 범위가 넓거나, A연구실에서도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다는 점 염두하시면 좋겠습니다.
2020.11.12
2020.11.12
2020.11.12
2020.11.12
2020.11.12
2020.11.12
2020.11.12
2020.11.14